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詩歌) 텍스트를 활용한 중세국어 어미 교육 연구 : - '상황 맥락'의 반영을 중심으로 -
- 주제(키워드) 시가 텍스트 , 상황 맥락 , 중세국어 , 어미 교육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곽충구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63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학교 교육에서의 ‘중세국어 문법’은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어려워하고 기피하는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에서의 중세국어 문법의 위상이 공고하지 못할 뿐더러 그것이 교수․학습되는 실제 수업 장면에서의 상세화 과정도 교육적 효율성에서의 한계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중세국어 문법 영역이 교육적 효용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실제 언어생활과 유리된 문법 교육이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 ‘교과 내 타 영역과의 연계성’의 측면에서 현재와 시공간적 거리감이 있는 중세국어 문법도 ‘고전시가의 해독(解讀)’과 같은 국어사용 영역(읽기)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닐 수 있다. 중세국어 문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학습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본고에서는 명제적, 개념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온 현행 문법 교육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담화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언어 사용의 기반이 되는 지식으로써의 문법 교육의 ‘기능성’에 주목하였다. 중세국어 문법의 교육 내용 및 방법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는 텍스트언어학과 담화 분석적 접근이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언어와 문학의 통합성’의 관점에서 텍스트언어학 이론은 ‘시가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교육’이라는 거시적인 방법론에 작용하였고, 담화 분석적 방법은 개별 어미의 기능을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해내는 과정에 전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이 같은 이론적 방법론에 기인하여 시가(詩歌) 텍스트에 나타난 개별 어미의 의미․화용적 기능을 상황 맥락의 반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어미를 분석 단위로 하되, 교육의 실제성을 고려하여 󰡔문법󰡕 교과서의 어미 체계에 따라 분석의 틀을 갖추었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는 화자․청자의 발화와 그를 둘러싼 상황 맥락이 간명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는 ‘시(詩) 텍스트’로써, 원전의 고어 표기가 교과서에 그대로 수록되어 있는 고전시가(古典詩歌) 텍스트는 필요에 의해서도 중세국어 문법의 분석 대상으로 선택될 수 있었다. 여기서는 시가 텍스트 중에서도 교과서의 수록 빈도가 높고, 󰡔문법󰡕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기 중세국어의 어미 형태가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는 ‘고려가요(高麗歌謠)’를 대상으로 시가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어미 분석의 일면을 보이고자 했다. 분석의 주(主) 텍스트는 계량 언어학에서의 빈도 통계 방법을 활용해 문법 요소별 개별 어미의 사용이 빈번한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문법 요소가 잘 드러나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중세국어 어미가 지니는 의미 기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개입되는 상황 맥락과의 연관성도 유의 깊게 고려하였다. 상황 맥락의 구성 요소는 확장된 의미로의 ‘참여자 요소’와 ‘장면 요소’로, 텍스트의 화자․청자 및 생산자․수용자, 그리고 내적 장면과 외적 장면으로 세분화되어 그것이 텍스트에 나타난 양상과 어미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폈다. 고정된 체계로서의 어미 기능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은 상황 맥락의 개입으로 정확하고 폭넓게 이해되어 문법 기능의 해석적 지평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분석된 중세국어 어미의 의미 기능은 하나의 도식적인 교육 내용 틀로 정리되었다. 이것이 실제 수업 장면에 활용되기에 앞서서는 중세국어 어미 교육이 효과적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는데, ‘담화 상황을 전제로 한 문법 교육’과 ‘영역 간 연계 교육’이 그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과정에서의 실제를 보이고자 교수․학습 모형에 적용한 중세국어 어미의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직접 교수 모형의 절차에 맞추어 중세국어 어미 교육의 단계별 활동을 구안하고 각 단계에서의 주요 활동 내용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앞서 정리한 내용들을 토대로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시-’를 예로 든 실제적인 교수․학습 예시가 마지막으로 제시되었다. 본 논의가 교육적 타당성을 획득하기 위한 실제 수업 장면에서의 체계성과 수월성을 보장하지 못했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하지만 침체되어 가는 중세국어 교육(크게는 국어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는 기존의 중세국어 문법 교육이 지니는 소극적 교수․학습 방안을 보완하고자 한 새로운 방향에서의 대안적 접근임에 의의를 둔다. 학습자의 언어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유익하며, 그 과정에서의 흥미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교육이라면 중세국어 문법도 더 이상 ‘어렵고 재미없기만 한 영역’은 아닐 것이다.
