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냉전기 미국 중심의 인도주의 개입 결정에 관한 연구 : 소말리아, 르완다, 코소보, 수단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 centered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Decision during the Post-Cold War era : The cases of Somalia, Rwanda, Kosovo and Sudan
- 주제(키워드) 인도주의 개입 , 국제 분쟁 , 미국 중심 , 소말리아 , 르완다 , 코소보 , 수단 다르프르 , 탈냉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류석진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국제관계·통상외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06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인도적 문제를 유엔을 통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시작하였다. 탈냉전 이후 국제사회는 분쟁에 따른 대량 학살 사태가 발생하면서 지금까지 유지되어 왔던 주권불개입원칙에 대립되는 인도주의 개입의 새로운 아젠다가 등장하게 되었다. 냉전 종식 후 발생한 분쟁은 종교, 인종, 기근, 테러, 민족 등 그 원인도 다양하다. 또한 분쟁 발생 여파가 국내에 머물지 않고 국경을 넘어 확장되기 때문에 그 문제의 심각성은 매우 높다. 지금까지 국제사회는 분쟁에 따른 인도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유엔을 중심으로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대표적인 활동이 유엔의 평화유지군 활동이다. 하지만 유엔은 국가들의 집합체라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고, 강대국을 뛰어 넘을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적이고 신속한 개입을 할 수 없는 약점으로 개입에 대한 성과가 미비하다. 그렇다고 분쟁에 대해 국제 사회가 방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엔을 대신에 개입의 성과를 낼 수 있는 국가로 미국이 유일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에 놓고 논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탈냉전 시기에 발생한 분쟁 중 소말리아, 르완다, 코소보, 수단 사례를 선정하여 미국의 클린턴 정부와 부시 정부시기에 분쟁에 대해 인도주의 개입 결정 요인의 주요 변수를 찾는데 있다. 또한 클린턴 정부가 추구했던 자유주의 외교정책과 부시 정부가 추구했던 국가 이익중심의 외교정책에 따른 인도주의 개입 결정에 다른 양상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인도주의 개입 결정의 주요 요인으로 크게 국내적인 요인과 국제적인 요인을 구분하여 논하고자 한다. 국내적 요인으로는 정부의 외교정책, 의회의 구성, 여론, 경제, 안보 등을 선정하였고, 국제적인 요인으로는 유엔의 역할, 동맹 국가와의 관계, 분쟁 국가의 정부 태도 등을 선정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처럼 4개 분쟁 국가 사례 선정으로 적은 사례이지만 미국의 개입 결정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고 있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과소 사례와 최대 변위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존 스튜어트 밀의 일치법(method of agreement)과 차이법(method of difference)을 바탕으로 개입 결정요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분석틀을 가지고 각 사례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입 사례인 소말리아의 경우 국제적 요인보다 국내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개입을 결정하였다. 국내적 요인으로는 첫째, 클린턴 정부의 외교 정책, 둘째, 미국 의회의 구성과 방향, 셋째, 매스컴을 통한 인도적 여론 확산 등을 들 수 있다. 코소보의 경우 국내적 요인과 국제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인도주의 개입을 결정하였다. 국내적 요인으로는 첫째, 정부의 외교 정책, 둘째, 의회의 구성과 방향이 개입 결정에 영향을 주었다. 국제적 요인으로는 첫째, 미국과의 지정학적인 관계, 둘째, NATO와의 동맹체제 따른 신뢰도 문제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비개입 사례인 르완다 경우에는 국내적 요인이 인도주의 비개입 결정 요인에 영향을 주었다. 그 원인으로 첫째, 정부의 외교 정책 방향의 변화, 의회 구성과 방향의 변화, 셋째, 소말리아에 대한 개입 실패에 따른 여론 악화 등의 요인으로 인도주의 개입을 결정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단의 경우에도 비개입 결정요인으로 국내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 원인으로는 첫째, 부시 정부의 외교정책의 방향(이익 중심의 선별적 개입주의), 둘째, 의회 구성과 방향으로 비개입 결정의 결과가 나왔다. 이를 종합해 보면 인도주의에 개입을 결정함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국내적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중 분쟁 시기에 해당 정부의 외교 정책과 의회 구성과 방향이 주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 외 분쟁 국가와 미국과의 지정학적인 관계 부분이 개입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국제사회에서 분쟁 국가에 대해 인도주의 개입을 추진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인식되는 측면이 개입을 추진하는 국가에 대한 정당성 확보 부분이다. 하지만 아직 국제사회에서 미국에 의한 인도주의 개입은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현재 미국 외에 국제 사회에서 발생하는 대량 학살을 막고 예방할 수 없다면 보다 정당성을 가지고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과 합의가 이루어질 때 실질적으로 인도주의 개입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thesis has started to find more effective way of resolving humanitarianism issues which are caused by conflicts, rather than just depending on the United Nations after the Post-Cold War era. In the aftermath of the Post-Cold War era,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through genocides based on conflicts, and the new agenda, the advent of humanitarianism involvement, has appeared against the original concept - the nonintervention of sovereignty. Conflicts happened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can be found in various reasons such as religion, race, famine, and ethnic group. Morever, since the aftereffects of conflicts have a tendency not only staying in the domestic level but also extending to the international level, it is considered as highly serious issue. Until now,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used to put much effort according to United Nations-oriented methods when humanitarianism issues occur. For instance, the United Nations provides