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부정부패의 요인 분석 : 민선1기 이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부정부패 , 공무원 , 지방자치단체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양승일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0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인 지방자치제도가 지방공무원의 부정부패로 그 존립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출발하여, 지방공무원 부정부패의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로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직선제 이후로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조직적 범위로는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및 그 산하 공무원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중앙공무원 위주의 부정부패 연구 경향을 탈피하고, 공무원 부정부패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정형화된 도식화에서 벗어나 지방공무원의 부정부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좀 더 입체적인 분석틀로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분석된 요인별로 맞춤형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공무원 부정부패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어,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경향 및 지방공무원 부정부패의 사례와 부작용들을 살펴본 토대로, 중요성 차원의 두 가지 요인인 핵심적 영향요인과 주변적 영향요인, 발생지점 차원의 두 요인인 조직적 영향요인과 환경적 영향요인의 기준을 설정하여 두 차원의 각 요인들을 교차적으로 조합하여 분석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핵심적-조직적 영향요인으로는 ‘고비용의 선거구조, 지방공무원의 신분불안’을 핵심적-환경적 영향요인으로는 ‘유교적 문화전통, 신지역주의’를, 주변적-조직적 영향요인으로는 ‘감사기관의 비효율적 시스템, 지방정부 조직의 비분권화’를, 주변적-환경적 영향요인으로는 ‘비경쟁적 시장구조, 결정과정에서의 불투명한 사회적 관행’을 지방공무원 부정부패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해당 요인에 근거한 개선방안으로 핵심적-조직적 영향요인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선거공영제의 확립, 지방선거 후보자 정당공천 배제, 지방공무원 인사제도 개선’을, 핵심적-환경적 영향요인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정책윤리의 내면화, 이익충돌 규제 원칙의 제도화’를, 주변적-조직적 영향요인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지방중심의 반부패 감시 시스템 구축, 반부패 거버넌스의 구축, 온라인 민원처리 확대’를 주변적-환경적 영향요인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지방 회계의 투명성 확보, 지방정부 정보공개의 적극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공무원의 부패문제가 그동안 많이 이슈화되어 온 중앙의 국가공무원 부정부패 못지않게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그 동안 중앙정부의 부정부패의 작은 축소판 정도로 여겼던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방정부 고유의 부패도 양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여러 부정부패 사례들과 통계자료는 중앙공무원보다 시민과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접촉을 하고 따라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지방공무원들의 부정부패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발생요인도 중앙공무원과는 다른 양상이며, 따라서 개선방안 역시 그에 따른 맞춤형 처방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problem that the municipal system that is the very origin of democracy is threatened by the corruption and graft of official and it aims to analyze factors of corruption and graft of local official as well as to derive solution and improvement. The time range was just after the direct nomination of municipal head in 1995 for the research and the organizational range was municipal group and local council, subclass official. This research aimed to avoid the previous corruption and graft research trend based on central official, typical structure of previous researches on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official then to derive effective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local official in more 4D analysis format with individualized solutions for each analyzed factor. In analysis of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local official,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 and trend, cases and side-effects, we set two important factors- core and surrounding factors, two generation factors- organiz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perform cross-analysis of each factor in two different point of views. The summary is as below. It is 'high-cost election structure, insecure identity of local officer' as a core-organizational, 'confucian tradition, new regionalism' as a core-environmental, 'inefficient system of auditing organization, non-separation of the municipal government' as surrounding -organizational, 'non-competitive market structure, impermeable social custom' as surrounding-environmental effect factors for the reason of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local official. Also, as a improvement and solution based on corresponding factors, there were 'establishment of public election system, exclude the party of candidate for local election, improvement of appointment of local officer' as core-organizational, 'internalized political ethics, systemized principle of profit conflict avoidance' as core-environmental, 'establishment of local-oriented anti- corruption and graft audit system, anti- corruption and graft governance, expansion of online civil service' as surrounding-organizational, 'secure permeability of local accounting, active open system for information of local government' as surrounding-environmental for solutions. Based on this research, it was recognized that the issued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local official is in very serious situation as much as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national official.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previous small sized corruption and graft modeled by central government is now unique corruption and graft of local government. It was clear that rather many corruption and graft cases and statistic data had more contact with public than central official and therefore there are more generations of corruption and graft factors of local official who have close relation and the causes are in different state that central official. Thus, it suggests that there is different, individualized prescription for ea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