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여성의 부모와의 유대가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Bond with Parents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 주제(키워드) 자아탄력성 , 심리적 독립 , 부모유대 , 성인애착 , 부모애착 , 이성 관계 , 성인여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안명희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00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친밀한 이성관계가 핵심 발달과제인 2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 성인여성(N=278)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유대가 자아탄력성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매개로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결혼여부와 자녀유무가 이와 같은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았다. 부모와의 유대척도(PBI), 자아탄력성척도(ER),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척도(PSI) 중 갈등적 독립척도(CI)를 심리적 독립척도로, 그리고 불안정 성인애착척도(ECR-R)를 측정한 자료를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부모와의 유대는 자아탄력성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에는 정적상관,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에는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부모의 돌봄과 적절한 통제로 부모의 유대가 잘 형성될수록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와 분노 조절 능력으로 평가한 자아탄력성이 높아질 수 있고 부모와의 갈등으로부터 심리적 독립을 성취할 수 있으며, 이성과의 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불안과 애정적 관계의 회피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아탄력성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성취할수록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의 정도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감소하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둘째, 부와의 유대와 모와의 유대 모두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 했다. 하지만 부와 모의 유대는 모두 자아탄력성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매개로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유대관계를 적절하게 형성하지 못하는 정서적 환경에서 자란 성인여성일지라도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부모와의 심리적 갈등으로부터 독립을 성취할 수 있다면, 애인이나 배우자와의 성인애착이 불안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가 호소하는 친밀한 이성과의 문제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그리고 분노 조절 능력을 증진시키고 부모와의 갈등으로부터 심리적 거리두기를 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성인여성의 결혼여부와 자녀유무에 따른 측정변인들과의 차이는 결혼여부에 따라 기혼여성이 미혼여성보다 이성과의 불안정 성인애착 수준, 특히 불안애착의 수준이 낮게 나왔다. 이는 기혼여성의 배우자와의 관계가 미혼여성이 애인과 가지는 관계에 비해 거부와 버려짐에 대한 불안의 정도가 낮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자녀유무에 따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이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에 비해 회피애착 수준이 낮게 나왔다. 이는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이 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에 비해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친밀함과 의존에 대한 욕구를 불편하게 지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과 자녀출생이 성인여성의 애착패턴의 활성화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추론의 여지를 준다하겠다.
more초록/요약
This research is based on survey responses from women in their late 20's and 30's whose key development task is to form an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otional bond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Whether the marital status and presence of children have any influence on this process is also explored. The data from the Parent Bonding Instrument(PBI), Ego-Resiliency(ER), Conflictual Independence(CI) from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PSI) and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ECR-R)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men's emotional bond with both father and mother and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al tie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women's emotional bond with parents and their insecure adult attachment.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with the higher level of parental emotional bond through parental care and proper control, ego-resiliency, which was evaluated based on confidence, efficiency of personal relations, positive attitude and anger management skill, became heightene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conflict with parents got increased; anxiety about rejection and avoidance of affectionate bond in an intimate relationship was decreased. Ego- resilienc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al ties, however,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decreased as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increased. Second, neither the parental bond with father nor mother had direct impact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However,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al tie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ond with parents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ven those women who grew up in an emotional environment where emotional bond with parents were not optimal could build stable adult attachment if they have a healthy level of ego-resiliency and have gained independent from psychological conflict with their parent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with female clients who report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maintaining satisfy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partners. That is, interventions targeting at improving confidence and efficiency of personal relations; fostering positive attitude and building anger management skills; maintaining psychological distance from conflicts with parents maybe effective strategies to implement. Third, married women in the study had a lower level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especially anxious attachment, compared to the single women. The fact that the married women experienced lower level of anxiety about being rejected or abandoned by their intimate partner compared to single women could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with parents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may not be as stable as seemingly reported in relevant literature. The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avoidant attachment compared to those with children. Whether those women with children feel more uneasy about expressing intimacy or dependency on their husbands, possibly due to their focus on raising children needs to be explor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include whether and how marriage and child-rearing impact on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women's attachment syst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