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어 양태 구문의 사용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 의존명사 ‘것’을 포함한 양태 구문을 대상으로

A study on aspects of use of Korean modality construction and education measures: Targeting modality construction including bound noun of ‘geos(것)’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의존명사 ‘것’을 포함한 국어 양태 구문의 사용 양상과 기능을 살펴보고 양태 구문의 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이다. 상대방을 설득시키기 위한 다양한 표현 중 의존 명사 ‘것’을 포함한 양태(modality) 구문, ‘-ㄹ 것이다’, ‘-ㄴ(ㄹ) 것 같다’, ‘-ㄴ 것이다’, ‘-다는 것이다’의 구체적인 문법 형태를 선택하여 이들의 사용 양상과 기능을 학습자들의 논술문을 통해 파악하고, 양태 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ㄹ 것이다’는 ‘상식에 근거한 추측 혹은 단정 의미 포함’의 표현이라면 ‘-ㄴ(ㄹ) 것 같다’는 ‘감각적 경험에 의한 추정 혹은 단정 의미 미포함’의 표현이다. 또한, 짧은 관형절로 된 ‘-ㄴ 것이다’는 ‘직접지식이 개입된 단정, 확인’의 표현, 긴 관형절로 된 ‘-다는 것이다’는 ‘간접지식이 개입된 단정, 확인’의 표현임을 확인하였다. 논술문에서 필자는 독자를 설득시키기 위한 다양한 언어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주장에 대한 불충분한 정당화’를 보완하기 위한 ‘것’ 양태 구문의 기능을 텍스트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결속구조’, 강조법 범주를 실현하기 위한 ‘강조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양태 구문의 기능을 알고 적절히 사용한다면 글의 결속성은 물론 본인의 의도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양태 구문을 통합 구성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 방안으로 ‘구문 교육’을, 학습자들의 글에서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한 의미 범주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교육 방안으로 ‘표현 문법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구문 교육과 표현 문법 교육을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use and function of Korean modality construction including bound noun of ‘geos(것)’, and to discuss the education measures of modality construction. We would like to identify aspects of use and function through learners’ sentences in essay after specific grammar forms such as modality construction including bound noun of ‘geos(것)’, ‘~l geos-ida( ㄹ 것이다)’, ‘~n(ㅣ) geos gatda(-ㄴ(ㄹ) 것 같다)’, ‘~n geos-ida(-ㄴ 것이다)’, and ‘~daneun goes-ida(-다는 것이다)’ are selected among various expressions to persuade other peopl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education measures for modality construction. ‘~l geos-ida(-ㄹ 것이다)’ is the expression of ‘speculation based on common sense or meaning of assertion is included’. ‘~n(ㅣ) geos gatda(-ㄴ(ㄹ) 것 같다)’ is the expression of ‘speculation based on sensory experience or meaning of assertion is not included’. In addition, ‘~n geos-ida(-ㄴ 것이다)’ of short Adnominal Clause is the expression of ‘assertion or confirmation in which direct knowledge is intervened’ and ‘~daneun goes-ida(-다는 것이다)’ of long adnominal clause is the expression of ‘assertion or confirmation in which indirect knowledge is intervened’. When writer uses various language devices to persuade readers in sentences in essay, the function of modality construction of ‘geos(것)’ is the ‘cohesion’ to increase text cohesive power and ‘emphatic expression’ to fulfill the category of emphasis. If learners know the function of modality construction and use it properly, cohesion of writing as well as the intention of writer will be emphasized. ‘Construction education’ is proposed as the education measure to recognize the modality construction as integrated configuration. ‘Expressive grammar education’ is proposed as the education measure required for the process to find and correct the errors of meaning category not properly used in learner’s writing. We expect to continue to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based on construction education and expressive grammar education discussed in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