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셩경직해광익』硏究
The Study about『Sung-Kyoung-Jik-Hai-Kyang-Ik』-The first Korean explanation of the Gospel
- 주제(키워드) 성경 , 한국천주교회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48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원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한국교회에서는 100여년간의 긴 박해시기 동안 많은 순교자들이 탄생하였다. 그들은 그와 같은 믿음의 내용들을 어디서부터 얻고 있었을까? 한국천주교회는 박해시기를 거쳐 전해지고 있는 많은 필사본 교회서적들이 있다. 그 가운데 한글복음해설서인『셩경직해광익』이 있다. 주지하듯이 한국천주교회는 선교사가 들어오기 이전에 평신도들의 자발적인 신앙 수용을 통해 시작되었다. 한국천주교회는 신앙의 진리를 처음에 한문서학서를 매개로 하여 수용하였고, 한글번역을 통해서 확산되었다. 그 가운데『셩경직해광익』은 주일과 축일의 복음해설서이자 묵상서였다. 필사본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 한글 복음 주석서는 3가지의 한문본에서 번역되다가 프랑스 선교사의 입국 이후 유럽어의 영향을 받으며 복음본문이 다듬어졌다. 곧 한문을 통한 重譯에서 라틴어 혹은 그리스어 원어성경을 통한 直譯의 형태로 발전해 간 것이다. 현존하는 필사본은 1856년-1862년 사이에 완성되면서 1892년 이후 활판본으로 인쇄되기 까지 오직 필사의 형태로만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필사본이 완성되는 시기는 베르뇌-다블뤼 주교 시기일 것으로 보인다. 한글번역은 선교사들과 평신도의 공동 협력에 의해서 이루어졌다.『셩경직해광익』은 그 날 그날의 복음번역과 뜻 풀이[성경], 주요 성경구절의 자세한 해설[잠], 묵상할 내용[의행지덕], 기도지향[당무지구], 기도문[츅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단순한 성경 풀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신자로서 행해야 할 덕행과 묵상거리, 기도 등을 제시해 주는 지침서와 같은 역할을 했다. 성경의 한글번역은 이미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입국한 이후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신유박해 때 소각된 문서에는 뚜렷히 그 書目이 나타나고 있다. 신유박해 이후 계속되는 박해시기 동안 교우촌에서 전승되다가 점차 공소에서 활용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파리외방 전교회 선교사들은 한글 필사본을 발견하여 공소모임에서 활용하였고, 점차 주일집회에서 첨례용[공소 예절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신자들은 1년 주기로 이어지고 있는 주일과 축일의 독서를 통해서 복음의 주요 내용을 익힐 수 있었고, 신앙생활의 지침을 배울 수 있었다. 신유박해(1801) 이전 한문 해독층들은 한문본을 통해 매우 깊이있는 성경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글교리서『쥬교요지』에는 상당한 내용이 이 성경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신자들은 이 성경 해설서의 상당 부분을 외우고 있었고, 옥중수기와 재판과정에서 그러한 성경의 내용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박해시기 신자들의 신앙살이에는『셩경직해광익』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필사본으로 현존하고 있는『셩경직해광익』이 어떠한 배경에서 탄생하고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왜냐하면『셩경직해광익』에는 천주교 신앙의 근간이 되는 聖經과 聖傳이 풍부하게 들어있고, 신자들은 거기에서 영적 양식을 얻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영적 양식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교우들 사이에 퍼지고 나누어졌는지 배움으로써 오늘날 신앙의 양식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반성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자들은 이『셩경직해광익』을 읽고 베끼고 외웠다. 성직자가 있었을 때는 물론이고, 특히 성직자가 없을 때는『셩경직해광익』이 미사의 독서를 대신하였다. 이 책은 박해시기에 성직자의 부족을 메우기 위해 가장 적합한 독서집이고 강론집이었다. 시골 공소회장의 증언이나 연도를 오랫동안 해 오던 원로 신자들은 이 성경을 聲讀하듯이 읽었다고 한다. 박해시대의 신자들은 이 책을 통하여 복음을 입에서 가슴으로, 가슴에서 발로 이어가며 신앙을 증거하였다. 본 연구는 박해시기 신자들의 신앙과 열정이 그 시대에 이루어졌던 성경번역과 독서에서 습득되었음을 강조하고자 하며, 그 중심에 필사본『셩경직해광익』이라는 복음해설서가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The long history of persecution in Korean Catholic church that lasted for about 100 years created numerous martyrs. Then, we can ask where the martyrs obtained their spiritual contents. There were many hand-written church books that survived throughout the period of persecution. One of them is Sung-Kyoung-Jik-Hai-Kyang-Ik, which is the first Korean explanation of the Gospel. As widely known, Korean Catholic church was developed through the lay people's voluntary willingness to accept faith. Catholic in Korea was received at first from Western scholarship translated into Chinese and then was spread out from Korean translations of it. Among them, Sung-Kyoung-Jik-hai-Kyang-Ik was a meditating book as well as an explanation of the Gospel. This hand-written Korean explanation of the Gospel was originally translated from three different