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Ch23 : 연기 메소드 응용

초록/요약

졸업 작품 <Ch23>은 딸을 잃은 엄마의 이야기이다. 아이가 유괴당해 죽음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실을 부인하며 자신의 삶을 포기한 채 아이를 찾으며 살아가는 여자의 이야기이다. 이 작품에서 딸을 잃은 엄마 ‘은미’ 역할의 연기자로서 가장 먼저 살펴본 영화가 ‘밀양’이다. 왜냐하면 밀양의 주인공 전도연의 엄마 역할이 이번 졸업 작품의 은미 역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박태식(2008)은 다음과 같은 찬사로 밀양에서 엄마 역할을 맡은 전도연의 연기를 높이 평가하였다. 밀양에서 전도연의 연기는 과연 대단했다. 그녀에겐 매우 어려운 과제가 주어졌는데, 먼저 밀양에 들어온 외지인으로서 현지사람들에게 꿀리지 않기 위해 서울 사람 냄새를 좀 풍겨야 하는 세련된 여성이 있고, 갑작스런 아들의 유괴와 죽음 앞에서 충격과 설움을 표현해야 하는 젊은 어머니, 열성적으로 교회에 다니면서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골수 기독교인, 유괴범을 만나고 난 후에 찾아온 갈등을 무모하게 드러내는 반쯤 정신이 나간 여인, 그리고 모든 현실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차분하게 다시 인생을 시작하는 인간 이신애까지....... 한 사람의 배우가, 한 영화에서, 그 모든 감정을 소화해 내기란 여간 힘든 노릇은 아니었을 것이다. 특히 집에 들어와 아들을 데리고 있다는 유괴범의 전화를 받고 평온한 상태에서 한 순간에 무너지는 감정연기는 무척 어려웠을 것이다. 불과 일 분도 안 되는 동안 급작스레 일어나는 극적인 감정변화를 표현하기가 어디 쉬었겠는가? 무려 두 시간 반이나 되는 상연시간을 견디어낼 수 있었던 이유는 오로지 전도연의 연기 때문이었다. 칸영화제의 여우주연상을 충분히 탈만했다. 위의 글에서 보여주듯이 배우가 여러 가지의 모습을 한 번에 보여주며 모든 감정을 표현해 내는 것은 어렵다. 처음 시나리오를 접한 후 본인은 ‘밀양’의 전도연을 떠올렸다. 전도연처럼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지만, 졸업 작품 <Ch23>에서의 ‘은미’도 딸을 잃은 어미의 마음을 표현하는 역할이었고, 이런 상황을 전혀 경험하지 못한 미혼의 연기자가 수행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전하기 위해서 밀양의 전도연은 하나의 좋은 나침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배우는 자기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표현해 살아있는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 충실한 표현을 위해 직접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많은 배우들이 고난이도의 경험들을 배워가며 작품에 임하고 있다. 하지만 직접 경험에 의해 표현할 수 없는 연기부분이 있다. ‘직접 해 볼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표현해 내야 할 것인가?’이 부분에 봉착하게 된다. 살인자 역할을 연기하기 위해 직접 누군가를 죽여서 살인자의 심정을 경험해 볼 수는 없다. 이처럼 결혼도, 출산도 해보지 않은 사람으로서 딸을 잃은 엄마의 역할은 매우 어려운 감정표현의 연기이다. 미혼인 연기자가 딸이 죽은 슬픔을 가진 엄마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이런 측면에서 전도연이 밀양에서 잠시 한 눈을 파는 사이에 아들을 잃어버리고 나서 아들을 찾기 위해서 사방팔방 돌아다니고 유괴범에게 전화가 왔을 때의 이성적일 수 없는 행동들과 길 한복판에서 걸어가다가 오열하는 모습, 예배당 안에서 어느 누구에게도 말 할 수 없는 고통으로 하나님에게 원망하며 절규 모습들을 통해서 보여준 극적인 감정표현은 아이를 잃은 어미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은미’의 연기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 졸업 작품 <Ch23>에서 ‘은미’ 역할을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몇 가지 연기 방법이 적용되었다. 재학 중에 배운 메소드인 콘슨탄틴 스타니슬랍스키(Constantine Stanislavski)의 신체 행동법, 우타하겐(Uta Hagen)의 9가지 장애, 샌포드 마이스너(Sanford Meisner)중립과 충동훈련, 스텔라 에들러(Stella Adler)의 상상훈련, 마이클 체홉(Michael Chekhov)의 테크닉훈련, 리 스트라스버그(L ee Strasberg)의 감각(감정)의 기억 등의 훈련을 기초로 하여 영화의 시작인 리딩, 연기연습 및 리허설 과정에서 연기의 실질적 메소드와 이론을 이용한 연기를 <Ch23>을 통하여 연출의 원하는 연기를 찾아보고 본인이 생각하고 창조한 ‘은미’를 장면에 따른 인물접근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촬영장에서 연기하면서 접목해보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