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 놀이, 이미지, 정치참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effects of SNS(Social Network Service):the play vote certification, promote with image, political participation centrally

초록/요약

최근 트위터·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시민들이 정치적 의사를 표현하고 참여하는 도구가 되고 있다. 그 예로 4.27재보궐 선거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SNS는 선거운동 기간 내내 각종 이슈를 두고 의견을 공유하거나 논쟁을 펼치는 공간으로서 선거에도 밀접한 영향을 준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SNS의 급격한 성장과 확산에도 불구하고 SNS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SNS 사용자의 정치성향, 지지정당과의 관계를 살펴 보고자 한다. 또한 과거 후보자를 판단하는데 사용했던 매체와 2012년 있을 대통령, 국회의원 선거에 어떤 매체의 도움을 받아 후보자를 판단할 것인가에 대한 비교를 해보고, SNS정치경험이 ‘정치적 관심도를 증가시키는 가’에 대한 분석을 한다. 둘째, SNS 선거전략 시 가장 필요한 것은 이용자들이 SNS 정치참여를 통해 얻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령별로 SNS를 통한 정치참여 의도가 무엇인지 알고, 어떤 정치행동으로 이어질 것인가를 알아본다. 셋째, 정치인의 SNS활동을 이용자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긍정적 부정적 항목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평가해보고, 실제 트윗에 정치인들이 올린 글들을 내용별로 분류하여 이용자의 반응을 살펴본다. 글의 내용에 따라 신뢰도나 관심도, 활동성에 대한 반응은 정치인들의 추후 SNS에 글을 올림에 있어, 이용자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답을 주게 된다. 현재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인들이 트위터(Twitter)를 비롯한 SNS영역에서 자신의 입지를 다지는데 꾸준하게 열을 올리는 것도 SNS의 위력을 실감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SNS를 이용하여 정치참여를 하는 사람들은 연령별로 다른 TREND를 가지고 있다. 각각 연령별로 나타나는 TREND를 알고, 알맞은 SNS 공략을 해야 적극적인 정치참여 즉, 투표참여로 이끌어 낼 수 있기에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본 연구의 전반적 분석결과는 SNS 이용자 대부분 특정한 지지정당이 있지는 않지만 연령별로 각기 다른 이유로 정치참여를 하려고 하며, 투표 인증샷 등과 같은 정치참여경험을 통해 정치관심도를 증가시켜 오프라인에서 투표참여와 같은 정치행동 효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과정 중 아직까지 SNS를 통한 정치경험자가 많지 않아 정확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SNS 정치참여가 정치제도로만 그치지 않고 ‘투표 인증샷 놀이’ ‘’온라인서명‘과 같은 TREND 문화로 자리 잡았다는 결과를 도출해 낸 것은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그러나, SNS 정치참여가 긍정적인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어서 SNS로 인해 정치적으로 잘못된 여론이나 유언비어가 확산돼 우리 사회에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이용자의 정확한 판단이 요구 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more

초록/요약

Currently SNS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has become a tool for citizens to express their political opinions and participate politically. To give an example, in the April 27 by-election and the October 26 by-election of the Seoul mayor, opinions concerning various issues were shared, debates were held, which were closely connected and influenced the election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NS, studies concerning its political influences are not yet sufficient. The study will firs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NS user’s political inclination and political party. In addition, Media used to decide former candidates and medias which may help decide the 2012 elections of the president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compared. Then whether SNS political experience ‘increases the level of political interest’ will be analyzed. Second, for SNS strategy, it is crucial to be aware of what it is that the SNS users’ want to obtain from it. Different age groups and their motive for S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resulting political action will be examined. Third, the assessment of what the SNS user perceives as positive or negative of a politician’s SNS activity, such as the real life tweets of politicians will be categorized in terms of the message and its response. The content of the message, the level of trust, interest, activity, and the politician’s future SNS messages, will lead to answer what method receives the user’s attention. Currently, whatever their political association, politician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eir heated efforts to enhance their positions on SNS such as twitter, due to the realization that SNS is powerful. Lastly, people using SN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have a different TREND in terms of age group. Knowing the TREND expressed by age group and developing a suitable SNS strategy would lead to posi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ting during elections, which is why this is such an imperative challenge to study. The general analysis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SNS users mostly do not belong to a particular political party, but participate politically in terms of age group; through evidential photo ballot shots, political participation experience, interest in politics is increased and have effects on political activity such as offline voting participation.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the lack of people who had SNS political participation experience caused difficulties for accurate analysis, but the fact that SNS did not merely stop at political participation but developed into a cultural TREND through “evidential ballot shot games” and “online signing”, shows that such results are of great significance. Yet the effects of SMS political participation may not only be positive as inaccurate political opinions or data may be escalated causing our society much chaos; thus the problem that the rightful decisions should be made by the user remai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