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개인의 윤리성향과 조직의 윤리환경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윤리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 Ethical Propensity and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thical Behavior

초록/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홍보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윤리성향, 조직의 윤리환경, 윤리적 행동 정도 및 직업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들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홍보실무자들이 윤리적인 PR활동을 하는 데 있어 개인의 윤리성향과 조직의 윤리환경 중 어느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윤리적 행동이 홍보인들의 실질적인 직업만족에 영향을 주는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가 연구자의 주요 관심 대상이다. 연구 결과, 홍보실무자들이 윤리적 행동을 하는 데 있어 조직의 윤리환경이 개인의 윤리성향보다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의 윤리환경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인 최고경영자의 윤리적 행동에 대한 지지, 커뮤니케이션 환경, 윤리시스템(윤리강령과 윤리교육프로그램), 의사결정과정 참여환경 가운데 윤리시스템이 윤리적 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다. 또한 윤리적 행동은 개인의 윤리성향과 직업만족 사이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윤리성향과 관계없이 홍보실무자들의 직업만족에는 윤리적인 PR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 조직의 윤리환경과 직업만족 사이의 관계에서는 윤리적 행동이 어떠한 매개효과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에 따라 기업 및 대행사에서 주목해야 할 시사점, 홍보실무자들의 이상주의 및 상대주의적 윤리성향, 홍보 직업만족도에 관한 세부 연구결과 및 논의가 보다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personal ethical propensity,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aimed at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s more influential between personal ethical propensity and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 in doing ethical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how these ethical behaviors work as a medi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personal ethical propensity in implementing ethical behavior. In particular, the most influential one of the four factors consisting of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 such as the supports for ethical behavior of the CEO, communication environment, ethical system (code of ethics and ethics training programs), and participation of decision-making process was the ethical system. Also, the findings showed that ethical behavior worked as full mediation between personal ethical propensity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ther to deal with ethical ways in public relations is more important in job satisfaction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regardless of personal ethical propensity.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behaviors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tails and discussions on the implication for corporations and agencies, ethical propensity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relation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