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 :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을 매개로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 주제(키워드) 성인애착 , 거부민감성 , 외로움 , 이성 관계 만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안명희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29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성교제 중인 여자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의 관계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을 매개로 알아보고자 했다.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5개의 대학에서 여대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상 평균연령은 20.4세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외로움 척도, 이성 관계 만족도 척도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7.0과, AMOS 7.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유형과 거부민감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회피 수준은 낮고 애착불안 수준이 높은 ‘집착형’이 거부민감성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의 수준이 모두 높은 ‘두려움형’이 외로움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유형과 이성 관계 만족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이성 관계 만족도 하위척도인 전반적불만족척도, 문제해결 의사소통은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의 수준이 모두 높은 ‘두려움형’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유시간 갈등은 애착회피 수준은 낮고 애착불안 수준이 높은 ‘집착형’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적 의사소통은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성인애착(애착회피, 애착불안)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이 매개하는 경로에 대한 구조모형을 가정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성인애착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외로움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인애착(애착회피, 애착불안)은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을 매개로 이성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한 결과 가장 적합한 모형은 성인애착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이성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형모형이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A survey, based on 600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0.4 was conducted in five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With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loneli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s. SPSS 17.0 and AMOS 7.0 were used for main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the ‘preoccupied type’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the ‘fearful-avoidant type’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loneli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preoccupied type’ reported the highest levels of global dis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which are sub-scale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The ‘fearful-avoidant type’ had the highest level of relationship conflic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ffective communication problem. This study proposed a theor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mediating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had no mediating effect while lonelin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entered separately, the most suit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one where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