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체'와 '행사'에서 본 정약용의 종교적 의식 연구 : 버나드 로너간의 인지이론 관점에서
A Study on the Chŏng Yakyong’s Religious Consciousness through the Concept of Yongche(靈體) and Haengsa(行事): In the Perspective of B. Lonergan's Cognitional Theory
- 주제(키워드) 종교이론의 인격주체 , 인지이론의 의식 , 정약용의 '영체'와 '행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재영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53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원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영체’와 ‘행사’ 개념을 통해서 본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종교적 의식(consciousness)에 관한 연구다. 종교적 삶은 궁극적 실재를 통찰한 주체가 헌신 또는 응답하는 삶이다. 종교적 삶은 타자와 세계를 궁극적인 것, 궁극적 의미의 지평에서 이해하고 해석한다. 궁극적 실재는 세계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주체의 의식을 통해서 드러난다. 그래서 종교학의 연구 대상은 실재를 이루는 또 하나의 축인 주체의 의식을 선택하여 종교적 차원을 탐구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은 정약용의 종교적 차원을 ‘영명한 하늘’, ‘상제’ 등 궁극적 실재로부터 시작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접근 방법을 달리하여 주체에서 출발하였다. 주체의 의식이 종교학의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는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 방법의 이론적 역사를 살펴보았다. 윌프레드 스미스(Wilfred Cantwell Smith 1916-2000)의 인격적 연구 방법론은 ‘종교(religion)’와 ‘종교적(religious)’현상을 구별한 후, 실제 있는 것은 종교적 현상이며 종교는 개념적 용어는 것을 밝혔다. 생생한 종교적 현상은 신앙하는 사람 안에서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스미스의 연구 덕택으로 종교의 연구 대상을 역사적 자료로부터 신앙인에로 전환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프레드릭 J. 스트렝(Frederick John Streng, 1933-1993)을 통해서 종교적 현상을 주체의 의식 변화(transformation)로 이해할 수 있었다. 전통으로 물려받은 제도 종교의 기도, 의례, 경전 등 문화적 형식도 종교적 현상이지만, 동시에 인격 주체의 깨달음 즉 의식의 ‘변화’도 종교적 현상으로 간주할 수 있게 되었다. 삶에 대한 물음과 세계에 대한 궁극적 관심이 종교적인 관심이며, 이 과정에서 생긴 깨달음, 인식의 변화를 종교적 현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지 않는 유교, 불교 등의 종교 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세 번째로 버나드 로너간(Bernard J.F. Lonergan, 1904-1984)의 인지이론을 적용하였다. 로너간의 인지이론은 의식 안에서 이루어지는 네 단계의 인지 과정(경험함-이해함-판단함-선택함)을 거쳐 궁극적인 것에 대한 앎이 형성된다는 것을 밝혔다. 로너간의 통찰 덕택에 의식의 변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지를 보다 선명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앎은 경험에서 시작되어 실천, 행동으로 나아가는 연속적 과정이며 이는 종교적 의식이 앎과 실천, 지행합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이론적 방법을 정약용의 종교적 의식을 해명하는데 적용하였다. ‘영명한 하늘’은 정약용이 고백한 실재이다. 궁극적 실재를 이렇게 고백하기까지 그의 의식의 변화가 어떠했던가를, 하늘을 배우고 드디어 하늘을 닮아 하늘과 감응할 수 있게 된 성인을 통해 재구성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정약용이 의식을 매우 중시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약용은 성(性) 보다는 마음(心)에 더 비중을 두었다. 그가 생각한 마음은 도덕 의식을 포함한 포괄적인 정신 능력으로 이를 ‘영체(靈體)’라 했다. 그는 인식할 수 있는 능력 그 자체를 초자연적인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또 영체 안에서 도덕적 근원이며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인간에게 개입하는 하늘을 인식했다. 영체는 ‘성-권형-행사’의 세 속성으로 이뤄졌다. 성은 선이며, 가능적 상태인 기호로 존재한다. 하늘의 성은 순선(純善)이다. 정약용은 우리 인간의 마음에 있는 선함을 오롯이 선한 하늘이 부여한 명(命)으로 이해했다. 이는 도덕의식을 종교적 차원에서 이해한 것이다. 그런데 성은 인간의 실천으로 현실화 되어야 하는데 인간은 선을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으며(可善可惡) 오히려 선을 하기 어려운 것(難善易惡)이 현실이다. 그래서 정약용은 영체 안에 또 다른 속성들, 제약된 선[私]인지 보다 덜 제약된 선[公]인지를 식별하는 ‘권형’, 그리고 식별한 가치를 기꺼이 실천하려는 ‘행사’를 요소로 구성하였다. 영체는 도덕적 의식이면서 동시에 선의 기원과 선을 택하여 행할 수 있는 힘을 하늘이 부여했다고 보는 종교적 의식이기도 하다. 정약용은 궁극적 실재를 알게 되는 또 다른 방법도 제시한다. 성인들은 마음 공부 뿐만 아니라 몸 공부 즉 실천을 통해서도 하늘을 통찰하였다.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성실하게 효제자의 선을 행하는 것이 몸 공부인 ‘행사’다. 정약용은 사람들과의 교제에서 선을 다하는 것[事親]을 하늘을 섬기는 것[事天]과 같게 보았다. 효제자의 일상사를 하늘을 섬기는 마음으로 행한다면 이는 도덕적 행위이면서 동시에 종교적 행위이기도 하다. 인간은 항상 꾸준하게 선을 행하기 어렵다는 상황을 보면서 인간과는 다른 하늘의 성실함[誠]과 꾸준함[庸]을 더욱 자각하게 된다. 하늘과 대조적인 인간의 한계를 보며 정약용은 하늘에 대한 통찰을 더욱 뚜렷하고 생생하게 갖게 되었다. 그의 종교적 의식과 종교적 행위가 도덕 의식과 도덕 실천을 통해서 하늘을 섬기는 유교 전통에 있으면서, 의식을 통해 궁극실재를 인식하는 ‘영체’ 개념을 주목한 것이 정약용의 독특함이다.
