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순경음 'ㅸ'에 대한 통시적 연구 : 'ㅂ' 약화 규칙의 어휘 확산을 중심으로

A Diachronic Study on ㅸ/β/: Focusing on the Lexical Diffusion of /p/ Lenition Rule

초록/요약

이 글은 ‘ㅸ’(/β/)이 /*p/에서 기원하였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언 자료상의 근거와 음 변화의 보편적인 원리에 비추어 볼 때, /*p/ 기원설은 /*β/ 기원설이나 /*b/ 기원설에 비해 더 타당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p/ 기원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 번째는 동일한 환경에서 ‘ㅂ’(/*p/)이 약화되지 않은 ‘예외’를 설명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ㅸ’의 음운론적 지위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첫 번째 문제는 ‘ㅂ’ 약화 규칙의 어휘 확산의 관점에서 다룰 수 있다. ‘ㅂ’ 약화 규칙은 전기 중세 국어 단계에 발생하여 개별 단어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산되었다. 즉, ‘ㅂ’ 약화 환경을 지닌 어휘 중 음절말 분절음의 공명도가 큰 단어에, 그리고 한자어보다는 고유어에, 저빈도어보다는 고빈도어에 이 규칙이 먼저 적용된 것이다. 그러나 이 규칙은 어중 ‘ㅂ’을 지닌 모든 어휘로 확산되지 못하고 중도에 소실되고 말았다. 이 음 변화가 계속 진행된다면 무표적인 음소 /p/가 유성음 사이에는 올 수 없는 심한 분포상의 제약이 생기기 때문이다. 두 번째 문제는 ‘ㅸ’의 음운화 및 비음운화와 관련지을 수 있다. 15세기 공시태 내에서 ‘ㅸ’이 보이는 음운론적 행위로 판단하건대, 이 소리는 음소로 설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ㅂ’(/*p/)의 변이음이었던 ‘ㅸ’은 15세기 이전에 대립을 이루는 소리로 변화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ㅸ’의 음운화는 ‘C1V1C2V2’(C2=[β]) 음절 구조를 이루고 있던 용언 어간의 V2 탈락으로 인해 [β]의 조건 환경이 소실됨으로써 발생하였다. 하지만 15세기에 이르러 ‘ㅸ’은 비음운화하였다. ‘ㅸ’이 비음운화한 원인은 언어 보편성과 중세 국어 특수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전자는 중세 국어의 마찰음 체계가 유성음의 수가 무성음의 수보다 더 많은 매우 유표적 상태가 된 것을 말한다. 후자는 당시 ‘ㅸ’의 낮은 기능 부담량과, ‘ㅂ’ 약화 규칙의 소실, 음절 구조 확대, 음소 수의 증가 등에 따른 언어 치유적 변화를 가리킨다.

more

초록/요약

The origin of ㅸ/β/ in Late Middle Korean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Korean historical phonology. Since each of the three well-known hypotheses on the issue, the /*p/-, /*β/- and /*b/-origin, has its own valid grounds as well as weaknesses, the controversy has lasted for a long period. On the basis of the evidence from dialects and the phonological universal, I consider that the /*p/-origin is the more reasonable and plausible hypothesis than the other two. If we accept the hypothesis, howev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must be answered: first, how can we explain with the hypothesis the “exceptions” that still retain /p/ between voiced sounds; second, how can we explain the diachronic change of ㅸ’s phonological status? This thesis is devoted to answering these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can be easily answered by the hypothesis of lexical diffusion. That is, the /p/ lenition was an ongoing sound change in Middle Korean, but it stopped during its course before reaching its end point. Among the relevant vocabulary, the /p/ lenition rule applied preferentially to those words that meet the following conditions: segmental (words with the more sonorous segment in the final position of the /p/-containing syllable), origin of the words (native rather than Sino-Korean words) and word occurrence frequency (more frequent rather than less frequent words). The reason for the rule loss is to keep the phoneme /p/ between voiced sounds. Otherwise, the primary and unmarked phoneme would disappear from the environment. To answer the second question, phonologization and dephonologization of ㅸ should be postulated. ㅸ’s phonological function in the 15th-century Korean shows that ㅸ had a phonemic status. It means that ㅸ[β], originally an allophone of /p/, phonologized before the 15th century. Its phonologization was actuated by apocope of verb stems with open syllable, say ‘C1V1C2V2’ (C2=[β]) because the deletion of V2 of the stem caused loss of the conditioning environment of [β]. Due to both language-universal and language-specific factors, however, the phoneme /β/ dephonologized around the 15th century. The former refers to the newly created marked system of the fricative at the time. That is, the phonologization of voiced fricative series made the fricative system with the voiceless outnumbered by the voiced. The latter represents the low functional load of the /β/ and a series of therapeutic changes occurred in Middle Korean: loss of the /p/ lenition rule, expansion of the syllable structure and increase of the number of phonem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