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in Anxiety and Speaking: Voice vs. Text Chat with Middle School Students
- 주제(키워드) anxiety , speaking , chatting , English edu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Steffen Hantke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842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최근 학교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지만,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더딘 편이다. 본 논문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채팅이 얼마나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두려움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 참여자는 40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으로 초급 단계의 말하기 능력을 가진 학생들로 4주간, 각 30-45분씩 총 8회에 걸쳐 온라인 채팅으로 진행하였다. 한 팀에 각 2명의 학생들로 문자 채팅(20명)과 음성채팅(20명)으로 나누어 처치 전 후의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두려움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들의 심적 변화와 관련된 연구상의 특성으로 매회 채팅을 한 후 작성하는 개방형 질문 형식의 채팅일지, 총 실험이 끝난 후 이뤄진 심층 면접 및 폐쇄형 형식의 질문지를 활용하여 이 연구의 정보 수집을 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말하기 두려움의 경우 음성 채팅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문자 채팅 참가자들보다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다소 짧은 기간이었지만, 말하기 채팅으로 말하기 두려움이 낮아진 것으로 보아 이는 장기적으로 시행 시, 말하기 능력향상에도 도움될 것으로 예상된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f online chatting can be beneficial for second language learnersa level of anxiety and speaking proficiency. . Despite the ever-increasing interest in learners’ communicative confidence in Korean English classrooms, existing research reveals no contraction in learnersa affective factors inhibiting learners’ speaking proficiency. These factors will be the focus of this study. This study employs 2 groups (text and voice), each consisting of 20 beginner-level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FL context. For 4 weeks, the participants are engaged in about thirty minute chatting sessions in pairs, guided by a total of 8 tasks.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tests measuring anxiety level and speaking proficiency before and after the study. In addition, closed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each chatting session, and an interview after chatting treatment were employed for closer investigation. This shows that whil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both in message and voice chatting do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speaking proficiency, there i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nxiety levels only for the voice chat group. This suggests that voice chat during relatively short period (one month) helps beginner-level students to lower their speaking anxiety. This is expected to develop their language confidence because emotional factors (e.g. motivation, confidence, willingness to take risks, etc.)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learners will have more confidence in speaking with their language anxiety decreased. This also suggests that i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s conducted for learners in long term, their speaking proficiency will be facilitated as their inhibiting factor in language learning, speaking anxiety, gradually disappea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