the Peacekeeping Forces. However, the United Nations wouldn’t be able to decide independently because of its structural character of “United Nations” and possess the strength over global powers. Therefore, it has a flaw of not being able to intervene independently and not much of result comes out yet. Yet,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not in the position to ignore conflicts that are happening now. And the United States is the only country that can exercise actual intervention influence instead of the United Nations, thus, this statement will examine ‘intervention’ with the United States as the central subject. This statement selects cases in Somalia, Rwanda, Kosovo, and Sudan during the Post-Cold War era, and looks for the major variable factors to decide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on conflicts under the Clinton administration and Bush administration. This also suggests comparing Liberalism foreign policy from Clinton administration and the US national interest centered policy under Bush administration based on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decision as well. This statement specifies two major facto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on the US’s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decision. The diplomatic policy of the government, the composition of the parliament, public opinion, economic and the national security are regarded as Domestic factors, and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relationship with allies and government’ attitude of conflicted country are considered as international factors. Like it is, four case studies might be small, yet, it is required to overcome few instances and maximum displacement to analyze the variable existing structure about the US’s intervention decision. So this statement would like to examine intervention decision factor according to John Stuart Mill’s method of agreement and method of difference. Based on the structure mentioned above, decision factors could be distinguished as follows. Firstly, the case of Somalia was decided to intervene as a result of domestic factors rather than international factors. Domestic factors are including foreign policy under Clinton administration, composition and direction of parliament, and public opinions on humanitarian through media. In the case of Kosovo,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was determined due to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tional factors. Domestic factors involve foreign policy of government and composition and direction of parliament and they influence on intervention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factors are considered as the geo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 US and the credibility on alliance with NATO. To contrast, the case of Rwanda had been influenced by domestic factors on humanitarian non-intervention decision. Reasons that Rwanda concluded not to intervene ar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government’s foreign policy, the change from components and the direction of the parliament and the deteriorated public opinion on failure of intervention in Somalia. Lastly, in the case of Sudan, the domestic factors were weighted to determine not to intervene. Results are made by the US national interest centered policy under Bush administration and composition and direction of parliament. In a nutshell,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at led to the decision of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comes from domestic factors. Especially, each government’s foreign policy and component and the direction of parliamentary system are major factors. Also the conflicted countries’ geo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 US partially had an impact as an intervention decision factor.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is considered very significantly that promoting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in conflicted countries needs to secure legitimacy of its action on each country. However, the United States-centered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hasn’t possessed legitimacy. If there are no solutions for abandoning and preventing genocide occurred in some countries except the US’s intervention,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required to procure legitimacy and attempt to make practical effects. When international society’s efforts and consents on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are made, actual results from humanitarianism intervention will be show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