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3 수험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Stress Coping Styl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대전, 논산 지역의 5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67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학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적 자기 효능감, 성적 수준을 자기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들이 학업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을 사용하지만,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소극적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분명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소극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고3 수험생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달라지게 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성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3 수험생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리적 ․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고, 적응적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키울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what kind of the connection between self-esteem of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and stress coping style as well as academic self-efficacy. In this study, 467 students out of general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in Seoul, Daejeon, Nonsan got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have five categories such as self-esteem, academic stress, stress coping style, academic self-efficacy, level of grade and these questionnaires were thoroughly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 shows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steem are under less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 Second, students use active coping style as they have high self esteem, but students with low self-esteem do not use passive coping style whe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 Thir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 and academic self-efficacy shows that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tudents who make frequent use active stress coping style have high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use passive stress coping style have low academic self-efficacy as we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stress coping style and self-esteem in academy. Forth, the link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grades analysis indicates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grades. The research shows that self-esteem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both the level of stress of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 Besides, the study indicates that which stress coping style used affects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that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rades.Therefore, it is positively necessary that we need to conduct continuous systematic education that builds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character to raise active stress coping style in order that they feel psychological, emotional stability and to keep adaptive attitude under stress circumsta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