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tective factors Influencing School Resilience of Special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주제(키워드) 적응유연성 , 학교적응 , 보호요인 , 시각장애학생 , 장애청소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이동영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748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특수학교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개인적, 가정환경적, 학교환경적 보호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효성 높은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교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ㆍ경기 및 강원지역에 위치한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학생(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가 가능한 학생 18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대한 기술적 분석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개인적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가정환경적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시각장애학생의 학교환경적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정환경적, 학교환경적 보호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정도는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적응유연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학교특성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적응유연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는 학교특성변수로서 민주적 학교분위기와 편의제공 만족도, 개인특성변수로서 책임감과 장애수용이 의미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고, 가족특성변수로서 가족지지가 의미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넷째, 상대적중요도는 어떠한지를 확인한 결과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특성변수로서의 책임감이었고, 다음으로 학교특성변수로서 편의제공 만족도, 민주적 학교분위기, 그리고 개인특성변수로서 장애수용도, 가족특성변수로서 가족지지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지향적인 관점으로 시각장애학생을 바라보고 개입에 있어서 보호요인을 강화하는 것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특성인 책임감을 강화시켜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입이 우선되어야 한다. 시각장애학생에게도 책임감 증진프로그램이 중요하며, 기존 프로그램의 대상화나 의존성 증대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학생에게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수용 또한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는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입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학생이 장애를 강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강점관점으로의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학교특성요인 중 장애인편의제공이 상당히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물리적/비물리적 지원체계 전부를 의미하며, 편의시설에 한정하지 말고 교육적ㆍ행정적 지원까지도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사지지, 장애수용에도 정적영향을 주어 학교적응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단지 개인초점에 맞춰진 재활에만 국한하지 말고 환경적 요소를 적극 고려한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 여섯째, 학교분위기가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민주적 학교분위기가 갖춰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학교의 전반적인 안전감과 교사와 학생간의 우호적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한 결과라 할 수 있고, 따라서 학교의 내부적인 안전시설 뿐만아니라 외부시설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우호적 관계를 위해서 교사의 역할이 학교분위기에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느 한 영향요인이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하기 보다 다양한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때, 이를 위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개인, 가정, 학교 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more초록/요약
A Study on Protective factors Influencing School Resilience of Special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Noh, Hyun Jo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plans for improving the school resilience in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resilien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personal, familial environmental,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student, based on the eco-systemic perspective. The study subjects were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specialized schools, either middle or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Among them, the data obtained from 180 students who were able to answer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resilience in these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how do personal protecting factors influence the school resilience? Second, how do familial environmental protecting factors influence the school resilience? Third, how do school environmental protecting factors influence the school resilience? Fourth,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personal, familial environmental, and school environmental protecting factors on the school resilience i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school resilience i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above average. Second, the school-related factors were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he school resilience. Third, other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resilience included the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mong the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 capacity of accepting the disability among personal factors, and a familial support among familial factors. Fourth, the analysis for relative importance revealed that a sense of respon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chool resilience in visually impaired students, followed by the satisfa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s, a capacity of accepting the disability, and a familial support. The suggestions proposed by the presen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mmended to see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the strengths-oriented perspective, and to try to strengthen the protecting factors for the intervention. Second, the interventions to promote a sense of responsibility are a matter of the highest priority. Thus responsibility promoting programs are also important in visually impaired student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programs specific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because the currently available programs are targeted to different student groups. Third, the results showing a capacity to accept the dis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suggest that interventions to promote this capability is certainly needed in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se interventions may lea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accept their disabilities as an strength. Fourth, among school environmental protecting factors, a supply of convenient facilities is proved to be important. This supply may include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facilitie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m, appropriat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ing interventions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school resilience in visually impaired students. Fifth,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nd enforce the programs promoting a self-esteem. These programs may help to improve the school resilience through its influence on teacher support and a capacity to accept the disability. These programs are need to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Sixth, a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is proved to be another important factor. This result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us, it is required to improve safety measures not only in the school but also outside of the school. The role of teachers may be important to accomplish a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riable aspects of personal, familial environmental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resilie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chool resilience is influenced by a complex effect of various factors rather than an effect of a single factor, and suggests the need of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the promotion of the school resilience in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fulfill this purpose and to establish the networks to promote communications among a person, a family and a schoo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