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어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여성장애인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Impact of Satir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Human Relationship and Self-respect of Disabled Females
- 주제(키워드) 사티어 의사소통프로그램 , 여성장애인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강선경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95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사티어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여성장애인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평택시에 거주하는 여성장애인 24명(지체장애1급~3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재가여성장애인에게 사티어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티어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결과 대인관계변화(t=.57, p>0.5)와 자아존중감(t=.187, p>0.5) 두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통제집단의 선정이 비교적 잘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후검사 비교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t=11.20, p<.001)와 자아존중감(t=7.78, p<.001)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대인관계(t=-12.76, p<.001)와 자아존중감(t=-11.34, p<.001)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은 대인관계(t=.361, p>.05)와 자아존중감(t=-.212, p>.05)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정리해보면 사티어 의사소통프로그램은 여성장애인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집단원 반응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실험집단의 재가여성장애인에게는 다음과 같은 효과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인간가치의 동등성과 보편성에 대한 자각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다. 둘째,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탐색하고 집단에서의 새로운 방식의 안전한 경험을 통하여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셋째, 자신과 타인의 내면에 대한 빙산탐색으로 일치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와 집단경험으로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첫째,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연구대상에 대한 효과성 검증으로 장애인활동지원제도(2011년 11월 예정)시행과 맞물려 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갈등해결과 적절한 서비스 요구를 위한 의사소통 향상의 한 방법으로 제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대상이었던 학생, 부부이외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사회복지현장의 다양한 대상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셋째, 여성과 장애의 이중고 그리고 사회적 기회불평등의 결과로 인한 저 학력 등의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연구대상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어져 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다양한 대상에 접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atir communication program to promoting the human relationship and self-respect of disabled females.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e research are comprised of 24 handicapped females (mental disability 1-3) residing in Pyungtaek, Kyung-gi Do, and I carried out Satir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stay-at-home females with disabilities of the experiment group. I operate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in order to figure out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executed a paired samples 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research. The experiment group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atir communication program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human relationship and self-resp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conducted to verify the congenia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both human relationship (t=.57, p>0.5) and self-respect (t=.187, p>0.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election of the control group was fair.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ost-examination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hip (t=11.20, p<.001) and self-respect (t=7.78, p<.001). Thirdly, as a result of the paired samples t-test regarding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each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 group’s human relationship (t=-12.76, p<.001) and self-respect (t=-11.34,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s human relationship (t=.361, p>.05) and self-respect (t=-.212, p>.05).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 the Satir communication program can be said to be effective to improving human relationship and self-respect of the handicapped females. In addition, I have discovered that the stay-at-home females with disabilities show the following advantages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group members’ reaction. First, it was helpful to increase self-respect by recognizing the equal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values. Secondly, it was useful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 skills by searching for the factors restricting communication and having the newly adopted safe-enough experiences. Third, it was helpful to improve human relations with the understanding of harmonious communication, group experience, and the introspection of self and others. 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s effectiveness is significant. First, it can be suggested as a guidance for the communication improvement for conflict settlement, which frequently happens along with the enactment of the ‘disabled support policy (prospected to be in effect in Nov. 2011)’, and adequate service request. Secondly, it suggested grounds that a communication program can be applied to various objects of social welfare workplaces by verifying its impact on the handicapped people, who are exceptional to previous research objects, students and married couples. Thirdly, the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it approaching to various objects at social welfare sites for the disabled regardless of the inferior condition due to the sexual identity as females, disabilities, and unfair social opportunit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