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외모 만족도와 자존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다요인 인성 검사와의 관련성 탐색

A study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 focusing on the relevance with 16PF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긍정적인 심리․정서적 개념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신이 지각한 외모 만족도와 자존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요인 인성검사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에 위치한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10명, 여학생 83명으로 총 293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정추자(1984)가 번안한 것을 김미옥(1997)이 사용한 외모 만족도 척도와 Rosenberg(1965)가 제작한 것을 조영순(1998)이 번안하여 재응용한 자존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Ryff와 Keyes(1995)가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다시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수정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와 더불어 Cattell(1970)의 다요인 인성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과 다요인 인성 검사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과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은 서로 정적 상관을 보인다. 즉 외모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존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자존감이 높을수록 외모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 이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외모 만족도와 자존감이 높다는 결과이다. 둘째,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이 다요인 인성검사의 대인관계 관련 척도(온정성, 지배성, 대담성, 실리성)와는 정적 상관을 보이며 우울에 관련한 척도(불안성, 자책성)와는 부적 상관을 보인다. 또한 공상성, 진보성은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과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강도, 정열성, 도덕성, 자기결정, 자기통제는 상관 분석 결과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의 양의 영향을 받고 예민성은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의 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외모 만족도,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이 다요인 인성검사의 하위 척도에 정적 또는 부적 상관을 보이며 이는 청소년기의 심리적 요인이 성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긍정적인 심리적․정서적 개념이 결국 자신의 미래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므로 긍정적인 심리적․정서적 개념 형성을 위한 다양한 심리․정서 함양 프로그램의 도입과 활성화 방안이 세워져야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psychological and affective well-being formed in adolescence influences personality. Based on these previous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the relevance with the sub-factors of 16PF. 293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a vocational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10 males / 83 fema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cale (Jung, Chu-ja, 1984), Self-esteem scale (Rosenberg, 1965), 16PF Scale (Cattell, 1970),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Ryff and Keyes, 1995).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cale was also used in the study by Kim, Mi-ok (1997). Th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was revised by Jo, Young-sun (1998) and the Ryff and Keyes’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as revised by Kim, Myung-so, Kim, Hye-won, and Cha, Kyung-ho (2001). This study also implemen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16PF and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firstly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high scor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ice versa. The results also show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has a higher effect on self-esteem which in tur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ly,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factors (warmth, dominance, boldness and practicality),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xiety and guilty conscience), and no correlation with fantasy and sense of progress. The Correlat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ego-strength, enthusiasm, morality, self-decision and self-control are influenced by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ed by a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sensitiveness displays a negative correlation. To summarize, this study shows that the personality formation is influenced by psychological factors in adolescence suggesting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ignificantly show a positive and/or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various sub-scales of 16PF. Thus a positive psychological and affective well-being can enhance the capacity in which the adolescents make decisions and determine their own future. Therefore a range of strategic programs which lead to the cultivation of adolescents’ positive psychological and affective well-being should be introduced and revitaliz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