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신문의 홍보성 기사의 추세·유형과 신문매출액·발행부수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신문윤리위원회의 2008.4~2011.3 심의결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end & patterns in daily newspapers’ self-promotional articles and its relation in sales & circulation:Focused on the decisions of The Korea Press Ethics Commission from April 2008 to March 2011
- 주제(키워드) 홍보성 기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조맹기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신문/출판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49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원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최근 일간신문의 홍보성 기사가 크게 늘어나 신문의 독립과 책임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신문의 신뢰가 추락하면 민주주의와 공동체의 균열과 위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한국신문윤리위원회가 2008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신문윤리강령을 위반한 것으로 결정해 주의 또는 경고조치를 내린 신문 기사 중에서 신문윤리실천요강 제1조(언론의 자유·독립·책임) ②항(사회·경제적 세력으로부터의 독립)과 제3조(보도준칙) ⑤항(보도자료의 검증) 위반 기사, 곧 홍보성 기사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홍보성으로 적발된 기사는 그 기사가 홍보하는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가 대부분 같은 날짜의 특집이나 섹션 등에 실린 사례들이다. 그 결과, 2008년 4월~2009년 3월과 2010년 4월~2011년 3월에 홍보성으로 적발된 횟수는 각각 101건과 318건으로 2년만에 양적으로 3.1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주요 신문은 2년만에 10배 이상 급증했다. 2010년 4월~2011년 3월 한해만 살펴보면 신문윤리강령 위반으로 적발된 716건 가운데 44.4%인 318건이 홍보성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거의 두 건에 한 건은 홍보성 기사인 셈이다. 같은 기간에 조선일보는 홍보성으로 20차례 적발됐지만 1차례가 평균 3건의 위반 기사를 포함하고 있어 실제 위반 기사는 61건이었다. 반면에 한겨레신문은 10차례 적발됐지만 위반 기사는 각 1 건이었다. 따라서 실제 위반 기사 건수는 조선일보가 한겨레에 비해 6배 정도 많았다. 홍보성 기사는 메이저로 불리는 조·중·동과 매경·한경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면서 광고주와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과 제목, 화려한 칼라 등으로 질적인 변화도 가속되고 있었다. 홍보성 기사 건수는 신문매출액(신문 판매+광고) 및 발행부수와 거의 정비례했다. 한겨레의 홍보성 기사, 신문매출액, 발행부수를 각각 1로 보면(경향신문도 한겨레와 거의 차이가 없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홍보성 기사, 신문매출액, 발행부수는 각각 6과 4.5 정도였다. 이는 신문매출액 및 발행부수에 따라 홍보성 기사의 수가 결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신문사와 대기업들이 드러내지 않고 홍보성 기사와 광고를 주고 받지만 여기에도 시장경제의 원리가 작동한다는 뜻일 수 있다. 광고시장의 경쟁 격화로 신문 산업에서 홍보성 기사의 부익부 빈익빈, 상업화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신문 산업의 확고한 윤리 경영 및 구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more초록/요약
Lately, there have been voices of disapproval about the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matters of the daily's due to the increase of self-promotional articles. If the newspapers lose their faith to the public, this could possibly extend to the rupture and crisis of the community and democracy. The Korea Press Ethics Commission, deciding that some articles violated the Press Moral Code from April 2008 to March 2011, gave out warnings and cautions and mainly targeted on analyzing self-promotional articles. These decisions were based on article 1(freedom, independence, responsibility of the press), section2(independence from social and financial forces) and article 3(reporting regulations), section 5(verification of the report material) of the 'Newspaper ethics code of practice'. The articles which were found to be promoting companies or products were usually advertising a special or section on the same day. The outcome was 101 cases found in articles, which were used for promotion, from April 2008 to March 2009 and 318 cases in April 2010 to March 2011. From the statistics we can see an uplift of 3.15 times in 2 years. From a few major Newspapers we could see a rise of 10times in 2 years. It was pointed out that out of the 716 cases which violated the 'Newspapers ethics code of practice', from April 2010 to March 2011, 44.4% which added up to 318 cases were of promotional articles. This means that one out of two cases are related to promotional usage. In the same time period, 'Chosun Ilbo' were given 20 cautions or warnings, however, an average of 3 cases were caught for each warning; this made the actual statistics rise to 61 cases. On the other hand, 'Hankyoreh Newspaper' were given 10 warnings and only 1 case for each. Therefore, 'Chosun Ilbo' was found to have 6 times more, in the matter of articles violating the code, than 'Hangyoreh Newspaper'. The self-promotion articles seem to be concentrated more to the major newspapers like Cho.Joong.Dong and MeaKyung.HanKyung. Also, the self-promotion articles are becoming more fancy in color with a variety of designs and titles in order to attract the attentions of the advertisers and customers. The amount of self-promotion articles were almost in direct proportion of newspaper's sales(newspaper sales +advertisements) and circulation. If we say Hangyoreh's self-promotion articles, sum of sales and circulation is 1(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KyungHyang Newspaper' with "Hangyoreh'),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can each be said as 6 and 4.5. From this, we can see that the sum of self-promotion articles are determined by the sum of sales and circulation of newspapers. Even though the newspapers and major firms are exchanging self-promotional articles and commercials under a veil, we can possibly see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in work here. Due to the commercial market's intensifying competi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gap of commercialization will deepen even more amongst the self-promotion articles. It is urgent that the newspaper industry establishes a firm moral way of managing this matter and draw up aid measur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