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한국사’ 수업에서의 설화 활용 방안 : 조선시대 설화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중심으로

The way of use the tale in high school : Focused on critical read about tale of choseon dynasty

초록/요약

설화는 재미있는 이야기이지만, 민중들이 만들고 전승해가는 속에서 그들의 의식이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때문에 설화는 문헌 사료에서 볼 수 없었던 역사상이나 기존에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에 대해 다른 관점을 제공해 주는 사료(史料)가 된다. 그러나 설화는 일반사료와는 달리 문학성을 내포하고 있어 비현실적 내용이나 어려운 상징이 자주 등장한다. 설화의 사료적 성격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지 못할 경우 황당한 이야기로 인식하기 쉽다. 설화에 나타난 역사상을 이해하는 방안으로 ‘비판적 읽기’를 선정하였다.‘비판적 읽기’를 통해 학생들도 각자‘역사가’가 되어 설화 속에 담긴 민중들의 삶과 의식에 대해 해석하고 설화의 사료적 특성을 밝힐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 시대 설화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해 수업방안과 교재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고등학교 역사 수업에서 설화를 비판적 읽기를 위한 수업방안을 만들었다. 이는 학생이 설화에 담긴 역사상을 추출하고, 설화 전승자의 의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설화를 읽는 단계를 ‘설화를 소재로 활용한 설명의 이해’, ‘학습한 배경지식과 설화의 내용 연결하기’, ‘설화의 표면적 의미 읽기’, ‘설화를 비판적 읽기’로 나누었다. 이러한 단계 구성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과내용을 ‘읽기 방법’을 통해 학습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설화의 비판적 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 과정을 만들어 주었다. 학생들이 점진적으로는 텍스트에 매몰되지 않고 비판적 읽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역사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설화의 선정기준은 만들었다. 역사 수업에서 활용되는 설화는 첫째, 역사상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도록 등장인물이 분명하고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설화는 동일한 역사적 사건에 대해 문헌 사료와는 다른 관점을 취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문헌사료와 비교 · 대조함으로써 설화에 담긴 역사상을 풍부하게 읽어 낼 수 있다. 셋째, 민중의 의식이 성장 ·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설화를 선정해야 한다. 넷째, ‘비판적 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설화를 선정해야 한다. 즉 ‘시대적 배경’이나 설화가 갖는 ‘함축적 의미’, ‘저자에 의해 형성된 가정’등을 추론할 수 있는 설화를 선정해야한다. 이러한 선정 방안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시대 단원별 학습 내용에 해당하는 설화 36편을 선정했다. 설화의 비판적 읽기를 위한 수업 방안과 제시한 조선시대 설화 중 조선후기 신분제 변동에 관련해 수업방안과 교재를 재구성하였다. 신분제 변동과 관련된 설화는 주인공이 등장할 때 흔히 그 경제적 처지가 명시되며, 부의 변동이 주요한 화제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임진왜란 이후 지주 · 전호제의 신분적 관계가 해체되고 경제적 관계가 한층 강화되어 계층의 분화가 일어나는 사회상을 설화를 통해 살필 수 있다. 설화를 통해 양반의 족보를 구입하고, 양반을 사칭하게 된 원인과 민중들의 신랄한 신분제와 양반에 대한 비판을 2차시에 걸쳐 살펴보았다. 이로써 신분 질서의 변화가 어떤 형태로 당대인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계층 간에 관계가 변화 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설화 전승자의 의도를 분석하고, 당대인이 되어 설화에 대한 생각을 밝히고 재 전승 하도록 하여 역사를 배우는 수동적인 존재에서 ‘역사를 하는’ 적극적인 존재가 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수업방안과 교재를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설화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업과 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지 못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설화 내용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다면, 수업방안의 하 위 단계를 더욱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고, 교재의 발문에 대한 학생의 이해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비판적 읽기’를 통해 학생들이 설화의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과 그 방법에 대한 논의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교수 학습 면에서도 역사교과에서 고대 설화 뿐 아니라 다양한 시대의 설화학습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활용 가능한 하나의 틀을 제공했다고 생각한다.

more

초록/요약

The tale is funny story but it's an important data showing their conscience or life in the throes of transmission. Because of this, the tale is historical record provide different viewpoint before we know or haven't seen in database. But the tale include literary value different from general historical record. So usually show unrealistic story or difficult symbol. If you can't understand right character of historical record, it can be changed absurd story. I choose 'critical read' for the way of understand historically in the tale. Through the 'critical read', each student become a historian, they can find out feature of historical record about the people's life and conscience in the tale. so this report's purposes making teaching material and plan for critical read about tale of Choseon. For this, I make how to teaching 'critical read' of the tale in high school history class. This is that the student extracts historic from tale, can anticipate in someone 's mind who handing down of the tale. I separate lever of read tale like this, 'Understanding of explain use the tale', 'Connect between class tale and background knowledge, 'Reading surface meaning of tale', 'Critical reading of tale'. Most of students haven't experienced like this studying through reading method. So I make the course for practice about 'critical read' of tale. through this, students can do 'critical read' step by step not to be buried under text. Also make the tale lectotype specimen valuable in history class. the step is like this. First, the character is clear for easy to figure out historically and reflects real historical event. Second, the tale has different viewpoint from literature historical record about same historical event. Third, choose the tale that show the people's consciousness change and growth. Fourth, choose the tale can make 'critical read'. That is the tale can guess 'time period' or 'the implication', 'hypothesis made by writter'. Based on these criteria I choose 36 tales of the Choseon dynasty follow the textbook's contents. I reconstitute teaching material and lesson related caste system changing in end of Choseon dynasty between 'critical read for class' and 'tale in Choseon given before'. The tale of related caste system changing specifies financial state when main character appears and main topic is changing of wealth. After Imjin war, caste system was broken up and was strengthened economic system's hand. Through these facts, we can find out their view of the social life. Through the tale, we looking at the reason why did they buy noble's genealogy and false personation, criticism about caste system and noble, twice. From this, we can know how to be changed their life and relation between class from changing position order. also analyze someone's mind who handing down of the tale, become a this person find out think about tale and handing down again, therefore change the student from the person who just learn the history to the person who do the history. Despite of this research make lesson and teaching material, I can't check learner's reaction because of don't do this as a real. If I checked this, I can make low rank of class more in detail and can check how much students can understand. There is a meaning through 'critical read', the course and way who students interpret historical meaning of the tale. As professor's learning, showing the various ages tales can learn and offer one of the standard availab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