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관습 분석을 통한 '막장드라마'연구 : <청춘의 덫>과 <아내의 유혹> 비교를 통해서
A study on "Makjang drama' through the analysis of genre customs :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rappings of Youth> and <Cruel Temptation>
- 주제(키워드) 막장드라마 , 멜로드라마 , 장르연구 , 장르관습 , 청춘의 덫 , 아내의 유혹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방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689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국문초록 장르관습 분석을 통한 ‘막장드라마’ 연구 <청춘의 덫>과 <아내의 유혹> 비교를 통해서 본 연구는 2000년대 후반, 텔레비전에 등장한 ‘막장드라마’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반복적으로 생산․소비되고 있다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개념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언론이 정의하고 있는 ‘막장드라마’가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관습을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멜로드라마의 변주로 보고 장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부분의 분석 과정은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관습을 재정의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재정의한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관습은 우연성의 강조, 비극적 정서로 인한 과도한 감정 유발, 통속적, 유형적이고 고정적인 인물, 사건 중심적 내러티브, 사랑과 도덕의 찬미, 가정적이거나 사적인 배경, 권선징악의 결말(갈등의 극단적인 결말)로 인한 해피엔딩 등이다. 기존 멜로드라마의 장르 관습에 대한 이해를 도우면서 ‘막장드라마’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전형적인 멜로드라마로 꼽히는 1990년 <청춘의 덫>과 막장드라마의 전형으로 꼽히는 2008년 <아내의 유혹>을 연구 대상으로 서사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서사구조 분석의 틀은 주창윤이 이야기와 담화에 따라 제시한 인물과 인물설정의 관계, 플롯의 전개 방식, 이야기 - 시간의 구성을 토대로 하였다. 또한 모든 장르는 사회적 기대와 요구를 담아내면서 끊임없이 변주되고 재창조된다는 점에서 ‘막장드라마’가 멜로드라마의 변주로써 사회적 기대와 요구를 어떻게 달리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드라마에 담겨진 이데올로기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막장드라마’와 멜로드라마의 차이는 인물과 플롯 그리고 담화의 측면에서 고루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 플롯의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막장드라마’는 고전적인 내러티브 구조가 아닌 비고전적인 내러티브 구조를 차용함으로써 에피소드적인 구성, 서스펜스적인 결말, 개연성 결핍 등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비고전적인 플롯은 담화의 측면에도 영향을 끼쳐 드라마가 더욱 선정적이고 자극적으로 비춰지는데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물의 측면에서는 ‘막장드라마’는 기존 멜로드라마의 유형적이고 평면적인 인물의 유형이 아닌 다면적인 인물의 특성을 보이는 등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의 여성성을 탈피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막장드라마’는 대체로 멜로드라마의 장르관습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형적이고 고정적인 인물, 사건 중심적 내러티브가 제외된 나머지 장르적 관습이 충실히 반복되었고 두 가지 장르적 관습이 제외된 것은 비고전적인 내러티브 구조에서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막장드라마’ 의 서사전략은 사회변화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성공과 전통적인 멜로드라마의 애정지상주의 가부장제를 함께 다룸으로써 과도기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관습은 사회의 변화에 따라 변형 반복되면서 변주를 가진다. 그에 따라 드라마는 진화된다고 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막장드라마’는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관습을 따르며 사회변화에 따라 변주된 멜로드라마의 변이로 해석되었다.
more초록/요약
Abstract A study on ‘Makjang drama’ through the analysis of genre customs :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rappings of Youth> and <Cruel Temptation> This study takes notice of the phenomenon that 'Makjang drama' which started appearing on TV from the late 2000s was not a transient fashion, but has been produced and consumed repeatedly, and intends to define its concept. And, since ‘Makjang drama’ defined by the press follows genre customs of melodrama, ‘Makjang drama’ was considered as a variation of melodrama, and genre approach was attempted. Genre customs of TV melodrama were redefined based on previous reference documents to conduct this analysis. Redefined genre customs of TV melodrama include emphasized coincidence, creation of excessive emotion due to tragic sentiment, conventional, typical and static characters, narratives based on incidents, praise of love and morality, domestic or private background and happy ending due to a didactic conclusion (extreme ending of conflict). Narrative structures between <The Trappings of Youth> in 1990, which is considered a typical melodrama, and <Cruel Temptation> in 2008, which is considered a model of Makjang dram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in order to define the concept of 'Makjang drama'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previous genre customs of melodrama. The frame for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is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and character development presented by Joo, Chang-Yoon according to the story and narration, the manner of developing the plot and the construction of story and time. And, ideologies implied in drama were also analyzed together to see how ‘Makjang drama’ differently expresses social expectations and demands as a variation of melodrama in the context that all genres are continuously modified and recreated along with social expectations and demand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between ‘Makjang drama’ and melodrama evenly appear in characters, plots and narrations. The difference in plots is the most prominent among these elements. ‘Makjang drama’ borrows non-classical narrative structure, not classical narrative to show its characteristics such as episodic framework, suspenseful ending and lack of believability. Non-classical plots also influences the narrative aspects, playing a role in the drama to be reflected more suggestive and provocative. For characters, ‘Makjang drama’ shows multi-faceted characters rather than typical and superficial characters of previous melodrama to move away from typical feminity of melodrama. Second, ‘Makjang drama’ generally follows the genre customs of melodrama. genre customs except narratives based on typical and fixed characters and incidents were used repeatedly and these two excluded genre customs result from non-classical narrative structure. Third, the narrative strategy of ‘Makjang drama’ showed a transitional inclination since it deals with social success of women along with the changes in society and traditional patriarchal system of melodrama based on love supremacy together. The genre customs of melodrama are subject to variation through continuous transformations along with changes in society, and drama evolves along with it. In this context, ‘Makjang drama’ is interpreted as a variation of melodrama along with genre customs of melodrama and the changes in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