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근대 여성운동 서술분석과 개선방안
Descrip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means of Modern Women Movements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 주제(키워드) 근대 여성운동사 , 한국사 , 2009 개정교육과정 , 여성사 교육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54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인류의 역사는 전통적으로 지배계층에 의해 독점되었고, 상대적으로 여성의 경험은 사소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여성사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 후반 서양에서 여성들이 역사 속에서 여성의 경험을 찾아내려는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대부터 한국 서양사 학계에서도 여성사 연구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가졌다. 그러나 여성사 연구 성과와 논의들이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그대로 반영되지 못하였고, 여전히 여성 관련 교과서 서술의 문제점은 되풀이 되었다. 불평등한 역사 서술은 교과서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양성평등의 의식을 심어줄 수 없으며, 역사 속의 여성을 주변화 하는 문제를 더 심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근대 여성운동사’라는 주제를 통해서 교과서 여성사 서술의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대 여성운동사는 여성이 사회적 존재로서의 권리를 인식하고, 자신들의 새로운 지위와 역할을 찾아 나서면서 시작하였다. 근대시기의 여성은 일제 감정기라는 여러 제약 속에서도 여권신장을 넘어 여성 해방을 추구하였고, 이전 시기에 비하여 적극적이며 뚜렷한 활동을 보여주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서술될 수 있다. 따라서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의 근대 여성운동 관련 내용을 목차와 분량,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교과서 마다 간과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근대 여성운동 관련 서술은 별도의 목차와 형식으로 정리되지 않았으며 총 3개의 단원에 걸쳐서 분산되어 서술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여성운동’이라는 소주제 속에 근우회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나, 그 내용분량도 미비한 편이였으며 관련 사실을 언급하는 수준정도였다. ‘여성운동’이라는 소주제를 삽입하여 여성사를 부각하려는 시도는 하였으나 1920년대 여성운동 단체에만 국한하여 아쉬운 형태였다. 셋째, 여성 독립활동은 시대를 구분하고 거의 서술하지 않았으며, 여권의식 성장의 움직임으로 볼 수 있는 노동운동, 학생운동도 여성의 참여를 소극적으로 묘사하거나 소략하였다. 그리하여 6종『한국사』의 근대 여성운동 관련 서술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교과서 서술 사례를 대안 점으로 제시하였다. 교과서 서술하는데 있어 3 가지의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근대 여성운동사의 흩어진 서술 배열을 하나의 소단원으로 정리하여 여성의 사회참여 변화가 컸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둘째, 사진, 사료 등 보조 자료를 주제 별로 추가하여 보다 더 풍부하고 심도 있는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학계 내에서 논의 되었던 내용들을 반영하여 근대 여성운동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균형 있는 서술을 시도한다. 이러한 주안점을 반영하여 ‘근대 여성운동의 흐름’이라는 주제로 소단원 형식의 독립단원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교과서 서술 사례는 근대 시기의 여성의 활동들을 재조명할 수 있으며 근대 여성운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사료와 사진들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근대’라는 다양한 사회 변화 속에 여성의 사회참여가 컸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구와 논의가 학생들에게 양성평등의 의식을 심어주고, 나아가 여성사 교육에 관한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성과가 비록 현 교육과정과 교과서 편찬 시 많은 개선점을 주지 못하지만, 조금이나마 앞으로의 여성사 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기대해 본다.
more초록/요약
Traditionally human history has been analyzed only by the ruling group and female experience was considered comparatively insignificant. The interest in women’s history has started from the effort of females, who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movement in late 1960s in the West, figuring out female experience in the history. Since 1980s, world history academia in Korea has had active discussion over women’s history. However, the achievements and discussion of the women’s history studies could not be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problem with textbook description on female-related subjects has repeated. Unequal depiction of history cannot teach students gender equality but only intensify the problem by objectifying or marginalizing women in history. Basing on this critical problem, I tried to review the problem of descriptive analysis on female history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ns through the subject, ‘modern feminist activities’. Modern feminist movement has begun as women started recognizing their position and rights as social beings and looked for their new roles. Modern women sought not only for strengthening of female rights but also for the liberation of women even in the unusual historical environment, Japanese colonial period. It can be illustrated in textbooks with importance since it showed more active and clear activities than before regardless of many restrictions of th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n 2009 editi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ents, table of contents, and quantity related to modern feminist movement. As a result, each textbook exhibited problems. First, description on modern feminist movement was not categorized well with distinctive table of contents and rules but scattered into 3 chapters. Secondly, even though textbooks illustrated modern feminist movement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Keun Woo Hue, they just briefly mentioned it, and the contents were not enough. They tried to emphasize history of women by inserting a small lesson on ‘feminist movement’, but unfortunately, it was limited to feminist activity groups of 1920s. Thirdly, they did not includ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at all, and those promoting growth of women’s rights such as labor movement or student movement either passively described or neglected women. Subsequently, based on the problems 6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in depicting modern feminist movement, I suggested an example of textbook description as an alternative. I listed 3 important points to check when describing textbooks. First, by categorizing scattered depiction of modern feminist movement, I try to prove that the change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was radical. Secondly, by adding pictures, documents, or supplementary data according to subject, I make richer and deeper learning opportunities possible. Thirdly, by reflecting contents that were discussed within academia, I try to illustrate various aspects of modern feminist movement in balance. Reflecting such major points, I composed an independent chapter with a theme of the ‘flow of modern feminist movement’. Such illustration can relight activities of modern women and emphasize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modern feminist movement. By suggesting number of documents and pictures supporting it, I considered learners to recognize that female social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during the social turmoil of modern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teaches students gender equality and resolves problems in female history education to some degree. Although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cannot improve much of the present education course and textbook edition, I hope it could bring positive effect to future female history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