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퍼포먼스에서 실시간 인터랙티브 영상 활용 연구 : 'Digital Contact'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digital performance based on real-time interactive image
- 주제(키워드) 디지털 퍼포먼스 , 인터랙티브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서용덕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예술공학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40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원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수용, 결합되면서 퍼포먼스 분야의 창작 언어는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기술적 접근이 반영된 인터페이스의 개발과 그에 맞는 상호작용 방식들이 고안되면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작품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좌우하게 되었다.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소통방식은 시지각적 제한에서 벗어나 시간과 공간, 신체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작품과는 다른 미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인터랙티브 영상을 활용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작하고 이를 퍼포먼스에 적용하였다. 분리된 공간에 위치한 퍼포머와 관객이 인터페이스를 공유하고 두 집단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을 디지털 공간 안에 반영하여 함께 작품을 만들어 가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작 구현하고자 하였다. 퍼포머와 관객들은 자신들의 신체를 움직여서 이미지를 만들고, 서로에게 반응하면서 하나의 움직임 이미지를 함께 만들어 가게 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는 두 대의 카메라를 통해 움직임 유무를 감지하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이미지 결과를 프로젝션하는 구조로 제작되었는데, 이 과정에 대한 기술적인 설계와 구현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와 참여자가 시스템 환경 안에서 공동의 협력자로서 ‘움직임’이라는 소통 방식을 통해 함께 완성해나가는 과정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호작용적 관계를 인터페이스 작동 원리로 반영하여 이를 통한 공간 확장을 시도하였다. 이에 디지털 퍼포먼스의 발달 배경과 사례 분석을 살펴보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퍼포먼스의 표현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more초록/요약
As digital technology is being embraced and combined, creative language in the field of performance is transforming dynamically. The development of an interface reflecting various technical approach and the invention of relevant interactive methods has caused digital technology to become a critical aspect of a work and affects the content and form of the work. The mode of communication provided by digital interface transcends the visual-perceptual limits and allows the expansion of time, space and body, providing an artistic experience unlike traditional works. This research produces an interactive environment using real-time interactive image and applies it to performances. The goal was to create and realize an interface where the performers and audience, located in separate locations, can share an interface and create an artwork reflec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in the digital space. Performers and audience create images by moving their bodies and reacting to each other’s movements. Two cameras monitored whether or not movement is taking place, and through real-time data process, image results were projected. This paper describes the technic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is proces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process experience in which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co-collaborators in a system environment, create a work together by communicating through movements. Also, expansion of space through application of interactive relationship in interface function principle was attempted. The background of digital performance’s development and case studies were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of expression of performance is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