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부채만기결정에 관한 Gap Filling 실증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정재식
- 발행년도 2011
- 학위수여년월 201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478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우리나라 전체 기업들의 부채만기는 시간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보인다. 기업의 부채만기의사결정에 대한 수 많은 실증연구가 있었지만 대부분이 시계열 변화가 아니라 기업 개별 특성요소를 중심으로 한 횡단면 분석에 초점을 맞춰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기업어음과 회사채를 발행할 때 공급되고 있는 국채 만기구조의 변화에 따른 수급 격차를 좁히고있음을 보여준다. 장기국채의 비중이 증가할수록(감소할 수록)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단기자금조달의 비율을 높인다(낮춘다). 다음으로 기업부채만기선택을 통한 국채의 초과수익률 예측가능성을 보인다. Modigliani & Sutch(1966)의 선호성만기이론을 적용하고 위험기피적인 차익거래자를 가정함으로써, 국채 수급뿐만 아니라 기업의 마켓타이밍(Market Timing)노력 역시 국채의 초과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more초록/요약
There is fairly large year-to-year variation in the maturity of corporate debt issues in Korea. What factor accounts for these fluctuation? There have been quite a number of studies tried to seek key determinants of corporate debt maturity choice empirically, however, the majority of these literatures focus on not aggregate time-series behavior but cross-sectional difference with firm level factors. This paper presents that corporate issuance of commercial paper and corporate bonds will fill in the supply gaps caused by changes in government’s financing patterns. When the government supplies more long term debt, firms respond by issuing more short term debt, and vice versa. We also investigate the excess bond return predictability of corporate maturity choices in Korea Treasury bond market. Applying preferred habitat theory developed by Modigliani and Sutch(1966) and assuming risk averse arbitrageurs, this paper suggests that not only government bond demand and supply, an active effort by managers to time the debt market can be informative to predict the excess bond return as wel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