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매체를 활용한 미디어제작교육 수업설계연구 : 소리 책 제작 활동을 통한 초등생의 프로젝트 미디어교육 프로그램개발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media production education in audio media : (The) development of project media education program through audio book production wor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주제(키워드) 청각매체활용교육 , 미디어제작교육 , 어린이 미디어교육 , 프로젝트미디어교육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양은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57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을 위한 청각매체 활용 미디어교육으로 소리 책 제작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의 미디어교육은 읽기나 영상제작에 치중해온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다매체 시대를 맞아 매체 간 비교와 균형 잡힌 미디어교육을 위해서 다양한 매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처음으로 청각매체를 활용한 미디어제작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상세대라 불리는 요즘 학생들에게 청각매체는 언어를 사용하여 주의를 집중시켜야하는 매체의 특징 때문에 언어교육과 집중력, 상상력을 개발시켜주는데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학습과 미디어교육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을 재조명하고, PBL이 적용된 소리 책 제작 미디어교육 교수·학습안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디지털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한 미디어교육개념의 변화와 미디어 환경론적 관점에서의 미디어능력, 연령별 발달 특성에 관한 이론 등이 논의되었고, 청각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통합미디어 교육으로 개발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은 학습자 중심의 제작교육으로 이뤄지며, 모두 9차시 수업안을 계획하여 각 차시별로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활동 내용, 학습자료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또,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 포함되어서 미디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들도 쉽게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프로그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청각매체에 대한 관심이 사전조사에 비해 확장되었으며, 다른 매체와의 차이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법을 통한 미디어제작교육으로 토론능력 및 협동심이 길러지게 되었다는 사실을 학생들 스스로 알게 되었다. 셋째, 동화 ‘행복한 왕자’를 각색한 소리 책 제작으로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표현력 및 문학적 상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청각매체를 다루는 기술을 익혀 소통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학생들 스스로 제작한 결과물을 사회의 소외계층과 나눌 수 있도록 계획해봄으로써 사회봉사에 대한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more초록/요약
This research is the research about the audio book manufacture program development with the hearing sense media application media education for the higher grades of grade school (5-6 grade). The media education up to date had been focusing on the reading or the image production. However, the education about the various medias is needed and there is a meaning on the occasion of the multi-media age between a media for a comparison and proportional media education in that we developed as the production of media educational programme utilizing the hearing sense media for the first time. In these days when being called the hearing sense media is effective to students in developing the language education and ability to concentrate and imaginative power in the feature because of the media which has to centralize the attention by using the language. For this purpose, variou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project Teaching - learning and media education were reviewed. The sound book manufacture media education professor · study plan in which PBL is applied was developed. The media capability at the change of the media education concept due to diffusion of the digital media and media environmentalism point of view, theory about the age bracket peculiarities of development, and etc. were discuss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developed into the integrated media education based upon the researches towar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hearing sense media. The feature of this educational programme was done of the manufacturing education of the learner center. And the feature of this educational programme planned altogether within the class in a nineth and the learning objective and professor - learning activity content, learning material, and etc. were included as the angular difference city sort. And utilize teachers who the process of turning out a result was included and who don't receive the media education in the spot of education easily, the content was made up. In short, it is the program result developing and applies in this research same like a next. First, a concern toward the hearing sense media of the students was expanded in comparison with a pre-scanning through this program. And difference from the other media was recognized. Second, students perceived by oneself the fact that the debating ability and spirit of cooperation were raised as the production of media education through project study method. Third, the inventive power of expression and the literary imaginative power were improved by the audio book manufacture dramatizing the fairy tale 'the happy prince' to students and a help was given. Forth, the skill handling the hearing sense media was learned and we used as the tool of a communication. And the meaning about the community service was realized by planning in order to divide the outcome which students make by oneself with the group neglected of the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