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북 라디오 방송 청취 실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Radio broadcast to the North and its effectiveness

초록/요약

북한은 주민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 물리적 처벌이 일상화 되어있고 외부와의 정보차단을 통해 권력을 유지해나가는 폐쇄국가의 전형이다. 폐쇄국가는 특히 외부와의 정보차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북한은 폐쇄국가의 전형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국가를 통치해왔다. 그러나 최근 남한에 정착하고 있는 탈북자들의 증언에 의하면 외부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이 북한 내로 확산되는데 과거와 같이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고 북한주민이 과거에 비해서 외부정보를 접하는 기회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북한에 외부정보가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 경제위기가 본격화되고 이후 탈북행렬이 급속히 증가한데서 직접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탈북자중 일부는 중국에 편입이 되고 그 중 일부는 한국에 정착하고 그 중 다수는 다시 북한에 돌아가 북한사회에 편입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탈북 한 경험이 있는 다수의 북한 주민이 중국으로 대표되는 외부의 실상을 북한사회에 확산시켰고 외부의 정보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경제난 이후에 본격화되기 시작한 공식적인 무역과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밀무역을 통해서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로 대표되는 한국문화가 급속도로 유입되면서 한국을 비롯한 외부세계의 정태적인 정보가 유입되었고 외부사회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시켰다. 또한 북한을 떠나 한국에 정착하고 있는 탈북자들이 가족들과 연락을 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외부의 정보와 북한 당국에 의해서 차단된 북한내부의 정보가 급속도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외부의 정보유입 중에서도 주목할 부분이 북한주민들을 대상으로 송출되는 대북라디오 방송이다. 다른 매체를 통해서 유입되는 정보와는 다르게 북한주민에게 송출되는 대북라디오 방송은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정세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현장성과 동시성, 광파성, 침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북한당국에서 차단하고 있는 한국과 국제사회의 유용한 정보가 북한 주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대북라디오 방송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거 국가차원에서 진행되었던 대북라디오 방송과는 차별화를 두고 있으며 외부의 객관적 사실에 기초한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북한당국은 외부의 정보를 차단하기 위해 개인이 단파라디오를 소유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대북라디오방송을 청취하는 것을 적발. 처벌하고 있지만 북한주민의 외부정보에 대한 요구는 갈수록 증대하고 있고 대북라디오청취는 증가하고 있다. 연구조사에 의하면 북한에서 대북라디오 청취 경험이 있는 북한주민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북한 주민들이 외부 정보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탈북자의 증언에 의하면 처음에는 호기심에 시작했던 대북라디오청취 행위가 점점 일상화되는 경향이 있고 외부의 정보를 듣다가 듣지 않으면 밖에는 어떤 소식이 있을까 궁금해진다고 한다. 북한에서 외부라디오를 듣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북한 주민의 대북라디오 청취행위는 갈수록 광범위하고 대담하고 일상화되어가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최근 국경지역에서는 외부라디오를 청취하는 사람은 10가구에서 5~6가구정도 된다고 증언하고 있을 정도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사회는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외부사회에 노출이 되어있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 주민들의 생활과 사고방식은 과거와 다르게 이중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경제난 이후에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 및 노래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고 한국의 옷차림이나 말투나 유행의 흐름이 빠른 속도로 전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당국의 단속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주민의 외부세계에 대한 동경과 호기심은 외부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해주는 대북라디오방송 청취 증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주민의 대북라디오 청취는 북한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첫째, 외부정보에 대한 요구 증대와 정보획득 수단의 변화 둘째, 북한당국과 한국, 미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 셋째, 북한 주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형성에 기여 넷째, 북한체제의 잠재적 불안요인 증대 등이다. 북한 당국은 대북라디오 방송을 통해서 전달되는 외부의 정보를 차단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첫째, 주민들에 대한 교양사업을 강화하고 대외적인 선전전을 전개하는 정치적 대응 둘째, 감시와 단속, 처벌을 강화하는 법. 제도적 대응 셋째, 대북라디오방송에 대한 방해전파 송출 및 자동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기술적 대응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이 효과가 클 것인지는 의문이다. 당국의 의도대로 단속과 강화에 앞장서야 할 간부층이 대북라디오 방송의 주요 청취 계층이고 감시와 처벌을 감수하고서라도 외부정보를 듣고 싶다는 사람들의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해전파가 대북라디오 방송 송출의 주파수 전체를 막기에는 방해전파 송출 범위와 비용 등에서 힘든 점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대북라디오 방송과 관련한 연구는 연구주제에 대한 접근의 제한으로 인해서 광범위하게 진행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대북라디오 방송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국가차원에서 비공개적이고 음성적으로 진행한다는 인식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은 학문연구의 주제로 다뤄지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대북라디오 방송이 민간차원으로 확대 및 활성화되면서 향후 대북라디오방송과 관련한 연구는 더욱더 활기를 띄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진행된 본 연구가 앞으로 대북라디오 방송과 관련한 연구에 작은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more

