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채권투자의 증가와 장단기금리 동조화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 Long Term Interest R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reigner’s Korea bond investment
- 주제(키워드) 외국인 채권투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최인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560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글로벌 금융위기 전 외국인의 채권투자는 2007년 하반기 이후에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다 글로벌 금융기간 중에 일시적인 순유출을 기록했으나 2009년 이후에 다시 대규모로 유입되었다. 외국인의 채권투자는 2007년 이후 그 이전과는 다소 다른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외국인 채권투자의 증가에 따른 정책금리 파급효과의 변화 및 장,단기 금리차의 변화를 분석하고 주식과 변동성 전이를 분석함으로 장,단기 금리의 이자율 기간구조의 특성 및 통화정책의 유효성, 포트폴리오 자산분배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바는 단기금리와 정책금리는 수익률과 변동성의 부분에서 장기금리와의 동조화 정도가 약해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장기금리의 변동성은 절대적인 수준으로 봤을 때 증가했으며 음의 충격에 대한 변동성 레버리지 효과는 과거에 비해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부정적인 뉴스에 의한 외국인 자본유출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측면이지만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목표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이다. 게다가 채권시장의 변화가 외국인에 의해서 기인하므로 국내 금융시장의 변화가 국제금융시장 여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금융시장의 안정화 수단이 국제 금융시장 안정화 수단과 공조되어야 함을 의미하므로 정책수단의 독립성에서도 우려가 있다. 외국인 채권투자가 장기물 위주로 증가해온 점을 감안하면 정책금리 파급경로를 통해서 장기금리를 움직이고 이로써 실물시장을 안정화시키려는 통화당국의 유효성 또한 감소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ore초록/요약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 long term interest rates parallel to the change of foreigner’s korea bond investment. This study analysing th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 conditional covariance of GARCH models (including dummy GARCH model and GJR GARCH) variables which detect the volatility and comovements of short & long term interest rates. After all, som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according to the mean equation analysis, the comovement of short & long interest rates are decreasing when foreigner’s korea bond are increasing. Secondly, the level of volatility of short & long interests are increasing when foreigner’s korea bond are increasing. But the probability of Capital outflow by negative shock is may not increasing. It means that, Monetary policy may distorted when foreigner’s korea bond investments are affected by external macro polic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