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설시조의 여성 인물 연구

Study on Female Characters in Sasulsijo

초록/요약

본고는 사설시조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을 여성화자와 여성등장인물로 나누고 그 유형과 특성을 분류한 뒤, 그것의 기능 및 시적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시가 중 여성이 등장하는 사설시조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Ⅱ장에서는 사설시조 여성 인물의 유형과 특성을 살폈다. 사설시조의 여성 인물은 여성 화자와 여성 등장인물 두 가지로 분류가 가능한데, 여성이 화자로서 직접 발화하는 방식과 화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관찰 ․ 평가의 대상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여성 화자의 경우 외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작품 속에서 발화하는 화자의 수에 따라 1)단일 화자로서 여성 화자 2)다중 화자 속의 여성 화자로 분류가 가능하다. 단일 화자로서 여성 화자의 경우 화자의 초점이 자기 자신의 내면세계 있는 경우를 자기지향형화자로, 청자에게 맞춰져 있는 경우를 청자지향형화자로, 화제에 맞춰져 있는 경우를 화제지향형화자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자기지향형 화자의 경우 주로 독백적 발화를 통한 자신의 내면세계를 드러낸다. 청자지향형 화자나 화제지향형 화자는 기존의 여성 화자에게서 나타나던 수동적이고 신세한탄적인 모습을 넘어서 떠난 임에 대한 원망이나 본처의 첩에 대한 불만표출, 성적 욕망의 추구, 외모에 대한 자부심 표출과 같이 다양한 것을 발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중 화자 속의 여성화자는 단일 화자와 달리 ‘화자 - 화자(또는 청자)’의 대화로 이루어지는 성격이 강해 특정 화자의 내면세계로의 몰입은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는 화자들이 특정 화제에 관심을 가지고 화자들의 목소리만 나타나는 화제지향형 화자와 화제지향형 화자의 유형에서 일종의 내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제3자가 등장해 작품 밖 청자에게까지 말을 건네는 형식을 취하는 ‘화제 - 청자지향형 화자’로 유형의 분류가 가능하다. 다중 화자가 등장하는 경우 부정을 저지른 며느리에게 괜찮다고 말하는 시어머니나, 인간이 동물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이 기존 관념이나 상식에서 어긋나는 상황에서 두 화자의 대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그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여성 등장인물의 경우 역시 그 외형적 특성에 따라 어떤 성별의 화자에 의해 대상화되어지는지를 통해 1)불명확하거나 여성 화자인 경우의 여성 등장인물 2)남성 화자인 경우의 여성 등장인물로 유형 분류가 가능하다. 이때 여성 화자와의 변별을 위해 여성 등장인물의 경우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이 직접 발화하지 않고 작품 속 화자에 의해서 형상화되어지는 경우만으로 한정하였다. 사설시조의 여성 등장인물은 주로 남성 화자의 시선에 의해 드러나는 특징을 보이며 이 때 여성은 나약하고 일방적으로 보호받아야하거나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이때 사설시조의 여성 등장인물은 순수히 남성의 뜻에 의해 좌지우지 되지 않아 남성 화자의 지탄이나 원망, 풍자의 대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유형 분류를 토대로 이러한 여성 인물이 등장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던 기능과 시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새로운 유형의 여성 화자가 등장함으로써 화자와 작자의 분리가 좀 더 명확하게 일어나고 이를 통해 문학적 허구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었다. 또 성적 욕망을 추구하거나 시집에 대한 불만을 일방적으로 감내하지 않고 드러내는 것과 같은 능동적 여성을 통해 기존 가치관의 억압에서 벗어나 여성에게 금기시되던 것에 대한 일탈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단일 화자의 일방적인 내면세계 표출 뿐 만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 인간과 비인간의 대화체와 같은 다양한 발화 방식을 통해서도 솔직한 욕망의 표출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좀 더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러한 여성 인물의 등장을 통한 시적 효과로 주제의 다양화와 소재의 확장 및 관습적 수사를 벗어난 새로운 비유적 관계의 획득을 들 수 있다. 여성 인물이 이전 시기와는 다른 것들에 대해 발화하고 새로운 유형으로 등장함에 따라 작품에서 말하는 것도 통속예술적 성격을 띠고 ‘남녀 문제’나 ‘사랑과 향락’ 또는 ‘연정 및 신세한탄’등의 개인적인 삶의 애환을 주된 화제로 삼아 그 제재 ․ 소재에 대한 재미있는 표현을 통해 오락과 위안 등의 소시민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내용으로 그 주제나 표현 방식에 변화가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여성 인물의 등장은 기존의 평시조가 갖던 진지한 성격에서 벗어나 유희적 성격을 획득하는 효과를 얻었다. 여성 인물이 실생활과 밀접한 상황에서 등장함으로써 유교적 가치관으로 이어지던 작품의 의미에서 벗어나 좀 더 해학적이고 유희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앞 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인물의 특성과 여성관을 살피고 등장 배경을 밝혀 여성 인물 등장의 의의를 확인했다. 사설시조의 여성 인물의 특성은 작자와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 허구적 인물을 통해 다양한 욕망의 표현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또 자신의 욕망을 적극 수긍하고 타인의 욕망까지도 인정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처럼 사설시조의 여성 인물은 기존의 가치관을 무조건 수용하지 않고 인간의 본능을 긍정하고 자신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모습을 보인다. 조선 후기 유교적 가부장제의 성립과 함께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더욱 낮아졌다. 즉 당대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유교적 관념을 바탕으로 烈을 지향하고 남성에의 종속적 성격을 드러낸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여성 인물이 성적 욕망과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은 새로운 인물 유형의 창조라는 측면에서는 그 문학적 의의를 인정할 수 있지만, 여성의 지위 향상과 같은 근대적 여성의 발로로 보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당대인들의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여성은 가정 내부의 열녀로서의 여성과 유흥 공간에서의 성적 존재로 이중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사설시조의 여성 인물은 주로 유흥 공간에서의 성적인 대상으로 나타나며 이때 여성 인물은 남성의 욕망이 투사된 존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여성 인물이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작품 향수의 주 담당층과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살피는 것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조선 후기는 상공업의 발달 및 중인층의 성장과 더불어 서학이나 실학과 같은 새로운 가치관의 유입으로 다양한 사고가 혼재되어 있던 사회였다. 