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사과학 보도의 양태 분석 : 물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Media coverage of pseudoscience: focusing on drinking water issues

초록/요약

과학적 방법을 따르지 않거나 적절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여 검증이 불가능하지만 과학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유사과학이라고 한다. 유사과학은 신비롭고 놀라운 사실을 주장하여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지만, 종종 이윤창출의 도구로 활용되어 개인에게 경제적 손실을 입히거나 건강상 문제를 일으키며 개인의 사고체계를 비합리적으로 역행하게 만들고 사회를 혼란에 빠뜨린다. 특히 우리 사회에는 물을 신비화하거나 물의 효능에 대한 허황된 주장을 펼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연구에서는 물의 효능에 대한 주장 중 사회적으로 가장 큰 주목을 받았던 6각수 사례와 현재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산소소주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보도의 양태를 살펴보았으며, 언론에 반복적으로 보도된 각 이슈의 핵심적인 주장에 대하여 툴민의 논증모형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에 보도된 각 이슈의 핵심적인 주장은 논증구조상 유사과학적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6각수 및 산소소주의 효능과 관련한 보도는 사회적 논란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보도의 유형과 태도가 변화하였으며, 논란이 종결된 이후에는 관련 기사의 핵심내용이 다변화 하는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사과학적 주장이 언론을 통하여 확산된 후 사회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이러한 논란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more

초록/요약

Pseudoscience means something that is not verifiable because it does not adhere to a valid scientific methodology or lacks an adequate ground but is still asserted to be science. Pseudoscience usually attracts people?s attention by arguing mysterious and marvelous things, but it often inflicts economic losses or health problems on individuals, induces individuals to behave against the rational thinking system, and ultimately causes confusions in society. This study explored how the cases of pseudoscience about drinking water focusing on the case of hexagonal water and 'oxygen soju' which were socially spotlighted most among arguments for the efficacy of water. Three findings from this study deserve to be highlighted. First, it is proved that the claims of hexagonal water and oxygen soju are pseudoscientific speculations. Second, Reports related to the efficacy of hexagonal water and oxygen soju showed that the type and attitude of coverage were chang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debates, and after the debates had been finished, the key contents of articles tended to be diversified. Third, articles related to the efficacy of hexagonal water and oxygen soju commonly preferred direct quotations mainly from the advocators of such arguments or related stakeholders, and such quotations were utilized as direct grounds for the arguments. These results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once a pseudoscientific argument had been spread through mass media it provoked controversies in society and such controversies appeared repeatedly. This suggests that when mass media report a new argument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they should test the logical consistency of the argument and the validity of suggested grounds based on a thorough critical spirit and scientific rationalism, and discriminate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