스마트폰 오락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 및 개인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e of using the smartphone amusement application and personal tendency
- 주제(키워드) 스마트폰 , smartphone , 이용과 충족 ,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 개인성향(personal tendency) , 감각추구(sensational seeking) , 인지욕구(need for recognition) , 오락 , 게임 , 음악 , game , music , entertainment ,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57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과거에 우리는 글로벌시대라고 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스마트시대다. 문명의 획을 그은 선상에 우리는 존재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고 있는 세상에 더욱 가속도를 불어넣은 것은 바로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으로 우리는 인터넷, 게임, 음악듣기, 커뮤니케이션, TV시청 등 예전에 생각지도 못했던 이 모든 것을 작은 기기 하나로 할 수 있다. 이는 하늘이 내려준 축복이 아닐까 싶다. 학계에서도 빠른 속도로 스마트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하나의 연구방법으로써 접근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스마트폰이라는 기기 자체에 접근을 시도하지만, 스마트폰 속의 구동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의 접근은 미흡한 면이 많다. 그 중에서 오락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대중교통이나 출퇴근길에서 오락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는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오락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동시에 내적동기인 개인성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려 했다. 그래서 첫째, 스마트폰 오락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용 동기 요인을 파악하려 했다. 둘째, 이용 동기의 외적인 동기보다 내적인 동기를 살펴보기 위해서 개인성향과 접목하여 그 관련성을 규명하려고 했다. 셋째, 만족도라는 변수를 설정하여 이용 동기와 개인성향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려 했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스마트폰 오락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동기적인 요인은 ‘도전/성취’, ‘상호작용/도피성’, ‘시간소비’, ‘휴식’, ‘신속/편리성’으로 총 5가지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이용 동기 요인은 분석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이용 동기 요인은 10대에서 ‘상호작용/도피성’동기가 두드러졌다. 직업에 따른 이용 동기 요인은 학생과 비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학생군집에서 ‘시간소비’ 동기요인에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교육정도에 따른 이용 동기에는 ‘도전/성취’동기와 ‘휴식’동기가 고등학교 졸업이하와 대학교 재학 그룹에 유의미했고 고등학교 졸업이하가 대학교재학보다 ‘도전/성취’동기와 '휴식'동기에서 보다 더 높은 결과를 얻었다. 두 번째로 개인성향과 이용 동기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감각추구성향은 ‘도전/성취’동기에서 매우 유의미한차이가 있었고 인지욕구성향은 ‘신속/편리성’동기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감각추구성향이 높을수록 ‘도전/성취’동기가 높고 인지욕구성향이 높을수록 ‘신속/편리성’동기가 높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개인성향과 이용 동기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았는데 개인성향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시간소비’, ‘신속/편리’동기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분석으로 연령*성별에 따른 오락애플리케이션 이용 동기와 만족도를 살펴보았는데, ‘상호작용/도피성’ 동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성은 연령이 낮을수록 ‘상호작용/도피성’ 동기가 강한데 비해 남성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한편,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more초록/요약
We said "Globalization" in the past. But now we say "Smart times". We exist in the middle of times that changed the civilization. It is the "Smartphone" that accelerates in the world that changes rapidly. we can use internet, play games, listen to music, communicate with people, watch TV, etc with just a small device, all things that we couldn't imagine in the past. This is the God's bless, maybe. They are conducting a study and doing research about smartphone quickly in the academia. Specially,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is the one of the research methods in the communication department. However, they are just interested in the device, smartphone, they don't try to do research in the viewpoint of applications, frequently. there are some research paper in the application program, though. There is no study in the amusement(game, music) application. we can see the people using the amusement application in the transportation and commuting very often. But no research paper or study about amusement application part in the smartphone. I tried to do research the motive of using the smartphone amusement application and analyze the relation to inner motive, personal tendency so, I did research and analyze the factor of the using the amusement application, first. Second, I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in the conjunction to personal tendency to see inner motive, not outer motive. Third, I tri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motive and personal tendency on th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motives of using the amusement application were the 'try/accomplishment', 'interaction/escapism', 'time-spending', 'rest', 'swiftness/convenience', in all, 5 factor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motive about the gender. There was a meaningful motive, 'interaction/escapism' in the teens according to the age. 'student' group had a motive of 'time-spending' compared to 'non-student' group dividing two group as a job. 'try/accomplishment' and 'rest' motives as to the education level had a meaningful result in under highschool graduation, and under university. 'under highschool graduation' is the higher result than under university. second, I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motive and personal tendency. Arousal seeking tendency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ry/accomplishment' motive and need for cognition in the tendency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swiftness/convenience' motive. In other words, as arousal seeking tendency gets stronger, 'try/accomplishment' motive gets higher and as need for cognition gets stronger, 'swiftness/convenience' motive gets higher. Third, I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tendency and the motive about the satisfaction. Personal tendency had no meaningful influence, but 'time-spending ', 'swiftness/convenience' factors had a meaningful influence. Also, I examined the influence on the motive and satisfaction as to the age*gender relation as a additional analysis. It had a meaningful result in 'interaction/escapism' motive. That is, the younger the women gets, the stronger 'interaction/escapism' gets and the men had no meaningful result according to the age.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result in satisfa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