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여성수영참가자의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The Social Physique Anxiety and the Physical Self-Perceptions of Women Participating in Swimming, Based on their Self-Evaluation of Physiqu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수영에 참가하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자기체형평가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을 이용하여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 설문기간은 2011년 9월28일~ 10월 28일(31일)에 걸쳐 약 4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방법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SPSS 18.0 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따라서 서울지역 서울시 소재 4개 수영장(C, P, M, H 수영장)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 수영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기평가체형을 살펴 본 결과, 자기평가체형은 마른체형(39.4%), 중간(32.9%), 뚱뚱한(27.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의 신체적 표현만족과 부정적 체형평가 요인에서, 마른체형에 비해 보통체형과 뚱뚱한 체형들이 높은 부정적 체형평가를 가지고 있었고, 신체적 표현만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요인에서 체지방과 지구력에서, 보통체형과 뚱뚱한 체형에 비해 마른체형이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났으며 그 외에 요인인 외모, 유연성, 자신감, 건강, 규칙적 운동, 근력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체형불안(신체적 표현만족, 부정적 체형평가)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표현만족요인은 신체적 자기개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 체형평가요인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8가지)하위요인 중 유연성과 근력을 제외한 외모, 체지방, 스포츠 자신감, 건강, 규칙적 운동, 지구력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에 따라 사회적 체형불안은 마른체형에 비해 보통체형과 뚱뚱한 체형들이 높은 부정적 체형평가를 가지고 있었고, 자기평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체지방과 지구력에서 마른체형이 보통체형과 뚱뚱한체형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적 표현만족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부정적 체형평가요인에서는 유연성과 근력을 제외하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여성들이 자신의 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도움으로, 사회적 체형불안은 감소시키고 신체적 자기개념을 증가시킴으로써, 운동수행을 하는데 있어 긍정적이거나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cial physique anxiety scal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physical self-perceptions of female adults participating in swimming, based on the self-evaluation of their physique.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examine how much the social physique anxiety due to self-evaluation, influences their self-perceptions of their bodies. For such research, a survey was collected for a period of four weeks, from September 28 to October 28, 2011. The data processing incorporated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atistics were gathered using SPSS 18.0, for the .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after surveying the female users of four public swimming pools located in Seoul. First, the subjects? self-evaluation of their bodies, namely their subjective physique, rated as follows ? lean (39.4 %), normal (32.9 %), and fat (27.7 %). Second, the social physique anxiety based on the self-evaluation of physique includes physical expressive satisfaction and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Among the two factors, the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was higher in the normal and fat group, compared to the lean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physical expressive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factors of physical self-perceptions based on the subjective physique, two factors, body fat and stamina suggest that lean physique generates higher physical self-perception than normal or fat physiqu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among the other factors, such as appearance, flexibility, self-confidence, health, regular exercise, and muscular strength. Fourth, the influence of social physique anxiety ? physical expressive satisfaction and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 on the physical self-perception resulted as follows. Whereas the physical expressive satisfaction factor did not particularly influence the physical self-perception, the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llowing subcategories of physical self-perception ? appearance, body fat, confidence in sports, health, regular exercise, and stamina. Among the total of eight subcategories of physical self-perception, flexibility and muscular strength were excluded. Regarding the social physique anxiety based on self-evaluation, the normal and the fat group showed higher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than the lean group. As for the physical self-perception depending on self-evaluation, the lea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normal and fat group in two factors, body fat and stamina. Finally, among the influence of social physique anxiety on physical self-perception, the physical expressive satisf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turned out to be influential, with the exception of flexibility and muscular strength. To concl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emale adults to properly perceive their physiques. By doing so, they are likely to decrease the social physique anxiety and increase self-confidence in their bodies, and thus approach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to exercis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