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운동특기생들의 수업참여도와 진로분석
The Analysis of Level of Class Participation and Career Planning among the Collegiate Athletes
- 주제(키워드) 운동특기생 , 수업참여도 , 진로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용철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626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교 구기종목 운동특기생들의 학교수업참여도와 진로선택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는 의도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성별(남, 여), 종목별(농구, 배구, 축구, 야구), 경력별로 학교 수업참여도와 진로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 가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 번째, 한 학기 동안 수업에 참여하는 회수를 알아본 결과 평균적으로 총 수업의 50%를 참여한다 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여학생,종목별로 축구, 운동경력별로 10년 미만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강의에 대한 이해력 정도에서 주로 50% 정도가 강의를 이해한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성별로는 여학생, 종목별로 농구에서 상대적으로높게 나타났다. 세번째, 학점 및 경기성적 상충 시 둘 중 선택성에서는 성, 종목, 운동경력에 상관없이 경기성적(84.1%)이 학점(15.9)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졸업 후 희망진로를 알아본 결과 졸업 후 주로 운동을 계속할수 있는 실업팀이나 프로팀으로의 취업(45.5%)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관련 종목의 코치나 감동 등의 지도자수업(19.4%), 대학원 진학, 체육교사, 운동과 무관한 업종에 취업, 사회체육지도자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에서 학교생활은 남학생과 비교하여 여학생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인간관계 및 수업참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수업참여는 여학생이 현저히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성별에 따른 진로계획의 차이에서는 진로가치관 및 진로정보수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운동종목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에서는 학교생활은 축구와배구를 하는 학생층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간관계는 축구, 수업참여는 배구를 하는 학생층에서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덟 번째, 운동종목에 따른 진로계획에서 다른 종목과 비교하여 배구를하는 학생층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정보 수집은 축구를 하는학생층에서 다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 번째, 운동경력에 따른 학업성취도에 차이에서 학교생활 및 인간관계, 그리고 수업참여 모두 10년 미만 과 10년 이상 모두 비슷한 것으로나타나 운동경력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 번째, 운동경력에 따라 진로계획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진로가치관은 10년 미만 진로정보 수집은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학생층에서다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class participation and future career choices among the collegiate athletes. A survey was given to the purposefully selected 300 elite collegiate athletes from four different sports (e.g., soccer, basketball, baseball, and volleyball). A total of 242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14.0. version, which i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o analy1)ze the data. A series of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gender on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planning.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with Duncan's Post Hoc test were also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n four sport types and experi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collegiate athletes were only attending 50% of their classes during each semester. It was also apparent that female athletes, soccer players, and athletes who had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had relatively higher attendance rates. Seco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y could only - vi - understand 50% of the lecture. Again, female athletes and basketball players reported somewhat higher percentages. Third, when faced with the conflic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s and sport performances, most of the athletes chose their sport performances regardless of their gender, sport types, and experiences. Fourth,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majority of them wanted to work in a business organization or a professional team where they could continue to play their sports. Some wanted to be a coach in their respective sports. Others wanted to go to the graduate school, or become a physical educator. Fifth, female player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academic achievement. It has also been shown that female players performed far better in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forming relationships than male counterparts. Sixth, female athletes received a slightly higher scores in career values and information collection than male in career plan distinction. Seventh, soccer players and volleyball players received high scor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ports types, and soccer players received relatively high scores in relationships while volleyball players received higher scores in the class participation. Eighth, volleyball players received higher scores in career plans while the soccer players received higher scores in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Ninth, it has been shown that experiences (i.e., years of experience as an athlete) did not make much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school life, and relationships. Tenth, with regards to the differences in career planning according to their sport experiences, it has been reported that athletes who had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received high scores in career values and those who had more than 10 year experience received high scores in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