Chinese books. Later, after the arrival of the French missionaries, only the portion of the Gospel was refined under the influence of European languages. In other words, the retranslation in Chinese was modified to better reflect the Latin Bible. It is projected that the hand-written copy that survives was completed sometime between 1856 and 1862. It seems to be handed down only in the form of hand-writing before it was printed after 1892. During the reign of the Bishop Berneux and Daveluy, the hand-written copy was completed. Korean translation seems to be made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missionaries and the lay people. Sung-Kyoung-Jik-hai-Kyang-Ik comprises five parts: ①daily translation of the Gospel accompanied by an interpretation of certain phrases[Sung- -Kyung], ②detailed explanations of certain passages[Jam], ③topics for contemplation[Eui-Haeng-Ji-Duk], ④wishes for prayer[Dang-moo-Ji-goo], and ⑤prayers[Chook-moon]. Sung-Kyoung-Jik-hai-Kyang-Ik was more than a translation or an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It played a foundational and guiding role for Christians by providing them with guidance for desirable conducts, topics to meditate on, and prayers. In fact, it was when Fr. Joo(Jacob) came to Korea that a vast amount of Korean translation of the Gospel was made in an effective way. A record reveals that then were many translated books of the Gospel, which were burned out during Shin-Yu(1801) persecution. Sung-Kyoung- Jik-hai-Kyang-Ik was used to be passed down in the village of christians during the period of recurring persecution. However, it was used in Gong-So, where a community of christians that were no resident priests. Christians were able to learn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ir faithful life through the readings of the Holy days and Festives based on a one-year cycle. Those who were literate in Chinese before Shin-Yu persecution ha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Bible. However, people, mostly who were not literate in chinese, used Choo-Kyo-Yo-Ji to obtain knowledge of the Bible, its teaching. Choo-Kyo-Yo-Ji, the first Korean catechism was influenced by Sung-Kyoung-Jik-hai-Kyang-Ik considerably. Christians memorized much of the Sung-Kyoung-Jik-hai-Kyang-Ik, which was shown in their memoires written in prison and over the court trials. It implies that Sung-Kyoung-Jik-Hai-Kyang-I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ir faithful life during the era of persecution.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d identify how Sung-Kyoung-Jik-hai-Kyang-Ik that survives as a hand-written copy was created in what contexts and how it influenced Christians' faith, because Sung-Kyoung-Jik-hai-Kyang-Ik fully incorporated by the Bible and the Tradition, which should be the basis for the Catholic faith, as well as Christians must have obtained spiritual meals from it. In summary, christians read, copied, and memorized Sung-Kyoung-Jik- -Hai-Kyang-Ik. Not to mention when priests were present, Sung-Kyoung -Jik-hai-Kyang-Ik replaced the reading of mass in the absence of them. It is said that Sung-Kyoung-Jik-Hai-Kyang-Ik was used to be read aloud by catechists in Gong-So. Christians during the era of persecution verified their faith by passing Sung-Kyoung-Jik-Hai-Kyang-Ik from oral to heart, and from heart to foot through this book. In this study, I wanted to emphasize that Christians' faith and passion during the era of persecution was developed in the translation of the Gospel and their readings, and to prove that Sung-Kyoung-Jik-hai-Kyang-Ik was in the heart of i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