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주 초기 이민의 출판 활동에 관한 연구 : 1907∼1919년까지「공립신보」와「신한민보」에 게재된 출판물을 중심으로

Print Media by Early Korean Immigrants in America:Based on the Printed Contents within Gonglipshinbo and Shinhanminbo, 1907~1919

초록/요약

한 시대에 유통된 출판물은 살아있는 사회의 산물로,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공존하며 그들이 추구한 다양한 가치를 추적해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초기 이민의 출판물 역시 예외가 아니다. ‘미주 초기 이민의 출판 활동에 관한 연구’는 초기 이민이 시작된 1903년 이후 미국에서 이루어진 출판 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1905년 발간된 신문「공립신보」의 실물이 존재하는 1907년부터 그 신문이「신한민보」로 이름이 바뀐 후 1919년까지를 대상으로 했다. 초기 이민은 정치적 횡포와 경제적 수탈로 불안했던 시기에, 이민에 대한 사전 교육을 받거나 외국의 문화를 배우지 못한 채 고국을 떠났다. 특히 1905년부터 일제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을 지배하였을 때 교육과 애국계몽 운동은 한국 사회의 지배적 패러다임이었다. 그러한 바탕으로 무장되어 미국으로 망명하였던 정치 망명객이나 지식인 유학생들은 이민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출판물을 발간하고 수출입을 하면서 이민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애국사상을 고취시키며 초기 이민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주 초기 이민의 출판 활동 연구를 위해 먼저 초기 이민의 역사와 정치, 문화, 사회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초기 이민의 가치관과 출판에 대한 인식과 욕구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미주 출판의 태동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주에서의 인쇄술 발명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고, 출판물의 발행 주체와 발행 형태, 출판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출판물 유통 업체와 유통 방식 및 배송, 그리고 독서 권장을 위한 출판 주체들의 판매 전략과 수출입 상황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초기 이민은 미국이라는 낯선 땅에서 고독과 소외를 겪으며 독립을 향한 소망을 출판물을 통해 이루려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국의 정치적 변화는 이민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한글을 보존하려는 열망과 출판물 발행과 보급에 전력을 다하게 했다. 신식 활판 인쇄술을 발명해 외국에서 우리 힘으로 한글 출판물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했고, 초기 이민의 정보화와 문화 창달에 기여하며 한인의 뿌리를 지키고 자긍심을 가지게 했다. 출판의 공적 책임과 사회적 역할을 역사적 맥락에서 재해석한 이 연구가, 미주 출판을 한국 출판 영역의 확장으로 재조명하고 미주 이민사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blished media circulated in a given time period is the surviving evidence of and glimpse into that era. They offer us direction when searching for the various values and motivations maintained and pursued by the people of that time. The publications of the early Korean immigrants is no exception. This study on ‘Print media by Early Korean Immigrants in America’ is about books, other printed materials, and the activities and distribution of publications by Korean immigrants to America, beginning in 1903 and following. The main resource of this study is the newspaper published during the early immigration years. The earliest actual printing of Gonglipshinbo preserved today is the one issued in 1907, although the first publication began in 1905. The period focused in this study is from 1907 to 1919, when the same newspaper changed its name to Shinhanminbo. Politically oppressed and economically exploited, the early Korean immigrants left their motherland without knowing what they would face in the new country’s vastly different culture. In 1905, Japanese occupation worsened conditions in Korea, and as the Japanese took over Korean politics, the economy, and social activities, the paradigm of the Korean elite escalated the emphasis on enlightenment and patriotism of the people. The political exiles, leaders, intellectuals and students provided the immigrants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publishing and importing and exporting local guides. They created an infectious patriotism that affected all the followers, offering those in America a life vision for their community. The study begins by first research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of the early immigrants and then further investigates the extent of the environment's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igrants' perception of and desire for the published media. The findings then reveal the value and motivations of the early Korean immigrants' publication activities. The study analyzes the publication activities of the printing technology, processes and roles of the technology, methodology, institutions of pub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It also looks into the merchandising, distribution channel, statistics, subscription strategy, delivery methods and statistics of imports and exports. In conclusion, the early Korean immigrants, living in an unfamiliar culture with loneliness and homesickness, reached out to the world of publication to satisfy their hope and desire for the independence of their home country. The political changes resulting from Japanese occupation drove Korean immigrants into even higher enthusiasm for sustaining the use of ‘Hangul’ by publishing media in Korean and ensuring its wide distribution. The invention of a new type of printing technology, the Letterpress Typography of ‘Hangul’, vitalized communication between early immigrants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culture to society at large. Furthermore, it opened the doors for mass publication of Korean literature, which greatly impacted and fostered the self-esteem and pride of the early Korean immigrants. In light of acknowledg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rint media and its role analyzed through the thread of historical connection, it is my sincere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and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open a new door to the greater opportunity for publishers to recognize the value and meaning of media in the United States, going beyond the present territorial boundary of publications in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