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역사적 판단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안 연구 : 여말선초 '조선의 건국'을 중심으로
Teaching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nk and judge historically in Korea:Centering on the theme of ‘Foundation of Chosun’
- 주제(키워드) 역사적 판단력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민정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35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원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역사적 판단력은 역사적 사고력의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역사 연구나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있는 종합적이며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역사적 판단의 양상을 살펴보고, 역사적 판단력 신장을 위한 일련의 수업을 통해 역사적 판단력과 관련한 연구를 진작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과 방법을 설정하였다. 첫째, 역사 수업에서 역사적 판단력의 신장 방안을 검토하여 쟁점을 중심으로 수업 적용의 타당성을 밝혔다. 둘째, 중학생의 역사적 판단력의 신장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역사적 판단력의 수준을 몰역사적 이해, 인지상정에 입각한 초역사적 이해, 현재주의적 이해, 역사적 ‧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4단계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수준1은 역사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전혀 판단을 시도하지 않는 몰역사적인 태도를 보이는 단계이다. 수준2는 감정이입적 이해와 함께 판단을 시도하기는 하지만, 인지상정에 의한 것으로 초역사적인 단계이다. 수준3은 자기중심적이며 현재주의적인 판단의 단계이다. 수준4는 맥락적 ․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단계이다. 학생들은 이 단계에서 다양한 역사적 상황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확실한 판단에 도달하는 단계이다. 셋째, 쟁점이 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학생들의 판단력 제고를 위한 수업을 구상하였다. 그리고 종합적인 갈등 양상이 나타나는 고려말 조선초를 시대적 배경으로 선정하여 중학교 2학년 3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총 3차의 수업을 실행하였다. 1차시 수업에서는 고려 말 사회 개혁 방향을 둘러싼 이인임 ‧ 정몽주 ‧ 정도전의 주장을 이해하고, 자신이 지지하는 입장을 선택하는 활동을 하였다. 2 ‧ 3차시 수업에서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대한 정당성 여부를 둘러싼 개인적 판단 및 조별 토론 수업을 진행하였다. 넷째, 수업 적용 결과인 학생들의 학습지를 분석하여 역사적 판단이 중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한 것인지 검토하고, 학생들의 판단력이 신장되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설계한 수업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특히 중학생의 역사적 판단력이 드러나는 양상을 학습지 및 만족도 설문지 조사에 기반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은 종합적이고 추상적인 사고가 불가능하여 역사적 판단을 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일련의 계기적이며 지속적인 역사적 판단력 신장을 도모하기 위한 수업 결과 충분히 역사적 판단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며, 역사적 판단력의 신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역사적 판단력은 역사 수업 안에서 신장 될 수 있다. 1차시 수업보다 2차시 수업에서 학생들은 판단을 할 때 더 많은 사항을 고려하고 있으며, 과거의 상황에서 판단하고자 하는 수준 높은 이해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시간상의 문제로 3차시 수업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사고의 변화는 일시적인 학습 효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들의 역사적 판단력의 향상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역사 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판단력을 구사하는지 지속적인 변화 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수업이 보다 구체화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와 자료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그럼에도 중학생의 역사적 판단력 신장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역사적 판단력의 신장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역사교육에서의 역사적 판단력의 실천적 수용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Historical judgment ranks the highest among historical thinking skills, and is a complex, high-level critical skill that may be the ultimate goal of historical research or stud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historical judgm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urther research related to historical judgment through a series of courses designed to enhance historical judg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ology was established. First, by evaluating the means of enhancing historical judgment in history classes, validity of the classes was established. Second,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 historical judg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mproving, historical judgment was divided into four levels: lack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rans-historical understanding based on human feelings, present-oriented understanding, and historical/contextual understanding. Level 1 represents a lack of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no attempts to make such judgments. In Level 2, judgment is attempted along with empathetic understanding, but it is at a trans-historical level based on human feelings. Level 3 is self-centered and present-oriented judgment. Finally at Level 4, historical/contextual understanding and judgment takes place. At this level, students are able to analyze various historical situation and evaluate historical incidents and figures based on logical grounds. Third, classes that will enhance students’ judgment skills were designed by selecting controversial issues. A total of three classes were conducted on three classe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omprehensive conflicts which took place from Goryeo dynasty to early Joseon dynasty. In the first class, students learned about the positions of Lee In-im, Jeong Mong-ju, and Jeong Do-jeon surrounding the direction of social reform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chose a position that they support. In the second and third classes, students assessed the legitimacy of Lee Sung-kye’s withdrawal of troops from Wihwado and had a group debate on the topic. Fourth, student worksheets from the class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historical judgment is applicable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whether the students’ judgement improved. Analysis of the designed clas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In particular, aspects which show the historical judg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based on the student worksheets and satisfaction surveys. First, there were concern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capable of comprehensive and abstract thinking and cannot make historical judgment.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through a series of successive and continued classes designed to improve historical judgment, middle school students can attempt historical judgment and improve their judgment skills. Second, historical judgment skills can be enhanced through history classes. In the second class, students took more factors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a judgment and displayed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in evaluating past situations than they did during the first class. Thir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 Unfortunately, because of time constraints,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only three classes. Since a change in thinking does not occur through short-term learning, in order to monitor the improvement in students’ historical judgment skills,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 long-term history curriculum and observe the continuous change in the students’ judgment skills. Furtherm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range of themes and materials to refine the class. However, designing a class that can enhance the historical judgment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alyzing its results to confirm the potential to improve judgment skills, and providing a foundation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historical judgment within history education can be significant in itself.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