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영역의 교육어 사용 양상 분석 : 교과서와 교사의 수업 중 화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used in grammar : Focusing on textbooks and teachers' speech in class
- 주제(키워드) 국어교육 , 문법교육 , 교육어 , 국어 교과서 , 교사 화법 , 교과서 분석 , 수업 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9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최근의 국어 교육에 대한 논의에서는 학습자 중심, 그리고 교수 학습 상황에서 다양한 소통 맥락에 의한 지식의 변환이 일어나는 사실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실제 교과서에서 ‘문법’ 영역을 다룬 단원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학생들이 알아야 할 지식을 단순한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맥락이 제거된 채 교과서에 실려 있는 지식을 가지고 교사가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느냐에 따라, 학습자가 해당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시키는 과정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의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 바로 ‘교육어’라는 개념이다. 교육어는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교육어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면 교육어가 지니는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실제 교과서 차원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어가 제시되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본 이후에 수업 중 교사의 발화를 연관 지어 분석하는 것이 교육어 사용 양상 분석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이 될 것이라 보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어 사용에 관한 교육적 함의에 관해 다루면서 교육어의 개념과 기능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교육어를 분류한 틀에 따라 국어과 ‘문법’ 영역을 다루고 있는 중학교 교과서 단원과, 이 교과서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 중 발화를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차원에서는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을 안내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교육어 제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지금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교육어를 교과서에 적절하게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수업 중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교육어의 제시에 수정이나 보충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고, 교과서 차원에서 제시된 교육어보다 더 나은 교육어를 제시하여 학생의 지식 습득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끈 경우도 있었다. Ⅳ장에서는 교육어 사용 양상을 수치로 나타내어 표로 제시하고, 교과서 변인 · 수업 변인 · 교사 변인에 따라 교육어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교과서 변인에 따라 비교한 결과, 대상이 된 교과서 모두 교육어 사용 빈도가 낮았으며, 교육어의 기능도 편중된 양상을 보였다. 수업 변인에 따라서는 같은 교사의 수업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수업의 대상(학급)과 수업 차시에 따라 상당한 교육어 사용의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수업’이라는 것이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교사 변인에 따른 교육어 사용 양상에 있어서는 교사마다 자주 사용하는 교육어의 기능이 달랐으며, 교육어 사용 빈도 역시 차이를 보였다. 교육어 분석틀에서 제시한 9가지 기능 가운데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기능도 있었는데, 앞으로 이에 대한 심화된 논의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는 현재의 교과서에 제시된 교육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 상황에서 교사가 교육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연계하여 분석해봄으로써 교과서와 교사의 수업 상황을 유의미하게 연결시켜 분석한 의의가 있다. 교육어의 사용은 교사의 전문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교사는 교과서 차원의 교육어를 제대로 분석하고 이를 수업 상황에서 알맞게 교육어로 제시해야 함을 보여준다. 교육어의 역할이 제대로 발휘된다면, 학습자는 지식의 습득에 관여했던 과정 자체를 체득함으로써 교과서 내의 문법 지식을 수월하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어떤 상황에서도 다양한 문법 지식을 자신의 의도에 맞게 적용․활용할 수 있는 국어 능력 신장은 물론, 이러한 활용을 통해 진정한 문법 지식에 대한 통찰과 가치의 내면화 또한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따라서 앞으로 교과서 차원의 교육어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보완은 물론, 실제 수업 상황에서 교사의 전문성에 의해 더 나은 교육어가 도출되는 경우를 국어과의 전 영역에서 수집하고, 이것이 교과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A recent argument over Korean education began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re is a knowledge conversion caused by various contexts of commun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leaner-centered and teaching-learning education. However, looking into chapters covering 'grammar' in textbooks, it is still true that they are commonly presenting the knowledge students have to acquire in a simple form. According to what kind of languages teachers use to do a teaching-learning by means of knowledges provided by a textbook regardless of their context, there come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that students internalize such knowledges. What ca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ducational process is the very notion, 'educational language.' Since an educational language can be of help to the 'process' of their knowledge acquisition and activity performance, its direct effect on improvement in educational efficiency c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 Looking at debates over educational languages so far, people are conscious of their importance only to have hardly discussed them yet. Thus, this paper covered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presented in real textbooks in the first place, and then analyzed by associating them with teachers' speech during a lessen, because it was thought to be a way to make a closer and more accurate analysis of the form of using educational languages. Chapter Ⅱ will arrange the concept and function of educational languages by cove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ir usage which enables this debate. Then, in this context, Chapter Ⅲ will make an analysis of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being used on the basis of the chapters of middle school textbooks covering 'grammar'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such languages were categorized and the data on teachers' speech in class utilizing these textbooks.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nfirmed a possibility of providing educational languages through a device that can show the process of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in textbooks, and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perly present educational languages with a more variety of functions in textbooks. In addition, an analysis of teachers' speech in class found that educational languages used by teachers sometimes need to be corrected and complemented, and that better educational languages than those in textbooks at other times made the process of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efficient. Chapter Ⅳ will show tables of figures that represent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used, and compared those aspects in accordance with variables like a textbook, a lesson, and a teacher. In case of a textbook variable, all the textbooks the study targeted showed a low frequency in using educational languages and their function was also biased. According to a lesson variable, each class and les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educational languages even when targeting classes of the same teacher. This is because 'a lesson' depends on a real situation. Lastly, in terms of a teacher variable, all of teachers showed different functions of educational languages they often use and different frequency of using them as well. There was functions, which were never used, among nine functions presented in the frame of educational languages, which were found to need a more profound discussion in the future. As mentioned above, we analyzed the educational languages presented in today's textbooks and then associated them with how teachers are using them in class so that it can be regarded as a meaningful analysis of textbooks and how teachers give a lesson in class by associating them. The use of educational languages, which has a close connection with a teacher's professionalism, shows that a teacher should appropriately analyze those in textbooks, and then present proper educational langua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class. A proper role of educational languages would make students easily acquire knowledge about grammar in a textbook by learning the process itself ever related to knowledge acquisition. Furthermore, it will also let them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 to apply or utilize a variety of grammar knowledges in conformity with their purpose in any situation, which is expected to enable them to internalize the insight and value of a real grammar knowledge. Therefore, we need to make a comprehensive review on and supplementation to educational languages in textbooks, and to collect the cases that a teacher's professionalism create better educational languages during an actual lesson in every language class, and then to make a further discussion to reflect this point in textbooks in the fu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