more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Dasan Chŏng Yakyong (1762-1836) through the concept of Yongche(靈體) and Haengsa(行事). When there is insight into the subjective of Ultimate Reality and devotional or engaging faith that directs one’s life, this called a religious life. Religious life can be ultimat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as the Ultimateness of the world. Through the agent’s consciousness that understands and interprets the world the Ultimate Reality emerges. Therefore, the subject’s consciousness which is another axis that composes reality has been selected as the research topic for this dissertation to explore this on a religious perspective. Past researches that have studied Chŏng Yakyong’s religious perspective began their exploration from “Heaven(天)” and “Sangjae(上帝),”the Ultimate Reality. However this dissertation approaches from an agent point of view. To verify whether the subject’s consciousness could be used as a subject for religious studies research the theoretical history of the research method has been examined. The personalist approach method as shown by Wilfred Cantwell Smith (1916-2000) distinguished between “religion” and “religious”, and revealed that religious phenomenon included reality while religion was a purely conceptual term. Thanks to Smith’s research which shows how the adherents to the vivid religious phenomenon can be observed from the inside, the transition of research subjectivity from historical references to the believer was made possible. Second, through Frederick John Streng’s (1933-1993) research it can be understood that religious phenomenon is a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s consciousness. Although institutional religions that have prayer, ritual, scriptures and other data are viewed as religious phenomenon, the transformation in the realization or consciousness of a person should also be regarded as a religious phenomenon. Interest in the intimateness such as asking questions concerning lif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re clearly an interest in religion. The realizations through this interest proces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can now be understood as a religious phenomenon. Therefore this provides an understanding to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and Buddhism that do not clearly distinguish the sacred from the secular. Third, Bernard J.F. Lonergan (1904-1984)’s cognitional theory has been applied to the research method. Lonergan’s cognitional theory revealed that within the consciousness there are four levels of cognitive processes (experiencing-understanding- judging-deciding) that are processed for enlightenment on ultimateness to be formed. Owing to Lonergan’s insights we can now clearly understand the process of realization, or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one goes through. It explains that enlightenment is a continuous process that begins with experience continues on to acting and that it can be explained as religious consciousness in which the knowledge and devotion and engagement have been formed.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Chŏng Yakyong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use of the theoretical methods mentioned above. “Heaven” is a Ultimate Reality that has only been confessed by Chŏng Yakyong. Through the saint who learns of the heaven and emulates heaven to sense it, the process in which Chŏng Yakyong made this confession of the Ultimate Reality and how his conscious transformation has been reconstructed. Through this process it is evident that Chŏng Yakyong placed much emphasis in the consciousness. Unlike other Confucian scholars, Chŏng Yakyong thought that the Shim(心)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eong(性). The Shim that he believed in included ethical consciousness and also a much more comprehensive mental power he called Yongche(靈體). He understood that having the power of awareness was itself supernatural and had observed Ultimate Reality within Yongche. The properties of Yongche include Seong(性)-Gwonhyeog(權衡)-Haengsa(行事). Seong which is goodness, exists as a possibility. Seong from the Heavens is revealed at its full potential and is pure goodness. Chŏng Yakyong understood the goodness in men’s heart-mind as something given from the Heaven. He understood this not simply as a matter of ethics and morality but also with a religious perspective of ethics and morality. However since Seong is a possibility it has to be actualized and humanity is incapable of completely reaching goodness during the process. Therefore within Yongche exists other properties such as Gwonhyeong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restrictive Seong and the less restrictive Seong, and also the Haengsa which puts the distinguished values into practice. As a result Yongche is an ethical consciousness and at the same time a religious consciousness in which the creation of goodness, the ability to choose goodness and ability to act upon it comes from the Heavens. Chŏng Yakyong suggests another method to learn about the Ultimate Reality. Saint does not only study their heart-mind but also study their bodies, in other words they diligently practiced their goodness. By practicing they whole heartedly do their good work for people. Chŏng Yakyong believed that practicing goodness between people was the equivalent to a saint to serve heaven. Thus practicing goodness in the world was not only an ethical action but also a religious expression.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for men to sustain virtuous actions, our human limitations are juxtaposed with the diligence and consistence of the Heavens. Chŏng Yakyong achieved a much clearer and vivid insight to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his religious consciousness and religious expression are made possible through an ethical consciousness and ethical practice as being within the realm of the Confucius tradition of serving Heave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