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미디어교육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 주제(키워드) 다문화 미디어교육 , 다문화 인식 , 미디어교육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양은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08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미디어교육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그 유용성과 의의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정리했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개념은 미디어교육을 통한 다문화교육으로서 미디어에 재현된 다문화 관련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자신의 의견을 창의적으로 표현, 소통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실천이라고 정의했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은 미디어가 재현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실의 허구성과 이데올로기성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지구촌화된 현실 공간에서 다문화적 의미를 수용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데에도 직접 참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다문화에 대한 지식, 감정, 태도 면에서 인식의 긍정적 변화를 꾀하는 것이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 D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천하였다. 수업은 8차시 분량으로 다문화 관련 내용이 포함된 애니메이션, 영화, 광고를 비판적으로 감상하고 다문화를 주제로 한 동영상 UCC를 학생들이 직접 제작·감상하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했다. 먼저 수업 전·후 다문화 인식과 미디어 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다문화 미디어교육이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과 미디어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양적분석을 실시했다. 이때 실험집단과 같은 학교, 같은 학년의 통제집단을 설정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보다 더 엄밀히 검증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참여관찰, 학생들의 활동지와 수업일지, 수업 후 심층면접 내용 등을 분석하여 질적방법으로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효용성 검증을 보완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영역의 다문화 인식과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능력 측정 결과, 다문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에서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는 수준의 긍정적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 전 다문화의 뜻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학생보다는 어느 정도 알고 있거나 전혀 모르는 학생에게서, 가상의 다문화가정 친구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보다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에게서 교육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다른 문화적 배경을 접했을 때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직접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해보는 활동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바람직한 행동을 체화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은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통해 다문화 현상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사회의 불평등 문제에 관심을 갖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올바른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지 않은 시점에서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정리하고 실제 수업을 통해 교육의 효과를 검증해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림책 중심의 다문화 교육에 방법론적 다양성을 제공했다는 점에서도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 동안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교육 내용을 충분히 실행할 수 없었다는 점, 연구대상이 서울의 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4명으로 소규모라는 점 등은 한계로 남는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t will precisely be a work to evaluate educative effect of multicultural-themed media education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ity. To achieve this purpose, based on critical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above all things I define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objectives as below.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is, as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actice to cultivating students' critical perception and analysis of multicultural-themed media contents and its messages, and further to instructing them on how to creatively express their own opinion and communicate it. The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learn to think critically about a fictional representation or a political ideology of pseudo-reality in media. And to help students learn to intervene actively in the ever-changing media environment, in the creation of a culture as well in today's global era, with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values, so thereby to seek many positive changes in all aspects of knowledge, emotion and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al. To approach the subject for inquiry of this study, I conducted classes eight times targeting fifth graders in D primary school, in Seoul. The teaching plan is composed of critical watching multicultural-themed animation films, movies, advertisements and of making their own multicultural-themed UCC video clips. This study is complementarily developed in two analytic levels, viz.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In the quantitative analytic level, I did a survey concerning the multiculture understanding and the media capability before- and after-class. This survey is to observe how effective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could be in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ceptive capability about the multiculturality. For a more reliable survey, a control group was selected of the same grade and school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ome methods using in the qualitative analytic level are as below;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alysis of students' activities log and daily lesson log. According to the data, when measured the media capability, viz.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 under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gain the ability to (critical) underst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hange occur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applied. Besides, educational effects are more high to students who do not know what the multicultural is or who have some half-knowledge of it than students who know well, and to students who have positive attitude than negative one towards imaginary multicultural families' friends. The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students make it possible to critically understand today's multicultural realities and to learn how they should behave when they contact other cultures. And their own activities of media contents making lead them to form a desirable behavior pattern. In other words, students can consider more deeply the multicultural phenomena, and also can cultivate an upright civility which respects all cultural diversity.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a full-scale study on the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has not yet started, this one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It attempted an formulation of concept and objective of the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hrough actual lesson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has educationally effective values. One more thing can be added that this study proposed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ecause the existed methodology of the latter is weighted towards picture book. Insufficienc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nsity of lesson was not satisfactorily high because of lack of tim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s small scale, as 104 students of fifth grade in a primary school, Seou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