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뱅킹 이용과 라이프스타일 변수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Banking Usage and Lifestyle Variables
- 주제(키워드) 스마트폰뱅킹 , 라이프스타일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임채운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전문대학원 서비스시스템경영공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11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원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기술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응용분야의 다양한 확대가 이뤄짐으로 인해 금융에 있어 디지털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금융기관들은 IT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채널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의 은행채널은 오프라인지점에서 ATM기, 폰뱅킹, 인터넷뱅킹을 지나서 이제는 스마트폰 추세와 맞물려 스마트폰뱅킹이라는 훨씬 진보된 은행채널을 탄생시키기에 이르렀다. 특히 3G기반의 스마트폰뱅킹은 기존의 모바일뱅킹이나 인터넷뱅킹과 같이 보안이 허술하지도 않으며 단말기의 고사향 및 대화면으로 인해 훨씬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계좌이체, 조회, 청구서 관리와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만 제공하던 모바일뱅킹과 달리 스마트폰뱅킹은 PC기반의 인터넷뱅킹과 유사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기관으로부터의 청구내역, 납부일정 등을 통합 관리 할 수 있어 미래의 새로운 금융문화를 창조해 나가는데 있어 핵심역량을 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폰뱅킹일지라도 아직까지 스마트폰뱅킹이 은행채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2%에 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빠른 이용자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송금, 이체와 같은 적극적인 서비스의 이용이 아닌 단순조회 서비스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스마트폰뱅킹이 아직 보편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며 사용자들이 새로운 은행 채널의 혁신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는 수용의 단계에 있다, 스마트폰뱅킹 서비스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행동적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특징적인 차이를 구분하고 구분 되어진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특징적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특징적 차이를 통해 은행 및 통신사의 고객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라이프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별로 금융서비스 채널를 이용하는 것과 금융서비스 유형을 이용하는데 있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뱅킹 애플리케이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의 모색과 국내 스마트폰뱅킹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야외활동형, 정보추구형, 개성추구형, 얼리어댑터형, 저축성향형의 5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요인과 금융서비스 채널선택 및 유형 변수간의 어느 정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5가지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금융서비스 채널 및 유형 변수간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첫째, 야외활동 성향이 강할수록 채널 이용면에서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한 거래를 적게 이용하고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한 거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서비스 유형에서는 환율조회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추구 성향이 강할수록 채널 이용면에서는 대면거래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서비스 유형면에서는 공과금납부 서비스를 적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성추구 성향과 금융서비스 채널을 이용하는데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개성추구 성향과 금융서비스 채널은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서비스 유형면에서는 수표조회 서비스와 신탁 서비스는 적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얼리어댑터 성향이 강할수록 채널 이용면에서는 대면거래를 적게 이용하며, 스마트폰뱅킹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서비스 유형면에서는 잔고조회 서비스, 펀드 서비스, 그리고 방카슈랑스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저축 성향과 금융서비스 채널을 이용하는데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저축 성향과 금융서비스 채널은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서비스 유형면에서는 잔고조회 서비스, 예금신규 서비스, 방카슈랑스 서비스, 그리고 제증명발급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뱅킹 연구에 있어서 인구 통계학적이 아닌 AIO 접근법을 토대로 두고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스마트폰뱅킹 연구에서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연구 목적에서와 같이 라이프스타일 특성간에 금융서비스 채널을 이용하는 것과 금융서비스 유형을 이용하는데 있어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얻어낸바,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통해 고객을 세분화 하는 것은 스마트폰뱅킹을 마케팅 하는데 있어서 큰 의미가 있으며 은행이 스마트폰뱅킹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적절한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본 논문이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more초록/요약
A digital revolution in the financial world has been sprung up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networks. Each financial institutions takes full advantages of IT technology to develop new channels which can offer the reduction of the expenses and, what is more, creation of new earning models. For example, Mobility and Connectivity became influential factors since the late 1970’s by the appearance of ATMs(Automated Teller Machines) that took place of limitations of Bank business hours and locations. Smartphone banking services have a more secure device and a simple user interface comparing to mobile banking and internet banking. Against this simple and secure user oriented system, Smartphone banking services still have taken up a considerably low as less than 6.2% by the bank Channels. The increase in smartphone banking usage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not only its technological elements but als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sers. As a means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behaviors, the population statistics was generally us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lifestyle of respon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ervices channel and lifestyle fact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ervices type and lifestyle factor. As the first step of the study, I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from October 10-14, 2011. The final item contents have been determined by a pilot test performed with some smart phone users for validity and clarity of the questions considering their age, gender, and jobs. At the second step, I conducted a off-line survey between October 18-28, 2011.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is study used off-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27 respondents. Among them, 220 copies of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its analysis. The question items are a total of 53 questions on lifestyle of 27 questions, finance service channel usage of 4 questions, and finance service type usage of 13 questions. Also 6 item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Package Program. In order to test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yles and the channels of financial services and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yles varies the types of the financial services had been found. This research can be said as the first research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ife styles and online banking on the smart phones. Based on AIO approach, not demographic approach, a new standard, named life styles, had been tried on the research of online banking on the smart phon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with the types of life styles, and unnecessary marketing can be reduced so that the banks can reduce the cost for marketing and utilize the measured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 the customers can be departmental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styles in the smart phone banking service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becomes useful in establishing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smart phone banking servi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