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호텔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특1급호텔을 중심으로

Impact of hotel employees' job stress on psychosocial well-being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hotel employees' job stress on their psychosocial well-being, as derived from frequent emotional labor. A survey was given to 320 hotel employees in Seoul, of which 315 individuals responded.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hort form [KOSS]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 were used as the survey scales. The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Job stress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psychosocial well-being across all sub variables(r=.56, p=.001). Among 7 sub-variable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psychosocial well-being is lack of reward, followed by occupational climate, job demand and interpersonal conflict. 2. The mean differences of job stress and psychosocial well-being between two variables (department and working schedul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temporary employee group tends to receive more stress than the regular employee group. Also, the female group receives more stress than the male group with worse psychosocial well-being level than male group. 3. Among 7 sub-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psychosocial well-being is organizational climate for the customer service part group, the shift work group, the regular employee group and the male group. Lack of reward is most significant for the support part group, the regular work group and the temporary employee group. Organizational system is most significant for the female group. 4. Job stress due to emotional labor has either been underestimated or ignored. To prev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n out among hotel employees who perform emotional labor,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recruit counselor and to develop a job stress reduction program etc. Eventually, emotional labor needs to be newly recognized as one of working process and it is required to be compensat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을 많이 수행해야 하는 호텔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것이다. 서울지역의 특1급 호텔 호텔종사자 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15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의 단축형을 사용하였고,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심리적건강척도(PWI) 단축형이라고 명명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상관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무스트레스는 모든 하위영역에 걸쳐 심리사회적 안녕감과 서로 유의미한 상관(r=.56, p=.001)을 보였고, 하위요인 중 호텔종사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직무요구, 관계갈등 순이었다. 2. 소속부서와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안녕감과의 차이를 본 결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비정규직 집단이 정규직 집단보다, 여성 집단이 남성 집단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집단은 남성 집단보다 심리사회적 안녕감이 더 나빴다. 3. 고객서비스파트, 교대근무, 정규직, 남성 집단의 경우,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가장 영향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직장문화가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반면, 지원파트, 정시근무 및 비정규직 집단의 경우는 보상부적절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한편, 여성 집단은 조직체계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4. 그동안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축소되거나, 무시되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을 하나의 노동의 과정으로서 새롭게 인식하고 보상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감정노동을 많이 수행하는 호텔종사자의 정신적, 육체적 소진을 막기 위해 상담실 개설, 직무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절실히 요청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