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족친화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supportive Program ov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초록/요약

우리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일-가족 갈등은 근로자의 직무몰입을 감소시키고 근로의욕을 저하시켜 이직률과 노동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손꼽혀왔다. 이에 일-가족 갈등을 감소시킬 효과적인 해결방안으로 기업 내 가족친화적인 문화조성 및 가족친화제도의 도입이 정부주도하에 시행되어왔다. 가족친화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이 일부 대기업, 공공기관으로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인 보편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기업입장에서 ‘가족친화제도를 시행함으로써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기업들의 성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밝혀,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이 보편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가족친화지수를 바탕으로 가족친화제도를 세분화한 변수를 구성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제도의 세부적인 유형 분류를 통해 어떤 방법이 조직성과에 가장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기업들의 경제적인 성과지표를 종속변수로 사용함으로써 가족친화제도의 실효성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 패널 자료 WPS2005와 WPS 2007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총 1986개로, 연도별 993개의 기업표본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0.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기법으로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고정효과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합동OLS와 고정효과모형LSDV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두 번의 검증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다음은 가설검증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가족친화제도 유형 중 부양가족 지원제도가 인당매출액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지지되었다. 둘째, 이직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가족친화제도의 유형으로는 자녀양육 및 교육지원제도와 근로자 지원제도가 지지되었다. 셋째, 가족친화제도 유형 중 탄력적 근무제도, 자녀양육 및 교육지원제도, 근로자 지원제도는 노사관계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more

초록/요약

The main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 of family-supportive program, consisting of changes in work arrangements introduced for family reasons, practical help with child-care, leave from work for family reasons and support programs for employees, ov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st of people have problems related with role conflict between workplace and family and there are high social demands for family-supportive program that people make possible to organize balance between the matters of household and working.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consistent conclusion that family-supportive program is effective method increas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family-supportive program according to Family Friendly Index, which develop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and verified effectivenes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family-supportive program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tandard of Family Friendly Index classified. Second, it aims to verify the economical effectiveness of family-supportive program using dependant variables that sales per person, turnover rate, satisfaction level of labor relationship. For the practical analysis, the Korea Labor Institute Data were used in analysis. Of them, empirical analysis tested with WPS2005 and WPS2007. As a consequence, 1986 data and 993 companies were used in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AT 10.0. This study us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fixed effect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mong the family-supportive program, practical help with child-care and employee supportive program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pendent variable that turnover rate, satisfaction level of labor relationship. Also, the supportive program for dependents (leave from work for family reasons) has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per person and changes in work arrangements introduced for family reasons show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level of labor relationship.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