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음운 탐구 학습 방안 연구

A Study on New Measures for Inquiry Learning of Phonology

초록/요약

<표준 발음법>이라는 어문 규정이 존재하고, <표준 발음법>과 연계하여 올바른 발음 생활을 추구하는 현재 음운 관련 교육과정을 고려해 볼 때, ‘현재로서 잠정적인 약속’인 어문 규범을 다룬다는 점에서 탐구 학습은 음운 교육에 적절하다. 탐구는 ‘정답’을 찾는 과정이 아니며, 문법 ‘지식’도 학계에서 공감을 얻은 잠정적인 결과로서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현행 음운 교육이 규범과 일치하는 음운 체계나 음운 현상을 주로 다루면서 표준 발음을 익히고 비규범적인 발음을 교정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면, 이 논문에서는 음운 교육을 탐구의 관점에서 설계하기 위해 음운 교육의 목표를 ‘음운 현상에 의문 갖기’에 두었다. 이 목표에 따라 주로 규범에 어긋난 현실 발음을 소재로 삼아, 탐구 학습 모형을 교수&#8228;학습 모형으로 변형하여 탐구를 지향하는 단계에 있는 학습자에게 적절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의문 갖기’ 자체가 탐구 학습과 맥이 닿아 있는 것이므로 이런 목표 아래 음운 교육이 탐구로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모든 과정을 학습자 ‘스스로’ 하는 탐구 학습을 음운 교육에 직접 적용할 수는 없다. 학습자들은 음운 현상을 탐구할 수 있는 대상으로 접근해 본 경험이 거의 없으며, 지식이 없이는 탐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특히 음운 탐구에 초점을 두어 ‘음운 탐구에 필요한 개념 익히기 → 현실 발음과 규범 비교하기 → 새로운 질문 생성하기’로 음운 탐구 절차를 구성하였다. 또 일상 발화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규범에 어긋난 발음을 중심으로 음운 체계 학습과 음운 규칙 학습에서 다룰 수 있는 소재들을 선별하여 보았는데, 음운 체계 학습에서는 단모음 ‘ㅐ’와 ‘ㅔ’, ‘ㅚ’와 ‘ㅟ’의 발음, 음장, 모음상승을 다루었다. 음운 규칙 학습에서는 음절말 자음의 발음, 움라우트, 수의적 경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렇게 교수&#8228;학습 모형을 설계한 까닭은, 먼저 탐구를 위한 지식을 갖춘 다음, 음운 현상을 탐구해 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질문을 생성해 보는 일련의 경험이 스스로 탐구하는 학습자가 될 준비 과정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절차는 진정한 탐구 학습으로 가기 위한 다리가 되는, 전(前) 단계이자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모형은 교수&#8228;학습 모형이므로 교실 상황이나 학습자의 수준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바꾸어 활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탐구 학습의 관점으로는 접근하지 않았던 음운 교육 내용을 탐구가 가능한 문법 지식으로 보아, 구체적으로 음운 교육에서 탐구 학습이 적용될 수 있는 내용과 교수&#8228;학습 모형을 제시하여 그에 따라 음운 탐구 학습의 실제를 구성하였다. 이것이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Given the official regulation called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nd the current phonological curriculum in pursuit of ultimately correct pronunciation, heuristic method is appropriate for phonological education in terms of 'the provisional agreement for the present'. Because inquiry is not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right answer', and the grammatical 'knowledge' is based on the provisional agreements among academic world. Current phonological education is mainly focused on the phonological system and phonological phenomenon and learning standard pronunciation and correction of non-canonical pronunciation. To organize phonological education in the point of view of inquiry, the purpose of phonological education in this study is 'Questioning the phonological phenomenon'. A model is designed for the inquiry-oriented learners by transforming inquiry-learning model into teaching-learning model mainly using the matter of actual pronunciation varying from the canonical form. It is reasonable to focus on inquiry in phonological education since 'questioning' itself has correlation with heuristic method. Heuristic method, the entire process of regulated by learners 'themselves' cannot be directly applicable to phonological education. It is because the learners have never been approached phonological phenomenon as heuristic method, and it is impossible without proper knowledge. Thus, this study particularly takes the focus on phonological inquiry, and constitutes the process of such inquiry in the order of 'learning new concepts for phonological inquiry → comparing actual pronunciation with canonical form → creating new questions'. Some issues applicable to learning phonological system and phonological rules have been sorted out mainly on the non-canonical pronunciation easily found in daily conversation. In learning phonological system, Pronunciation of two sets of short vowels such as 'ㅐ' - 'ㅔ' and 'ㅚ' - 'ㅟ' , vowel length, and vowel rising were discussed. In learning phonological rules, the pronunciation of syllabic-ending consonants, umlaut, and arbitrary fortification were discussed. The reason why this study designed a teaching-learning model is that a series of process; sufficient knowledge acquisition for inquiry, exploring phonological process, and creating new questions shall be the preparation to become a genuine self-regulated learner. Thus, this procedure shall be the pre-stage and transition period that bridges over the true heuristic method. As a teaching-learning model, it is adjustable to the situation of classroom and the level of learners. This study views the phonological education, which has never been approached on the perspective of heuristic method, as an explorable grammatical knowledge, and constitutes the practice of phonological heuristic method by setting forth actual cases compatible with heuristic method and teaching-learning model. It is truly meaningful that it is the whole new approa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