사설시조는 18세기 이래 서울과 그 부근에서 형성된 놀이문화 속에서 유흥을 위한 문학으로서 주로 중인 가객들에 의해 양반들의 잔치자리에서 시조와 함께 시조창이나 가곡창으로 연행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사설시조는 조선 후기 사설시조의 주 담당층인 중인들의 유흥적인 성격을 받아들여 진지한 성격의 평시조와는 달리 유희적인 성격의 작 품이나 일상적 욕구와 같은 개인적인 정서를 노래한 작품이 많이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작품 향수의 목적이 특정 주제를 드러내는 것만이 아니라 재미를 추구하는 것으로 초점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시조나 가사가 절제된 형식을 통해 관념적 세계관을 드러내는데 치중했던 것과 달리 사설시조에서는 사실적이고 희극적인 요소를 통해 솔직한 인간의 본능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곧 새로운 유형의 여성 인물 등장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이전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 여성 인물이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내용의 작품에 등장함으로써 문학적 객관성 및 허구성의 획득을 비롯한 주제 및 표현 방식의 확장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이 밖에도 이런 새로운 유형의 여성 인물을 통해 사설시조의 유희적 성격과 통속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여성 인물 등장의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divide female figures in Sasulsijo into two categories of female speakers and actress, classify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look into their functions and poetic effects. Sijo is Korean traditional three-verse poetry and Sasulsijo is referred to as a type having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oes research on Sasulsijo having females in it. Chapter Ⅱ took a look into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figures in Sasulsijo. Female figure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f female speakers and actress: the former speaks directly as a speaker and the latter is observed and assessed by the speaker. Female speakers, based on the number of speakers in the work considering their seeming features, could be divided into two: a single female speaker and a female speaker among multiple speakers. The single female speak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self-oriented speakers focus on the inner world of the speaker. Second, listener-oriented speakers put their focus on listeners. Lastly, subject-oriented speakers concentrate on subjects. Self-oriented speakers reveal their inner world through monologue. In the meantime, listener-oriented and subject-oriented ones go beyond passive attitudes with lamenting their situations to speak on various issues including their blame on their lovers who left them, wives' complaints against concubines, their pursuit of sexual desires and their pride of their beauty. Unlike single speakers, conversations of female speakers among multiple ones are likely to happen between speakers and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ind immersing into inner world of certain speakers. Therefore, in this case, the speak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First is subject-oriented speakers who only speak for the voices with interests in certain topics. Second is subject- and listener-oriented speakers that the third speaker shows up in the type of subject-oriented ones to act like a narrator to start talking to listeners outside of the work. In many cases, multiple speakers have unusual conversations between two speakers in situations where uncommon and untraditional things happen. For example, mothers say it's okay when their daughters-in-law have an affair, and humans and animals talk to each other. Actress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sex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ir apparent features: Actress with female speakers, and actress with male speakers. In the former case, to distinguish female speakers from actress, the study only took a look at the case that actress don't speak themselves but are presented by the speaker in the work. Actress in Sasulsijo have the feature that they reveal themselves mainly by views of male speakers where they are described as active and aggressive rather than weak, necessary to be protected or passive. In this case, actress in Sasulsijo are also depicted as the subject of male speakers' criticism, lamenting or satire because they are not easily controlled by men. Chapter Ⅲ, based on categories in chapter Ⅱ, studied functions and poetic effects showed when these female characters appeared. Specifically, with the new types of female speakers, there was a more clear distinction between speakers and writers, which could show literary fiction in a more clear way. Moreover, female speakers expressed the departure from situations prohibiting women and repression of existing values with