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모형 : 경쟁우위와 관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Relationship Quality on Export Performance through an Integrated Model of Export PerformanceEffects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Relationship Quality on Export Performance through an Integrated Model of Export Performance

초록/요약

수출은 글로벌라이제이션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에도 국가의 성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기업에게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경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수출성과 결정요인 연구는 오랫동안 국제경영 분야 연구자들의 주요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론적, 실증적 측면에서 컨센서스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성과 결정요인 모형에는 환경, 전략, 자원, 관계 등 다차원적 관점과 요인들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단편적인 이론적 패러다임과 변수들에 의존하고 있다. 둘째, 수출시장의 경쟁 강도, 문화적 차이, 수출제품의 차이 등 다양한 기업 내외부 변수들이 여러 패러다임의 수출성과 결정 모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수출성과 결정요인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 모형을 개발하고, 경쟁우위와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업 내외부 다양한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의 수출기업 3,000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20개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으며, 이를 AMOS 18.0 구조방정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수출성과 결정요인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산업조직이론, 자원기반이론, 관계적 관점을 통합한 모형을 개발하고 유효한 설명력을 제공하는지 검증했다. 첫째, 통합모형은 대부분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형의 적합도도 양호해서 본 통합모형이 수출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통합모형에서 관계의 질이 경쟁우위에도 영향을 미치고 직접 수출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해 전략경영패러다임과 관계적 관점이 경쟁우위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통합모형이 각 패러다임별 모형의 수출성과 설명력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모형의 적합도도 유의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넷째, 경쟁우위 요인과 관계의 질 요인이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두 요인 모두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출성과 통합모형의 설명력에 대한 검증 후에는 통합모형에서 수출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제시되는 경쟁우위와 관계의 질의 영향력이 다양한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수출경험이 많을수록 경쟁우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고, 수출경험이 많을수록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둘째, 소비재인 경우에는 산업재에 비해 경쟁우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는 가설과 소비재인 경우에는 산업재에 비해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셋째, 선진국인 경우에는 후진국에 비해 경쟁우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는 가설과, 선진국인 경우에는 후진국에 비해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넷째, 수출시장의 경쟁강도가 높을수록 경쟁우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과 수출시장의 경쟁강도가 높을수록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지지되지 않았다. 다섯째, 수출국가가 개인주의문화일수록 경쟁우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고, 수출국가가 개인주의문화일수록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 모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문적 측면으로는 수출성과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형을 개발하여, 서로 다른 연구 결과를 논리적으로 일관된 지식체로 만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경쟁우위와 관계의 질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업 내외부의 다양한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비교 검증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정부의 수출정책 담당자와 기업의 실무자들에게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다양한 상황 하에서 경쟁우위와 관계의 질이 어떻게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해, 정부와 수출기업들이 상황에 적합한 수출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

more

초록/요약

Under the environment that globalization continues to accelerate, exports have not onl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ountry, but also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take full advantage of economies of scale, economies of scope, the effect of experience for companies. For these reasons, the study on the export performance determinants has been the main concern of researchers of international business sector for a long time. However, despite the efforts of researcher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export performance, one of the criticisms is that the consensus of the determinants of export performance has not been formed yet. The criticisms could have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model of export performance determinants study should includ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and factors like environmental determinants, strategies, resources and relationships, but existing studies are most likely to rely on fragmented theoretical paradigms and variables. Second, the comparative impact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including the strength of competition, cultural differences, differences in export products, on the model of export performance determinants of various paradigms have not been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del of export performance determinants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impacts o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relationship quality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that existing research on factors determining export performance have. For this study approximately 3,000 exporting companies in South Korea had been conducted for a survey and 420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The AMOS 18.0, the structural equation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Considered as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the factors determining export performance, the integrated model of export performance determinants based on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resource-based view and relational perspective was developed and verified that this study has explanatory power. First, most path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ppeared to have good model fitness in this integrated model. Therefore this integrated model confirms that i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Second, this integrated model verified that the quality of relationship not only impacts on the export performance directly but also affects the competitive advantage. This finding confirms that strategic management paradigm and relational perspective can be connected though the factor of quality of relationship. Third, for explaining the export performance the integrated model has been prov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an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are significantly superior than individual paradigm models. Fourth, the fact that the factor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is verified. After the verification of explanatory power of the integrated model, the integrated model examines that how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hich is presented as a determinant of export perform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various moderating variables. First,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export experience,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would be large is rejected. But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export experience,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relationship quality would be smal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upport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in case of consumer goods compared with industrial products,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competitive advantage would be large is rejected. And the hypothesis that in case of consumer goods compared with industrial products,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ould be small is rejected. Third, the hypothesis that in case of developed country compared with developing countries,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competitive advantage would be large is significantly supported. And the hypothesis that in case of developed country compared with developing countries,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ould be small is significantly suppor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intensity of export market competition,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would be large is rejected. And,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intensity of export market competition,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ould be small is also rejected. Fifth,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individualistic culture exporting country is, competitive advantage would increase its impact on the export performance is rejected. And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individualistic culture exporting country is, the impact from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ould be small is supported.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academic side as well as practical aspect. In the academic side, this study can lay the foundation for which different findings could be created a logically coherent body of knowledge by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model to explain the export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has comparativel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various variables from inside and outside of the exporting company to the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In practical side, the integrated model has provided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bout export performance determinants for export policy make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and the policy makers and the exporting firms can establish and implement an appropriate policy and strategy for their own situations under varying circumstances by identifying how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relationship quality affect export performa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