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에 대한 교회의 대응 : 다문화 교회의 형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hurch Response to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초록/요약

본 논문은 이주민의 유입으로 인해, 한국교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다문화 교회’의 현상에 대해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단일한 민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한국교회는 어떻게 다른 배경을 가진 이주민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을까?’라는 물음을 문제의식으로 삼고, ‘다문화 사회’라는 시대적 환경이 한국교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즉 이주민에 대한 교회의 반응을 진보와 보수로 구분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 교회는 점점 증가하는 이주민을 수용함으로써 ‘다문화 교회의 출현’이라는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런 한국교회의 현상을 ‘문화작업(culture work)’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한국교회가 다문화 교회로 이행해 가는 과정에 대한 적절한 분석틀을 제공해 준다. 이 문화작업은 크게 상징적 방식과 제도적 실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징적 방식에서는 교회성명서, 설교, 공동의례와 같은 문화자원을, 제도적 실천에서는 의사결정과정, 리더십, 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문화자원을 사용하여 다문화 교회로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교회가 이주민을 받아들이데 사용한 문화작업은 종교적 이념에 기반한 교회의 보편주의적 정신과 사회변화에 대한 교회의 실용주의적 결정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담론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이주와 종교에 관련된 사회학적 논의는 이러한 종교 조직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종교는 이주민의 삶을 구성하는데 깊숙이 관여할 뿐 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도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런 종교의 중요성에 주목함으로써 ‘다문화 교회의 출현’이라는 새로운 현상을 포착하였고, ‘다문화 교회’에 대한 개념적인 분석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측면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이 차지하지 비율은 아직 미미한 수준(전체의 2.2%) 이지만, 학교와 직장에서 이주민과의 접촉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주는 한국사회에서 공존의 문제를 가속화시킬 것이고, 연구자는 이를 한국사회에서 잘 보여주고 있는 현장으로써 교회의 사례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인과 이주민의 통합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다문화 교회의 출현이 단지 종교 현상의 하나가 아닌, 한국사회에서 진행되는 전조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new phenomenon of the ‘multicultural church’ emerging in Korean church due to the influx of immigrants. A question of ‘why Korean church consisting of a single nation so far does make a decision to accept the immigrants who have the different backgrounds?’ was asked as a problem of mind and I analyzed how a contemporary environ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appears in Korean church. In other words, church responses to immigrants were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on and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As Korean churches accept the increasing immigrants, new trend of ‘the emergence of the multicultural church’ is shown. This phenomenon in Korean church can be described as ‘culture work’ and provide the appropriate framework for analysis during the process to be transferred into multicultural church. This culture work can be divided largely into symbolic ways and institutional practices. In symbolic ways, the church statement, sermons and cultural resources such as common courtesy were used and in institutional practices, process to make decisions, leadership and cultural resources like providing services were used to push ahead with changes as multicultural churches. Likewise, it’s shown that culture work used to accept immigrants in Korean church comes from universalism of church caused by religious ideology and pragmatic decision of church on social changes. While multiculturalism is actively discussed in Korean society, sociological discussion related to immigration and religion relatively overlooked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organizations. Religion was deeply involved in life of immigrants and occupied a central position to form a new identity as well. I found a new phenomenon of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church’ b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is religion.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e theoretical aspect to provide the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multicultural church’. Also, although the ratio of immigrants in Korea society is still negligible (2.2% of total), contacts with immigrants in schools and workplace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Migration will accelerate the problem of coexistence and I showed it through an example of church as the site in which it’s shown pretty well.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church in which integrated communities are formed with both migrants and natives could be understood by not one of religious phenomenon but a sign of progress in Korean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