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한 대안적 역사 쓰기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서울 1945>가 다시 쓰는 해방전후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Writing an Alternative History through the Television Drama
- 주제(키워드) 역사 드라마 , 역사와 영상 , 역사 기억 , 대안적 역사 , 서울 1945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황인성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연극/영화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61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역사 기록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은 역사가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오늘 안에서 끊임없는 투쟁의 대상이 됨을 의미한다. 특히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재현되는 역사가 유독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은 드라마가 역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경합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뜻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드라마를 통한 대안적 역사 쓰기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인 해방전후사를 배경으로 제작된 드라마 <서울 1945>(KBS1, 2006)를 연구대상으로, 드라마가 지배 기억과 다른 시각에서 역사를 기술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국가가 해방전후사에 대해 어떤 지배 기억을 생산하느냐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공식적 역사와 달리 <서울 1945>는 해방전후사에 대해 어떤 대안적 기억을 만들어 내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 두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우선 역사와 기억, 패자들의 역사 복원, 영상매체와 역사, 텔레비전과 역사 등에 대한 주요 개념과 이론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정 교과서인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해방전후사에 대한 지배 기억을 확인하고, <서울 1945>에 대한 구조주의적 인물 분석과 플롯 분석, 기타 드라마 속에 나타난 사건사에 대한 검토 등을 통해 드라마가 생산하는 해방전후사에 대한 대안적 기억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배 기억은 이데올로기 투쟁을 중심으로 한 남․북 대립의 이분법적 시각에 따라 해방전후사를 기술함으로써 여타 비(非)지배세력의 삶을 지워버리거나 왜곡하고 있었다. 반면, <서울 1945>는 이념적 지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격려하며 새로운 조선 사회를 건설하려 노력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해방전후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리고, 공식적 기억의 중심이 되는 남․북의 맹목적 이데올로기 투쟁은 오히려 이들의 이상 실현을 방해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서울 1945>는 해방전후사에 대해 공식적 역사와는 다른 시각을 제시함과 동시에, 주변 인물 및 사건사를 통해 공식적 역사에서 기록되지 못 한 이들의 기억을 복원함으로써 드라마를 통해서도 대안적 역사 쓰기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서울 1945>의 수용자가 드라마 텍스트를 접함으로써 해방전후사에 대한 역사 인식이 어떻게 바뀌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 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해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Constant arguments about historical writing make us realize that history is not just the past but the subject of current power struggle. In particular, the history represented by television drama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which means that television drama can be regarded as a sphere of competition among socio-political powers who have a different view of history.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o write an alternative history through the television drama.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has conducted a close investigation of particular ways of representation in the drama <Seoul 1945>(KBS1, 2006), which deals with the historical issue of the Korean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wo main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for the project as the following. The first one concerns the dominant group's memory about the Korean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e second one deals with the alternative memory about those days produced by <Seoul 1945> and how it is different from the official history. To study dominant group's memory, this project reviews Korean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of national history for the high school education.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alternative memory produced by the drama <Seoul 1945>, analysing plot and character of the drama through the way of structuralist analysis and reviewing historical events represented in the drama.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findings. The dominant group's memory writes the Korean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ocusing on the political struggl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goverments. Due to this dichotomous way of writing history, official history distorts or gets rid of non-dominant group's memory. On the other side, <Seoul 1945> deals with history of those days positively by emphasizing on people's cooperation and efforts for social innovation in Chosun, even though those people have different ideological background. The drama also covers the political struggl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goverments, which is the core of the dominant group's memory. But differently from the official history, in drama the political struggle is depicted as a threat to the Chosun people's hope for constructing new society. Likewise, <Seoul 1945> suggests a different view of Korean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dominant group's one, and at the same time restores memory of the suppressed that has not been recorded in official history. There is a limit in this project. This research has not included an investigation of the recognition that can show how the audience's view of history is changed by consuming <Seoul 1945>. This limit would be completed later on with future follow-up research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