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디외 취향이론으로 본 국내 '명품 잡지'분석 : <노블레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f Domestic Brand-name Magazine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Tast : Focus on <Noblesse>
- 주제(키워드) 취향 , 아비투스 , 부르디외 , 구별짓기 , 명품 잡지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88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사람들은 클래식을 들으면 고상하고 뽕짝을 들으면 저급하다고 느낀다. 그래서 사회 속에서 우리는 항상 취향에 대해 인식하고 살아가고 있다. 취향은 일정한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 사이에 공유된 것으로 다른 계층의 사람들과 구별 짓는 요소로 작용하고 사회적 위치의 상징으로 보여주게 된다. 무엇이 내 취향이고 아닌지에 대한 기준은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선택인 듯 보이지만 사실 그 속에서는 사회, 문화적 요인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개인의 선택을 넘어서 집단적인 특성이 강하다. 한국 사회에만 독특하게 등장한 명품 잡지는 분명 특정 계층을 타깃으로 차별화하는 전략을 통해 다른 계급과 구별 짓기의 생활양식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명품 잡지인 <노블레스>를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과 독자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명품 잡지가 다른 계층과 구별 짓고자 활용하는 취향이 무엇이고 이러한 취향에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명품 잡지가 사회라는 공간 속에서 사람들에게 어떻게 이용되고 있으며 부르디외의 관점에서 하나의 문화적 아비투스로 현대사회의 소비문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논의해 보았다. 명품 잡지는 콘텐츠, 제작자, 독자 간의 공통으로 형성된 취향을 바탕으로 사람들에게 사고하고 지각하며 평가하는 방식을 구조화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이러한 취향이 마치 자연스러운 것처럼 여기도록 소비문화를 이끌어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명품 잡지는 사회 속에서 구조와 실천의 메커니즘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한국 사회에 등장한 명품 잡지는 취향이라는 것이 더 이상 개인의 주관적인 선택의 문제를 넘어서 차이를 통해 타인과 구분 짓는 방식을 구조화하는 성향체계라고 할 수 있다. <노블레스>가 제시하고 있는 방식들이 독자들에게 일상적인 영역에서 구별 짓기로, 사회적 영역에서 하나의 사회화 과정으로 활용되고 있다. 키워드 : 부르디외, 취향, 아비투스, 명품 잡지, 구별 짓기.
more초록/요약
People consider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as an act of elegance whereas listening to trot music is considered as having poor taste. Society is always aware of preferences. Preference is an attribute shared by a group of people who belong to the same socioeconomic class; it represents one’s position in society and distinguishes one class from another. It may seem that the factors determining preference are subjective and personal. However, preference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societal and cultural factors. Therefore, it is beyond personal choice and heavily influenced by group characteristics. Luxury brand-name magazines, distinctive to Korean society, target a specific class of people and uses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categorize and separate one class from another. This research examines the brand-name magazine <Noblesse> to understand how brand-name magazines utilize preference to distinguish different socioeconomic classes and how the magazine approaches the issue of preference through tex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readers. Furthermore, it discusses how readers utilize the brand-name magazine in society and, considering it as a manifestation of Bourdieu’s habitus, its role in contemporary society’s consumer culture. The contents, producers, and readers of brand-name magazines create a set of common preferences, based on which brand-name magazines impose onto readers a way of thinking, perceiv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 Readers come to believe that the preferences expressed in the magazine are natural, dominating consumer culture. In conclusion, brand-name magazines have become a mechanism of structure and practice in society. Brand-name magazines in Korean society depict that preference is no longer an individual’s personal choice but rather a way of structuring preference systems that allow individual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The methods employed by <Noblesse> are used by readers as a method of differentiation in the arena of daily life, while they function as a process of socialization in the larger context of society. Keyword : Bourdieu, taste, habitus, brand-name magazine, distin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