more초록/요약
In school education, 'Middle Korean Language Grammar' is regarded as field where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afraid and avoid. And that is because it is not only stable status in curriculum and textbook level, but also it has limit on educational efficiency in detailed process of real class scene, where teaching and learning occur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ke Middle Korean Language grammar area to assert educational utility, the learner's real language life and violated education shouldn't be continued. In aspect of 'Connectivity with other areas in subject', even Middle Korean language grammar, which have spatiotemporal distance with the present, can have close relation with use of language area(reading), such as 'Classical Poetry's decipher'. To seek the plan for Middle Korean Language grammar to be efficiently taught and learned, in this thesis, it aware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in critical aspect of proposition and conception, and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grammar education as knowledge, which based on use of language that consider the circumstances of discourse and context. To prepare Middle Korean Language's education content and its method, text-linguistic and analytic approaches of conversation were theoretical bases. In aspect of 'Integr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text-linguistic theory applied to macroscopic methodology, which is 'grammar education that utilized classic poetry', thus, discourse analytic method subject each end of the word to text and utilized it overall in process of analysis. As this resulted from theoretical methodology, this thesis analyzed with centered context of situation's reflection on each end of the word's meaning and its uses from classical poetry text. Although, it sets the responsible ending that forms text's sense composition as analysis unit, considering reality of education, it shaped analysis by grammar textbook's ending system. The text, which subject of analysis, is speaker and listener's speaking and as poetry text that reflects in simple and clear shape and surrounding one's context of situation. The classic poetry text contains in the text book intactly, it could be chosen as necessary reason for written in original archaic word. In here, among the texts, it tried to show one side of ending analysis by subject the Koryo-gayo, which included in textbook with high rates, and comparatively well-maintained the early Middle Korean Language's ending forms that suggested from grammar textbook. The main text of analysis is utilized method of frequency statistic in metric of linguistic, it selected for frequent uses of element of grammar's each ending. More over, this thesis centered the text that well come out its each grammatical elements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meaning of Middle Korean Language contents. And it deeply considered connection with context of situation that intervene in the process. Component of context of situation is 'a participant component' and 'scene component' in extended meaning, it subdivision to text's speaker-listener, producer-consumer and inner-external scenes. So, this thesis examined how these affect on text's appearance and uses of ending. As fixed system, the part where ending function can't get solved, was able to understood wide and correctly to expand of interpretation prospect of grammatical function by help of interventive of context of situation. The meaning function of analyzed Middle Korean Language arranged as one of schematic education content. Before it utilizes for real class scene, this thesis reviewed the method for middle korean language's ending education to be efficiently materialized for the first priority. And that is grammatical education and linked education among fields based on discourse situation. Based on this, to show reality in curriculum, it suggested Middle Korean Language ending's taught-learn applied taught-learn model. By setting the procedure of directed instruction model, it devised steps of activity for Middle Korean Language, and described each step's major activity content and method specifically. With earlier arranged contents, it suggested main agent of polite prefinal ending '-shi-' was exampled for realistic taught-learner steps at the conclusion. In this argument, it didn't guarantee systemicity and easiness from real class scene to achieve educational validity, leaves as research's limitation. However, the study objects to vitalize the stagnant Middle Korean Language ( Korean Language History at large) and to supplement the passive taught-learner method that Middle Korean Language have. Also, it puts the meaning at it approaches from new direction. It is beneficial when leaner try to increases ability of use of language, and if it keeps interest constantly in the process, Middle Korean Language will be no longer 'difficult and boring field' of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