active female characters who pursue their sexual desires and show their complaints against their in-laws rather than enduring hardships as a daughter-in-law. In addition, aside from a single speaker's unilateral revealing of his or her inner world, it became possible to display their candid desires through various ways to converse between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bore fruit of more objective and realistic expression. The poetic effects caused by these female figures include more various themes, wider range of materials and a new comparative relationship out of conventional rhetoric. Specifically, That female figures started speaking on different issues from the past and emerged as a new type features speaking in the work in popular artistic ways. Additionally, there were changes in themes or the ways to express; main topics are about sorrow and joy of lives of individuals such as 'couples' issues,' 'love and pleasure-seeking.' or 'romantic feelings and lamenting oneself' and based on those topics, themes or ways to express were diversified into the pursuit of satisfaction as average people through funny expression of the materials and themes. These new types of female figures had effects which move away from the seriousness of the existing sijo to gain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as female figures are in a more realistic setting, meanings of works could have more humorous and entertaining aspects not just restricted to Confucius values. Chapter Ⅳ,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previous chapter, took a look at characters' features and their views on women and the meaning of female figures by showing the background. Female figures in Sasulsijo feature that a variety of desires are displayed in an aggressive way through a fictional figure who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writer. In addition, they don't blindly accept existing values, consider human desires positive and are very active in expressing their desires. In this regard, it is showed that newer types of female figures with active attitude led to the changes in views on women of people living at that time. In other words, while views on women presented by sijo or gasa, a popular type of literature during Joseon period, are in favor of women's fidelity and their subordination to men, views on women presented in Pyongminsiga, poetry enjoyed by average people, are conventional and accept new types of female figures with more active attitude. This means the changes in views on women of people living at that time from females as a passive object to females as an active one. What brought the new types of women to the poetry could be identified by studying the main performers of the art and conditions at that time. The late Joseon was in the combination of various thoughts because of the inflow of new values such as Seohak or Weatern Learning and Silhak. Realistic School of Confucianis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growing Joong-in class, the class between Yangban, the upper class and Pyongmin, the lower class. Sasulsijo is a type of literature for entertainment which was part of play that had been formed in Seoul and its vicinity since the 18th century and it was played in parties for Yangban mainly by Joon-in Gagaek, the performer of Sasulsijo, along with sijochang or gagokchang. Under these circumstances, Sasulsijo accepted entertaining features of Joong-in, the main performer of Sasulsijo and unlike Pyongsijo with very serious tones, Sasulsijo had many works having entertaining features or individuals' emotions like usual desires. This indicates that the purposes of enjoying these works put their focus not only on revealing certain themes but also on pursuing fun. These changes in focus made it possible for Sasulsijo to express candid human instincts through realistic and humorous factors whereas sijo or gasa put their emphasis on abstract views of the world through restrained setting. This means that Sasulsijo had an impact on the rise of the new types of female figures. In essence, female figur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ones appeared in works with various themes in a variety of ways, which has the significance that they helped gain literary objectivity and fiction and widened the range of themes and expressive methods. Besides, there is another significance that these new types of female figures made it possible to display Sasulsijo's entertaining and conventional features in a more effective w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