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 방위 관람 가상 오브제의 실현 연구 : 이상공간과 3D 오브제를 통한 자아의 표현을 중심으로

The realization of omnidirectional view on virtual object

초록/요약

인간은 끊임없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타인과 늘 비교하고 타인의 평가에 영향을 받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경쟁이 우선시 되며 경쟁의 결과에 따라 서열을 나누는 사회이다. 한 개인의 지적수준, 경제적 수준, 가정환경 등이 비교 대상이 되고 이것에 따라 개인의 존재 가치를 다르게 보고 평가한다. 이는 인간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며 자신의 목표가 아니라 타인의 기준에 부합되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능력보다 높은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낮게 여기며 열등감을 느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열등감의 감정 상태로 불안과 우울, 위축되어 있는 자아의 모습을 다루고자 한다. 작품 안에는 현실공간과 이상공간이 분리되어 존재한다. 두 공간은 완벽히 분리되어 있지만 꽃이라는 매체로 연결되어진다. 현실공간에는 열등감으로 지쳐있는 한 개인의 모습을 반영한 시든 줄기가 표현되어 있고 이상공간에는 열등감을 벗어나고자하는 개인의 탈출구로써 활짝 핀 3D 꽃이 표현되어 있다. 여기서 이상공간은 완벽한 이상세계를 나타내는데 3D 꽃은 열등감으로 위축된 자아가 꿈꾸는 꿈과 목표가 된다. 본 작품을 보는 관람객들은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목표를 이상세계에서 이루면서 마음의 위안과 안정감을 느끼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360도 공간에서 꽃을 관람할 수 있게 세 개의 모니터를 설치하고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3D 꽃의 이미지를 이동시켰다. 또한 이상공간은 배경 이미지와 3D 꽃이 함께 연동되어 자연스러운 3차원 그래픽 공간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현실과 이상이라는 혼합될 수 없는 두 개념을 가지고 열등감에 대한 심리를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으로 구현하였다. 본 작품의 구현은 가상공간의 무한한 표현이 가능하였기에 이루어 질 수 있었다. 향후과제로는 열등감 및 다양한 인간의 심리를 가상공간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Human beings continually live in relations with others. They always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nd are always influenced by others’ evaluation. The society that we live in is the place where the competition is a high priority and people sort rank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a competition. The intellectual level, the economic situation, family environment become the targets of comparison and the value of individuals is evalua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se. For the human beings’ desire to get recognized by others, people make an effort to correspond with the goal of others rather than the one of their own. Most people tend to regard their values low and feel the sense of inferiority when they cannot achieve the goals which are higher than their capacity. This paper deals with anxiety, depression and the intimidated self as the affectivity of inferiority complex. In the work, the reality space and the ideal space exist in separation. Although these two spaces are split perfectly,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ower as the medium. As for the reality space, the stem of an actual lose flower that reflects a person who is exhausted of inferiority complex is expressed in it and as for the ideal space, a 3D flower which is in full bloom is expressed in it as the emergency exit for an individual who is trying to get out of the inferiority complex. Here, as for the ideal space, it presents itself as the perfect ideal world and as for the 3D flower, it becomes the dream and the goal of the intimidated self. Spectators who will see this work of art will achieve their goals in the ideal world which they could not have achieved in reality and thus they will see themselves as one who feels the comfort of mind and the sense of stability. As for the technical method, three monitors were used to make the flower can be viewed in 360 degree phyically, and the image of a natural flower was displayed by controlling the 3D flower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spectators by using a 360 degree camera. Moreover, to describe the ideal space, three-dimensional graphic space was composed by controlling the background of the image together with the 3D flower. The mentality about inferiority complex was realized as an interactive work of art with the help of two concepts called reality and imagination that cannot be blended. The composition of this work of art could be achieved only because of the reason that the imagined space can be expressed infinitely. As for the tasks, it is intended to study inferiority complex and various types of mentality of human beings in various ways through the concept of imagined spa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