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행정정보공개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Administr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초록/요약

We come across countless information in our daily lives and the information is playing a role as an important factor that decides the quality of human life. However, the issue to be warned against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s the concentration and monopolization of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nd to guarantee people's rights to know, Public Administr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as finally created. In Korea, Public Administr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has been operated since 1998. There is no doubt that the system has contributed as a representative system to ensure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conduct of state affairs as well as people's rights to know. Despite its positive achievements, however, the further improvement in operation is required even now.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Act on Disclosure of Information to suggest a step toward improvement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introduced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ystem with annual report by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is paper indicates the following problem in the conduct of Public Administr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First, the unclear non-disclosure criteria lead to different decisions about the same issue by some institutions. Second, conducting of cases exceeding the legal processing period without justification depreciates the value of information. Third, the excessive fees for access to information often lead people to give up their reques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Fourth, the majority of managers do not know enough about Public Administr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often take negative and passive attitudes. Fifth, there are many cases that some people request excessively abstract information with malicious intent or without purposes. And they often refuse to receive the data after requesting a large quantity of information. The solutions for the issues can be addressed as follows: First, the common disclosure criteria of information for every public institution need to be established to ease the decision about acceptance or rejec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econd, managers in charge are required to manage the request within the legal processing period because delayed handling degrades the value of the information significantly. Third,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ould have a specific standard for disclosure period, timing, or methods and standardize the disclosure subjects. Fourth, the deposit system for the case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fee needs to be considered to prevent the abuse of claim for disclosure of information. Fifth, the managers in charge should have the active attitude towar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because the system can be us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manager. In addi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appeal processes, the proper measures for the relief should be taken for the people who were refused the request for the information disclosure.

more

초록/요약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수많은 정보를 접하며, 정보는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정보사회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사항 중에 하나는 정보의 집중과 독점화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자 마련된 것이 행정정보공개제도이다. 우리나라는 행정정보공개제도를 199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공개제도가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국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대표적인 제도로서 기여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정보공개제도 운영이 이룩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보공개제도 운영상의 개선이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공공기관의 행정정보공개제도에 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보공개법”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행정안전부의 “정보공개연차보고서”를 중심으로 행정정보공개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비공개사유의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일부 공공기관에서 같은 사안에 대하여 기관에 따라 다른 결정을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정당한 사유 없이 법정 처리기간을 초과하여 사안을 처리하여 정보의 가치를 현격하게 저하시킴으로서 정보공개제도의 유명무실화를 가져오는 결과마저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정보공개수수료 부담의 과다로 인하여 정보공개 청구를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상당수 정보공개 담당자들은 행정정보공개제도에 대하여 충분히 알지 못하며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부 국민의 악의적 혹은 목적 없이 과도하게 자료를 요구하거나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추상적인 정보공개 요구하는 경우 또는 다량의 정보공개를 청구한 후 수령을 거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개대상정보에 대하여 모든 공공기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에 대한 공개기준을 설정하여 각 기관에서 공개여부를 쉽고 통일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법정처리기간의 미준수와 신속하지 못한 정보공개 처리는 정보의 가치를 현격하게 저하시키므로 정보공개 담당자의 법정 처리기간의 철저한 준수가 요구된다. 셋째, 공공기관의 행정력 부담 완화를 위하여 국민생활과 밀접한 행정정보는 공개주기 및 시기, 방법 등을 마련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기관별 공개대상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보공개 청구권 남용사례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금액 이상의 수수료가 청구되는 정보공개 건에 대하여 수수료 보증금을 선납하도록 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보공개제도는 담당자의 의지에 따라 그 운용이 좌우되므로 국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공개 담당자들의 적극적이 공개의지가 함양되어야 한다. 또한 불복처리절차의 개선을 통하여 정보공개를 거부당한 국민이 손쉽게 구제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