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언어영역 '읽기'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in Reading Questions of the Language Part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 -with Priority Given to Grammatical Knowledge
- 주제(키워드) 내용 타당도 , 문법 지식 , 언어영역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2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고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치러진 수능 언어영역의 ‘읽기’ 영역의 내용타당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읽기 영역’의 평가 문항은 과연 그 평가 목적을 실현하고 있는 것일까? 즉, ‘읽기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높은 것인가? 둘째, ‘문법지식’을 교육할 경우 ‘읽기’ 지문이나 타당도가 높지 않은 ‘읽기’문항을 학습자에게 이해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가? 셋째, ‘문법지식’을 교육할 경우 ‘읽기 교육’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 그리고 그에 대한 결론과 의의를 다음과 같이 모색할 수 있었다. 첫째, 수능 ‘읽기 문항’ 중 지문을 이해하고 문항을 해결하는 데 ‘문법 지식’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선별된 문항(비문학 10문항/문학 17문항) 중 ‘비문학 영역’의 경우 내용 타당도가 높으나 ‘문학’영역의 경우는 타당도가 높은 경우가 절반, 그렇지 못한 경우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읽기’영역이 내용 타당도가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통해 평가에 있어 ‘평가기준’과 ‘내용 타당도’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내용타당도가 높지 못한 문항을 설명하는데 ‘문법지식’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적용 가능한 ‘문법 지식’의 종류는 ‘시제’, ‘부정표현’, ‘능동표현’ 등의 문법 요소, ‘문장 종결법’, ‘어휘의 의미’, ‘문장 성분’ 및 ‘문장의 구조’, ‘접속 부사’ 등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지식이 포함된 ‘문법 교육과정’은 ‘읽기’영역의 ‘문학’이든 ‘비문학’제재든 ‘통사론’적 지식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내용타당도가 높지 못한 문항과 그에 관련된 지문을 설명하는데 ‘문법지식’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문법’ 교육과정(교과)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셋째, ‘문법 지식’을 교육하면 학습자가 문항을 해결할 때 오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으며 학습자가 ‘읽기’ 지문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막연하게 언어영역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편견을 없애는 것을 넘어서 학습자의 ‘읽기 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가’는 그 자체가 교육적이면 교육적일수록 ‘교육의 전부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묻고자 하는 바가 정확한’, 즉, ‘내용 타당도’가 높은 평가는 평가 후에 교육현장에 투입되어 효율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수업으로 피드백 될 수 있으며 교수자에게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모색하게하며 학습자에게 새로운 학습법을 설정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문법 지식’으로 인해 '읽기 영역‘에 대한 학습자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고 교수자의 ‘국어적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paper is intended to research the following ques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in reading section of the language part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conducted from 2005 to 2010. First, do the evaluation questions in reading part achieve the aim of assessment? That is, do the 'reading questions' have high content validity? Second, is it helpful to teach 'grammatical knowledge' when learners understand reading texts or reading questions which do not have high content validity? Third, does i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reading education' when teaching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 results on those questions and their significance have been found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among the selected questions-10 questions on non-literature and 17 questions on literature- that could be influenced by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when understanding the reading text and solving the related questions from the reading questions of the language part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high content validity has been found in the non-literary section. In the literary section, on the other hand, half of the questions have high content validity, and the rest half do not. This shows that the 'reading section' of the language part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is not well equipped with content validity. Thus, this analysis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make sure that 'standards of evaluation,' and 'content validity' are of great importance regarding assessment. Secondly, it has been turned out that the 'knowledge of grammar‘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explaining the questions lacking content validity. Applicable grammatical knowledge includes 'tense,' 'negation,' active voice,' which are basic grammatical elements, and 'ways of ending sentences,' 'the meaning of vocabulary,' 'constituents of sentence,' 'sentential structure,' and 'adverbial conjunctions.' And the curriculum of grammar education that possesses the elements mentioned above has been influenced most by 'syntactic knowledge' whether it is of literature or non-literature in the reading part. Therefore, verifying the fact that grammatical knowledge can be taken great advantage of when letting learners understand the questions lacking high content validity and the related text has highlighted the necessities of curricula of grammar. Thirdly, teaching 'grammatical knowledge' keeps learners from making errors when they try to solve problems. Also, it helps learners understand reading texts. Thus, it will clear off students' illusions that the language part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is just difficult or tough. The more educational 'assessment' itself is, the more likely it is to be considered as 'education' itself. It is because assessment that tests what it sets out to test, i.e., that has questions with content validity has a positive washback effect in that it can lead to effective and goal-oriented teaching as well as encourage teachers to search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order for students to establish new learning strategies. It will eventually sharpen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to lighten learners' burden and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in their field-Korean language.
more