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법과 작문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 -논술문에 드러난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nthesis of Grammar and Writing in Education : -Focused on the Grammatical Knowledge in the Essay-

초록/요약

이 논문은 작문 교육 중심에서 문법 지식을 통한 문법과 작문의 통합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창안하여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학습자들의 논술문 문장 생성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문법 지식을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우리 교육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언어 단위에 대한 인식과 올바른 문장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 개념과 글에 대한 생각을 관찰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일차적 자료는 주어진 논제에 대해 학습자들이 생성해낸 글을 구성하고 있는 문법 단위인 ‘문장’으로 선정하였다. 지금까지 학습해온 문법 지식과 문장 개념 등을 토대로 생성한 학습자들의 글에서 전체 글의 응집성을 해치는 문장을 발견하여 왜 그러한 문장을 생성했는지 질의응답을 하였다.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고 비문을 생산해 내는 경험과 문법 지식의 학습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4명의 중학교 학습자들은 글을 쓰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기존에 학습해온 문법 지식 및 문장의 개념 등을 드러내었다. 부족한 문법 지식을 교수-학습한 후에 스스로 글을 수정하는 과정은 학습자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 지식과 개념을 활용하는 활동이 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처방을 받은 후에 학습자들의 문장 구성 능력 변화를 기술하여 문법과 작문 통합 교육의 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통합 교육 방안으로는 글을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원인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으로 제공하였다. 현 교육과정의 문법 지식은 명제적 지식으로 나열되는 것을 지양해야 하고, 방법적이고 수행적인 지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방법적이고 수행적인 문법 지식이 국어교육에서 필요한 까닭은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반 지식으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에게 간단한 규범적 차원의 문법 지식을 학습하는 것부터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사하는 능력은 결국 응집성을 갖춘 텍스트를 생산하는 능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교육 내용으로 ‘구, 절, 문장 단위에 대한 인식 교육’과 ‘서술어와 접속어에 대한 교육’을 제시하였다. ‘구, 절, 문장 단위에 대한 인식 교육’은 하나의 문장에 여러 개의 생각을 담을 수도 있지만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문장에 하나의 생각을 담는 것’을 제시한다. 더불어 문장의 기능에 대한 인식 교육으로 문장이 텍스트의 기본 단위가 된다는 것을 학습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서술어와 접속어에 대한 교육’은 서술어가 요구하는 의미역과 논항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서술어 교육은 어휘 교육과 함께 이루어져서 학습자가 각각의 어휘 의미가 가지고 있는 내용을 떠올려 그 의미의 차이에 따라 문장 구성 내용이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 접속어의 교육 내용은 글의 ‘통일성’과 ‘응집성’을 갖추기 위한 언어 표현을 조직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무조건 접속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글이 더 자연스럽게 전개되거나 응집성을 갖추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글의 ‘맥락’과 화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접속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언어 단위에 대한 인식과 함께 문장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학습자들의 문장 구성 능력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궁극적으로는 문법 지식을 통한 논술문 생산으로 학습자들의 문식성 발달을 도모하는 논의가 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요어 : 국어교육, 문법교육, 작문교육, 문법과 작문의 통합교육, 논술문, 문장교육, 문법지식.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centered in writing education to cre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be materialized by synthesis of grammar and writing in education through grammar knowledge. By making sentences in essay, train actual leaner to use own grammar knowledge practically in writing is most significant matter at our chalk fac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education for awareness of language units and uses of proper sentence should be accomplished as well as observation of learners’ concept of grammar and thoughts for writing are needed. Primary reference of the research is selected as ‘sentence’, which is composition of created writing of learners’ to given subject. From the learners’ writing, which based on grammar knowledge, concept of sentences and what they have studied until now found the sentence that spoils the whole writing’s agglutinability to question and answer for why he/she created it. We confirmed the learner solve own problem by experiences and education of grammar knowledge through making mistakes and creating epitaphs. 4 of middle school participants in research revealed difficulties in process of writing as well as existing grammar knowledge and concept of sentences. Modification of their own writing aft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ir lack of grammar knowledge, it became activity to the learners utilized their grammar knowledge and concept in their head. After this educational helps, described the learners’ sentence construction ability to form synthesis of grammar and writing in education. For integrated education plan, analyze the cause of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writing to provide contents. Grammar knowledge of current education process should be sublated listing of proposition knowledge and composed with methodical and performative knowledge. The reason for Korean needs methodical and performative knowledge is, it can work as base knowledge for advance learner’s writing ability. From simple normative level of grammar knowledge to have a command of grammatically precise sentences, these can be bases to learners to create text that has agglutinability. In this manuscript, suggested ‘Awareness for phrase, paragraph, and sentence unit’ and ‘Training for predicate and conjunctive’ as specific contents. ‘Awareness for phrase, paragraph, and sentence unit’ can put various thoughts in one sentence; however, in order to deliver one’s thought and intention precisely, it suggests ‘Put one thought in one sentence’. Along with awareness of sentence’s function, the learner understands the sentence is ‘Text’s a standard unit’. For ‘Training for predicate and conjunctive’, education for what predicate require as thematic role and argument should be composed. Predicate training composed with vocabulary training, the learners recall substances of each words containing to aware that a detailed difference can change sentence construction contents. In writing education, contents for conjunction should be composed with grouping language expression to have writing’s ‘unity’ and ‘agglutinability’. Unconditional uses of conjunctive are no ways to make the writing more naturally develop or more have agglutinability. Most important thing is, consider writing’s ‘context’ and narrator’s ‘intention’ when one uses conjunctive. The great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when awareness of language unit concurrently consists with sentence education, sentence construction ability of the learners performed effectively. Ultimately, this can be discussional plan for the learners’ rhetorical growth by production of essay through grammatical knowledge. *Key words :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education, Writing education, Synthesis of grammar and writing in education, Sentences in essay, Sentence education, Grammar knowledg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