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언어 사용에 대한 탐색연구
Language Analysis Research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주제(키워드) 정서적 학대 , kliwc , 언어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창환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98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언어 사용에 나타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천 지역 중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불안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 모두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긍정적인 정서의 언어를 적게 사용할 것이라는 가설에 따라 집단별 언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대 수준에 따라 문장, 어절, 형태소, 감탄사, 선어말어미, 긍정적인 정서, 음악 변인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은 언어에서도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된 어휘를 많이 사용하여 학대 경험이 높은 집단은 이에 비해 긍정적인 정서를 적게 표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하고 불안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부정적인 정서의 언어를 더 사용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느낌의 어휘를 적게 사용하고 부정적인 정서와 불안의 어휘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몸상태와 증상에 관련된 언어 사용이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라는 부정적인 경험과 이로 인해 나타난 불안이라는 심리장애는 인간의 언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는 예라 볼 수 있다.
more초록/요약
Language analys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from their parents. The data including several psychological surveys has been collected from 211 students of middle schools in Inchon. The studying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buse factor and anxiety factor, the higher emotional abuse factor was, the higher anxiety factor was. Second, the above 211 students were group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motional abuse. And analysis of language used by each group,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emotional abuse factor is, the lower frequency of positive lingual expression is.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in the lingual uses of sentences, eojeol(word-spacing), morpheme, interjections, prefinal-endings, positive emotion, music. In detail, sentences, interjections, prefinal-endings, music was used more frequently by group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contrast, group who did not used eojeol(word-spacing), morpheme, positive emotion more frequently. Third, I try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anxiety factor i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negative lingual expression is. In sum, the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of uses of the negative and anxious vocabulary was high among the group who experiences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and anxiety as compared to normal group. 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ion, anxiety affects the way of the use of the languag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