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와 요구도 조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용철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597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성별, 남녀구분(남자 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에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와 요구도 조사 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남자 고등학교 1개교, 여자고등학교 1개교 2학년을 선정 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로 남학생이 192명, 여학생이 186명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의 체육수업 만족도와 요구도 조사 연구를 위해 연구자와 보조자가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이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면서 응답 요령 및 주의사항을 설명하였고,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윈도우용 통계패키지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신뢰도 일환으로 Cronbach's α 계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수업 만족도와 요구도 조사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과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는 남자학생(3.8635)이 여자학생(3.2672)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고, 만족도 질문에서는‘체육교과가 좋은가?’,‘체육수업 시 학생의 욕구를 반영한 체육수업내용에 대해서 만족 한다.’, 요구도 질문에서는‘일주일에 체육시간 2시간이 필요한가?’,‘체육시간에 실기위주수업이 필요한가? 라는 질문에는 대체적으로 남자학생이 여자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지도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남자학생(3.5560)이 여자학생(3.7446)에 비해 낮다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체육 선생님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체육수업시간의 수업과 학습 내용에 대하여 만족한다’,‘체육수업 선생님은 종목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지도 방법으로 수업을 한다’,‘체육선생님은 학생의 개인차를 감안하여 지도한다’라는 질문에는 여자학생보다 남자학생이 긍정적인 답변 이었지만,‘체육선생님은 바른 몸가짐과 언어를 사용한다’.라는 질문에서는 남자학생보다 여자학생들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또한 요구도 질문에서는 지도방법에 대해 여학생보다 남자학생이 다소 부정적인 답변을 했다. 대표적인 질문은‘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난이도 조절?’,‘체육 선생님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지도?’에서 였다. 셋째, 수업평가에 대하여 남자학생(3.6719)이 여학생(3.1505)에 비해 만족도가 높다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만족도 질문에는‘체육 시험의 빈도(현재 보는 시험 횟수)만족?’,‘체육교사의 실기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남자학생은 만족 이었지만, 대부분 여자학생은 불만족을 나타냈다. 남자학생과 여자학생들의 난이도 및 신체적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수업평가라고 생각된다. 요구도에서는‘체육수업참여를 통한 긴장, 욕구 불만 해소?’,‘체육수업참여를 통한 경기규칙 및 운동 기술습득?’대체적으로 만족도와 요구도는 남자학생이 여자학생보다 높았지만, 요구도의‘체육수업참여를 통한 신체건강증진?’이란 질문에 대해서는 남자학생보다 여자학생이 긍적적인 답변을 했다. 넷째, 체육시설 및 기구에 대한 만족도는 남자학생(3.5482)이 여자학생(2.9395)에 비해 높다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체육수업 이후에도 체육시설 및 기구를 이용해 체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운동장이나 체육시설 활용?’,‘인근사회체육시설이나 기관연계활용?’질문에는 대체적으로 남자학생이 여자학생 보다 긍정적인 답변 이었지만,‘체육수업 시 활동 공간은 충분, 안전하다’라는 요구도 질문에는 남자학생과 여자학생 모두 부정적인 답변을 했다. 현재 체육수업 내용과 향후 바라는 체육수업내용에서는 대부분의 남·여 고등학생들의 선호하는 종목이 1위 수상, 2위 빙상 등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학교 내 동아리나 대중매체 등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론실기 선호도에서도 운동장에서 경기를 통해 직접 참여하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실기수업이 이론수업보다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육수업이 2시간 이상을 선호함으로써 타 과목에 비례하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났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ll participants were junio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 total of 382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One hundred and ninety six (51%) were male and 186 (49%) were female students. The survey was collected via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all completed data then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scrib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internal validity was acceptable based on Cronbach's α coefficient. Finally,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requi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demand of the class contents, male students (M=3.8635)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M=3.2672).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on coaching methods male students (M=3.5560) were lower than female students (M=3.7446). Also, from the demand questions, the male students expressed more negative feelings about the coaching methods than female students. Third, with regards to the class evaluation,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M=3.6719) compare to the female counterparts (M=3.1505). Fourth,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M=3.5482) with physical facilities and equipments than female students (M=2.9395).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swered negatively about the deman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inally, both male and femal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water sports and ice sport, respective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