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디어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 : 석․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A Meta-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garding Media Education : Korea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 주제(키워드) 미디어교육 , 미디어 리터러시 , 미디어 활용 교육 , 메타 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양은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56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연구는 국내 미디어교육 연구의 체계적인 분석 작업을 통해 현황 진단을 하고 미디어교육의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중 ‘미디어교육’이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다룬 논문을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과 국회도서관에서 191편을 검색하여 내용 분석을 하였다. 미디어교육의 개념과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한국 미디어교육의 전개 과정을 토대로 12개의 분석항목을 정하였다. 이들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항목에 따라 2인의 코더가 코딩작업을 하여 SPSS 통계분석(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내용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코딩을 하여 분석하는 과정에서 분석항목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미디어교육 연구 분석틀인 분석유목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1984년 최초의 미디어교육 관련 학위논문이 나온 이후, 최근 들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7차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학교교육의 미디어교육 도입으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논문수가 급증하였다. 미디어교육의 목표로는 비판적 분석능력 함양(38.2%)이 가장 많았고, 사회적 소통능력 함양(23.2%), 이용능력 함양(23.2%), 미디어 제작능력 함양(16.8%)을 강조하고 있었다.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제는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19.9%)을 주제로 연구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이론 및 개념 연구(14.7%), 교육효과(12.6%) 순으로 많이 다루고 있었다. 국내 미디어교육 연구에 적용한 연구방법론으로는 ‘사례분석’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미디어교육이 실천적 학문임을 알 수 있다. 미디어교육의 교육시행 주체는 학교, 종교단체, 시민사회단체 순이었으며, 학교교과 유형은 정규교과시간, 방과 후 특기적성, 계발활동(CA활동, 특별활동) 시간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미디어교육의 대상은 청소년이 가장 많았으며, 청소년 중에서도 초등학생(24.6%), 고등학생,(17.2%) 중학생(7.5%) 순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으로 인해 유아, 노인을 포함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정보격차해소 및 사회 통합을 도모하고자 소외계층인 이주민, 장애인 등으로 대상이 확대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논문의 결론이나 제언에서 제시한 내용은 미디어교육의 교육과정(커리큘럼)이나 교육프로그램(수업모형안) 개발, 교육효과 측정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 것이 많았다. 향후 미디어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으로 제도 및 정책 지원의 필요성, 다양한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 교재개발, 미디어교육 방법, 교수법 등의 개발, 소외계층 미디어교육 활성화, 미디어교육 커뮤니티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the present condition diagnosis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work of domestic media educational research and present the development plan of media education. 191 degree theses were obtained by entering the following key words: 'media education' or 'media literacy' in a search engine in KERIS(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s for the methods of this study, documents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and paradigm change were inquired into. The analysis of a dozen items was determined based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 2 persons, including the researcher, coded against these papers for the analysis item, and the researcher found meaningful content through SPSS statistical analysis(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nd the analysis frame for media education research was present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analysis item was added and modified in analyzing the co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first media education related dissertation came out in 1984. The number of papers increased rapidly because of changing media environments and the application of media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du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s goals of media education, critical analysis power cultivation (38.2%), social communication skill cultivation(23.2%), utilization ability cultivation(21.8%), and media production ability cultivation (16.8%) were emphasized. As the subject of media education, the teaching model and program development(19.9%), theory and concept research(14.7%), the measurement of education effect(12.6%), etc. were emphasized. As the study methodology, 'case analysis' was largely applied to domestic media education research. This fact proved that media education is useful for practical learning. The educational groups utilizing media education were school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a network of civil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the school course of study type utilized mainly the regular course of study time, after-school programs and aptitude education, and developmental activities(club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enagers ranked the highest when it came to the subjects involved with media education. The following indicates the order of student age groups: elementary school(24.6%), high school(17.2%), and middle school(7.5%).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including an infant, old people emerged due to the suddenly changing media environments. An object was expanded to the settler, that is the group neglected, disabled person, and etc. in order to plan solutions addressing the digital divide and working toward social unification. Finally, in the conclusion or the proposition of each paper, the media education curriculum or the teaching model development and the necessity of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measurement were often mentioned.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1)the necessity of supporting the policy utilizing media education, (2)the importance of having various curricula and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textbook development, (3)an interest in various media education methods and teaching method development, (4)media education activation for disadvantaged people, and (5)media education community activ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