초록/요약

North Korea, where surveillance, control and physical punishment prevail, is the epitome of ‘Closed Country’ which stays in power through the interception of information from outside. Closed Countries consider it of great importance because the spread of information from outside makes it difficult to stay in power: When the residents are exposed to external information, they come to realize that their country’s propaganda is not true. North Korea has maintained country while having the typical features of Closed Countries. However, according to the defectors from North Korea, these days it does not take a long time for the external information to spread within the country. As a result, the residents have more opportunity to get external information compared to the past. External information began to flow directly into the country in the middle of 1990s along with the economic crisis and consequent rapid increase of defectors. Some of the defectors had been incorporated into China and others settled down in South Korea later. Others went back to North Korea. These defectors leaked the reality of China and the outside world to the North. Also, increased foreign trade(including smuggling) right after the economic downturn promoted inflow and proliferation of South Korea’s dramas and movie CD. The reality of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surprised North Koreans and caused their curiosity about the outside world. In addition, defectors who live in South Korea now began to contact with their family in North Korea and gave them information not only of South Korea but also of the inside North Korea which North Korean authorities had shut off. At this point, radio broadcast, among all sources of outside information, to the North deserves attention. Radio broadcast to the North is separated from all other media by features of being ‘present, simultaneous, and pervious’ which make it possible to convey useful information of international societies in real-time. Unlike the radio broadcast which was part of a psychological warfare done by governments, recent radio broadcast to the North plays a role in providing North Korean with facts on an objective basis. North Korean authorities prevent the individuals from possessing shortwave radio and punish those who listen to the radio to North Korea. However, the desire for external information keeps increasing and so does audience rating. According to the researches, although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are slightly different with each other,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sidents who listen to radio for North Korea is increasing. It proves that the desire for the truth of the outside world is spreading inside the country. Defectors say that North Korean tend to listen to the radio to North Korea out of curiosity first and then get used to it. Since listening to external radio is illegal in North Korea, they listen to the radio with fear at the beginning, but as they get used to it, they become less afraid of being punished; instead they get more desire for the external information. Thus, North Korean residents’ radio listening is becoming more accessible, a daring and daily act. Recently, in the border area, 5 or 6 households per 10 households seem to listen to the external radio. North Korean Society is exposed to external world to the extent we can’t compare with the past. Furthermore, their life pattern and thoughts are becoming dual after the economic crisis. South Korea’s dramas, movies, and songs are scattered over the country and South Korea’s fashion and way of speaking are spreading with great speed. These phenomenon, in my opinion, will be activated consistently in spite of crackdown. With the tendency, desire and curiosity of external world will also increase, resulting in increase in people who listen to radio for North Korea which gives information of the outside world in real-time. Actually, radio broadcast to the North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North Korean society. First, North Koreans’ desire for an external information increased along with the change of a way to obtain the information. Secondly, North Koreans’ ideas about the country, South Korea and America changed. Third, it played a role in creating new culture inside the North Korean Society. Next, anxiety toward the North Korea’s political regime increased.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trying to block the access to external information which is from radio for North Korea. First, there is political action; they strengthen political-educational role and use the propaganda externally. Secondly, institutional action; they reinforce the surveillance, crackdown and punishment. Third, technological action; they set up propagation disturbance or jamming. However, we are not sure whether it will be effective since even the officials who are charged with the crackdown enjoy listening to the radio to North Korea and the residents who are willing to listen to the external information despite the punishment are increasing. Also, there is a limitation when using propagation disturbance. In the past, the research about radio to North Korea was not been achieved extensively due to the limitation of access to the research subject; radio broadcast to the North was only considered as political, private, and confidential. However, recently, radio broadcast for North Korea is getting activated and spreading to the public. That is, the research about radio for North Korea will be likely to be more activated. I hope this research will help other researches about radio broadcast to the North in the near fu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